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리틀 포레스트'가 우리에게 던지는 의외로 묵직한 질문

728x90

'리틀 포레스트', 한 끼에 담긴 위대한 생명에 대하여“배가 고파서.” 오랜만에 시골로 돌아온 혜원(김태리)에게 절친인 은숙(진기주)이 왜 돌아왔냐고 묻자 혜원은 그렇게 말한다. 물론 은숙은 혜원이 시험에도 떨어지고 남자친구와도 소원해져 내려왔다는 걸 눈치 챈다. 취업도 어려운 답답한 청춘들의 도시 생활이 혜원이 귀향한 이유처럼 등장하지만, 영화는 그런 현실 이야기는 좀체 하지 않는다. 대신 진짜 배가 고파 보이는 혜원이 한 끼 한 끼 제대로 된 밥을 챙겨먹는 일에 집중한다.한 겨울 그 눈길을 헤치고 처음 엄마가 떠나버린 고향의 빈 집을 찾았던 혜원은 그 차가운 집에 난로를 피우고 눈밭을 헤쳐 그래도 실해보이는 배추를 뽑아와 된장국에 밥을 지어 맛나게도 먹는다. 그리고 다음 날 아침 눈을 치우기 전에 밀가루를 반죽해 숙성해두고 눈을 치운 후, 수제비에 배추전을 부쳐 먹는 혜원의 모습이 이어진다. 처음 봤던 그 차갑기 그지없던 집은 혜원이 돌아오면서 조금씩 온기를 찾아간다. 그리고 그것은 혜원도 마찬가지다. 웃음기 없던 그는 그 곳에서 제대로 된 한 끼를 챙겨먹으며 오래된 친구들과 어울리며 생기를 찾기 시작한다.사실 극 영화라고 하기에 <리틀 포레스트>가 가진 이야기 구조는 지나치게 단순하다. 특별하게 벌어지는 사건이 있는 게 아니다. 어찌 보면 우리가 나영석 PD의 <삼시세끼>에서 봐왔던 킨포크 라이프와 먹방을 영화 버전으로 보고 있는 듯한 느낌마저 든다. 하지만 의외로 이런 단순한 시골집에서의 삶과 밥 지어 먹기가 주는 즐거움이 적지 않다. 그건 어쩌면 도시에서 살아가는 우리들이 희구하는 것이지만 하지 못하는 일이기도 하기 때문이다.단 며칠 있다 가겠다던 혜원은 겨울에 그 곳에 들어왔다가 봄, 여름, 가을을 거쳐 다시 겨울에 떠난다. 그저 1년 정도를 그렇게 지내는 것이고 또 거기에 어떤 특별한 사건이 있는 것이 아니지만, 혜원은 그 곳에서 챙겨먹는 음식을 통해 엄마(문소리)와의 교감을 갖게 된다. 아빠가 아파 시골에 왔다가 아빠가 돌아가시고도 계속 그 곳에서 지냈다는 엄마. 그러다 어느 날 자신의 삶을 살아보겠다는 편지 한 장을 남긴 채 떠나버린 엄마.그 엄마에 대한 막연한 원망이 있지만 혜원은 자신이 해먹는 음식에서 엄마의 마음을 고스란히 느낀다. 뭔가 좋은 일이 있을 때, 혹은 안 좋은 일이 있을 때 늘 엄마는 특별한 음식으로 혜원의 마음을 풀어주려 했다. 음식을 홀로 챙겨먹는 혜원은 그래서 그 1년 동안 스스로 엄마가 했던 삶을 똑같이 체험하며 그가 왜 그런 선택을 했는가를 이해해간다. 엄마는 떠났지만 엄마의 온기는 항상 그 곳에 남아 혜원이 살아갈 수 있는 힘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엄마에게서 어깨 너머로 배운 요리는 도시생활에서 ‘배고팠던’ 혜원을 살려내고 있었다.영화 <리틀 포레스트>는 엄마에 대한 이야기와 그 엄마의 온기가 깃들어 있는 시골집, 그리고 그 곳을 둘러싸고 있는 자연의 이야기를 병치시킨다. 봄이면 돋아나는 쑥과 고사리를 챙겨와 음식을 해먹고, 가을철 떨어진 밤으로 달달함을 채우며, 감을 달아 곶감이 익어가는 겨울을 기다린다. 엄마와 이 시골을 둘러싼 자연은 그래서 동일한 존재로서 혜원을 채워준다. <리틀 포레스트>는 그래서 누구에게나 있는 엄마나 자신을 둘러싼 자연 같은 생명력을 되돌아보게 한다.겨울에 다시 도시로 떠난 혜원은 그렇게 겨울을 보내고 봄이 되어 양파가 익어갈 때 다시 집으로 돌아온다. 친구인 재하(류준열)가 양파재배에 빗대 혜원이 ‘아주심기’를 하려는 것이라 말했듯 혜원의 귀향은 그래서 단지 도시로부터의 도망이 아닌 자연과 생명력으로서의 정착의 의미를 담아낸다.그래서 영화는 묻는다. 여러분에게도 ‘리틀 포레스트’가 있냐고. 그것은 단지 귀향하라는 그런 이야기가 아닐 것이다. 어디에 있든 당신 앞에 있는 한 끼와 그걸 챙기는 자연으로서의 몸을 하나의 생명으로 소중하게 여기고 있느냐는 질문. <리틀 포레스트>가 가진 단순한 이야기가 의외로 묵직한 울림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는 질문이다.(사진:영화'리틀 포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