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故 김주혁 유작 ‘흥부’, 아쉬움 남지만 그래도 인상 깊었던 건

728x90

'흥부', 해학과 웃음이 더해졌다면 훨씬 좋았을

영화 <흥부>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흥부전이 어떻게 탄생했는가를 담고 있는 영화다. 당연히 허구지만 그 탄생에 대한 재해석 속에는 현재적인 관점이 녹아 들어있다. 은혜를 갚은 제비가 물어다 준 박씨가 커다란 박이 되어 그걸 타자 엄청난 보물들이 쏟아져 나왔다는 이야기는 아마도 19세기 조선시대의 힘겨웠던 민초들의 꿈과 힘겨웠던 현실을 말해주는 것일 게다. 재해석된 영화 <흥부>가 지금 2018년 서민들의 꿈과 현실을 담는 건 당연한 일이다. 

<흥부>는 여러모로 2016년 촛불정국을 그 재해석의 모티브로 그려내고 있다. 광화문 현판이 보이는 곳으로 횃불을 들고 모여드는 민초들의 광경은 2016년 너도 나도 들고 거리로 나오게 했던 촛불집회의 그것과 다를 바 없고, 조항리(정진영)와 김응집(김원해)으로 대변되는 세도정치 당파싸움에 힘없는 왕 헌종(정해인)의 상황은 관객으로 하여금 ‘비선실세’라는 단어를 떠올리게 만든다. 

핍박받는 민초들이 들고 일어나 홍경래의 난이 벌어지고 좌절된 꿈들이 더 이상 희망을 얘기하지 못하게 될 때, 흥부전의 이야기는 아마도 당대의 민초들이 잠시간 현실을 잊고 웃음 속에 꿈을 담을 수 있는 힘이 되어주었을 게다. <흥부>는 촛불정국의 이야기를 저 헌종 시대로 끌고 가 흥부전을 쓴 흥부(정우)의 이야기로 다시금 그려낸다. 그래서 이 작품은 어려운 정국에 작가가 민초들을 위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가를 담아낸 영화이기도 하다. 

어지러운 정국 속에 정감록이 등장하고, 그 정감록을 서로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해석하기 위한 정치인들의 작업을 흥부는 하게 되지만, 그는 당시만 해도 작가로서의 소명 같은 걸 갖지 못한다. 하지만 조혁(김주혁)을 만나게 되면서 그는 그 글쓰기가 민초들이 그래도 계속 꿈꾸게 할 수 있는 희망을 줄 수 있다는 걸 알게 된다. 힘겨운 민초들의 정신적 지도자인 조혁과 그의 형이지만 조선을 가지려는 야심가 조항리는 그래서 흥부가 쓰는 흥부전의 모티브가 된다. 사실상 조혁이 흥부이고 조항리가 놀부이지만 그 실명을 쓰지 못하자 작가인 흥부가 자신과 자신의 형 놀부의 이름을 붙인 것. 

이렇게 재해석을 하게 되니, 당대에 날아가던 제비 한 마리, 지붕 위에 얹어진 박들이 달리 보인다. 저잣거리에서 연희되는 흥부전에 민초들이 찡그리고 박장대소를 터트리는 모습이 가슴 찡하게 다가온다. 가진 것 없이 하루하루 버텨내는 삶을 살아야 하는 민초들이 보이는 그 웃음은 그 가슴들 속에 여전히 피어나는 작은 희망의 촛불들이 남아있다는 뜻이니 말이다. 

고전의 재해석은 이미 많은 작품들이 시도된 바 있다. <춘향전>은 고전극으로도 또 현대극으로 재해석된 작품이고, 특히 <방자전> 같은 참신한 시도까지 이뤄진 작품이다. <홍길동전>이나 <심청전>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아직까지 <흥부전>에 대한 시도는 잘 이뤄지지 않았다. 워낙 권선징악의 선명한 구도가 너무 뻔해 보이고 박이 가진 판타지는 너무 황당한 결말처럼 보여 재해석이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흥부>는 그런 점에서 보면 2016년 촛불정국의 상황들을 흥부전의 기원을 따라가는 것으로 담아냈다는 의미가 있다. 

물론 남는 아쉬움은 많다. ‘흥부전’이 갖고 있는 해학과 웃음이 촛불정국의 민심을 드러낸다는 그 무게감 때문에 상당 부분 지워져버린 건 가장 큰 아쉬움이다. 작품의 얼개 또한 지나치게 현 시점이 주는 의미에 집착하다보니 자연스럽기보다는 작위적인 느낌을 주는 면도 아쉽다. 또한 작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김주혁의 사망이라는 비보가 준 무게감이 너무 커져 작품 또한 ‘故 김주혁을 위한 헌사’에 집중한 것도 <흥부>가 본래 하려던 이야기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은 이유가 되었다. 

그래도 고 김주혁이 조혁이라는 인물을 통해 말하는 ‘백성’의 이야기가 그가 배우로서 ‘대중’들을 생각하는 마음으로 읽혀지는 면이 있고, <흥부>라는 작품 자체가 주는 ‘선한 민초들’의 승리라는 이야기가 지금의 현실에도 여전히 주는 울림이 있다는 건 분명하다. 이런 면들은 많은 허점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흥부>가 인상 깊은 작품으로 남은 이유다. (사진:영화'흥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