자격지심과 우월감, 그리고 나 자신
인순이(김현주)는 플랫폼 앞에서 망설인다. 그녀는 전과자다. 고등학교 때 실수로 사람을 죽였다. 그래서 그네들 말로 별을 달았다. 복역하고 나와서도 그 별은 그녀에게 결코 지워지지 않는 주홍글씨다. 전과자라는 이유로 일자리에서 쫓겨나는 마당에 그녀는 “앙심품지 말라”는 주인의 말까지 들어야 하는 처지다. 별을 단 여자에 대한 사회의 편견은 그녀의 삶 자체를 송두리째 뽑아 버린다. 그러니 그녀가 선택하려는 것은 달려오는 열차를 향해 몸을 날리는 것이다. 그런데 그 순간, 기적이 일어난다. 전과자라는 편견에 가려 이 세상에서 아무도 불러주지 않을 것 같았던 자신의 이름을 누군가 불러준 것이다. 그것은 바로 상우(김민준)다. 유상우. 어렸을 때 둘도 없던 친구.
플랫폼으로 뛰어들 운명을 막아준 상우의 부름으로 인순이는 그래도 다시 살아보겠다 마음 먹는다. 그것은 어린 시절, 자신에게 전과자란 낙인이 붙기 이전의 기억으로의 회귀다. 어린 시절 잃어버렸던 엄마도 찾게 되고 상우와 다시 만나게도 되지만 편견은 저 바깥의 세계에만 존재하는 게 아니다. 엄마는 다른 사람들에게 인순이를 코디라 소개하고 그것도 모자라 이태리로 유학을 보내버린다. 상우는 동료들에게 인순이가 영국의 왕립디자인스쿨을 나왔다며 거짓말을 한다. 심지어 엄마는 전과사실이 밝혀지자 이유를 묻기는커녕 ‘남부끄러운’ 자신의 심정만 토로한다. 밖에서도 안에서도 별을 단 전과자로 자신을 바라보는 시선은 마찬가지. 그래서 그녀는 다시 플랫폼에 선다.
그런데 그 순간, 인순이는 또 누군가의 부름을 받는다. 그녀는 죽기 위해서가 아니라 떨어진 취객을 살리기 위해서 플랫폼을 뛰어내린다. 그리고 그 사건은 별을 단 전과자를 ‘지하철녀’라는 새로운 이름의 별(스타)로 만들어버린다. 그것은 그녀에게 벌어진 두 번째 기적이지만 그 기적 또한 그녀가 바라던 일은 아니다. 인순이가 바라는 것은 그저 자신의 이름으로 누군가에게 불리는 것이다. 어린 시절 놀이터에서 엄마의 부름에 집으로 돌아가던 아이들을 보며 간절히 원했던 것. 사회가 전과자라는 별을 달아 그녀를 부를 때 진정으로 듣고 싶었던 것. 엄마가 연극배우 이선영의 딸로서 소개할 때 진정으로 소개되고 싶었던 것. 또한 어울리지 않는 유명인이라는 껍데기로 불릴 때 돌아가고 싶었던 것. 그것은 바로 자신이다.
‘인순이는 예쁘다’는 전과자, 지하철녀처럼 수많은 이름으로 불려지는 그녀가 자신의 이름, 박인순으로 불려지는 과정을 찾아가는 드라마다. 인순이뿐만 아니라 드라마 속 인물들은 저마다 자신의 이름이 아닌 다른 이름으로서 살아간다. 인순의 엄마인 선영은 유명인이라는 허울 속에 살아가고, 그녀를 영원한 팬으로서 추앙하는 상우의 아버지 병국은 책임으로만 존재하는 아버지라는 이름으로 살아간다. 그런데 이 두 사람이 만나면서 거기에는 어떤 가능성이 피어난다. 선물을 주겠다는 병국의 말에 물질적인 어떤 것을 기대했던 선영이 막상 병국이 가져온 붕어빵을 먹는 장면은 그들이 서로를 만나면서 자기 자신에 가까워질 수도 있겠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처럼 인순과 상우의 관계 역시 자격지심과 우월감으로 극과 극을 대변되면서 그 간극을 좁혀나간다. 따라서 드라마가 궁극적으로 도달할 곳은 자격지심과 우월감을 모두 훌훌 벗어버리고 자기 자신으로서 서로를 만나는 그 지점이다. 이것은 사랑이 가진 가능성이다. 진정한 사랑은 허울이 아닌 그 사람 자체를 가감 없이 받아들일 때 가능한 것이라는 전언이다. 별을 달거나 별이 되거나 그 어느 것도 원하지 않았지만 다른 사람들에 의해 그렇게 불려지는 인순이처럼 수많은 나 아닌 나의 모습들이 존재할 수밖에 없는 현대사회. 그 속에서 진정한 행복은 자신을 그 무엇도 아닌 자신으로서 인정하면서 예쁘다고 말할 때 가질 수 있는 것이며, 그것은 다름 아닌 사랑으로서 가능하다는 말을 인순이는 주문처럼 말하고 있다. “괜찮아. 난 착해. 난 예뻐. 난 사랑스러워. 난 훌륭해. 난 특별한 존재야.”라고.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화 같은 드라마, 좋아하세요? (0) | 2007.12.20 |
---|---|
‘이산’, 영조의 정치를 그리는 이유 (0) | 2007.12.19 |
전문직 드라마라는 말, 아직도 유효한가 (0) | 2007.12.10 |
부족한 ‘황금신부’, ‘태사기’만큼 사랑 받는 이유 (0) | 2007.12.09 |
‘무한도전’이 준 큰 웃음과 큰 눈물 (0) | 2007.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