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주말극, 신데렐라에 빠지지 않는 이유 본문

옛글들/명랑TV

주말극, 신데렐라에 빠지지 않는 이유

D.H.Jung 2008. 2. 25. 02:41
728x90

주말극, 재벌가보다는 서민을 보다

요즘 주말극들은 모두 약속이나 한 듯이 재벌가와의 로망이라는 오래된 코드를 들고 나오고 있다. ‘엄마가 뿔났다’의 대기업 회장 김진규네 아들 김정현(기태영)과 서민적인 나일석네 딸 나영미(이유리)간의 사랑이 그렇고, ‘행복합니다’의 재벌집 딸 박서윤(김효진)과 이준수(이훈)의 사랑이 그렇다.

서로 다른 사회적 지위나 부의 차이를 가진 남녀의 만남은 이미 셰익스피어가 희곡을 쓰던 시대에서부터 내려오던 고전적인 소재. 그것이 오랜 고전이 되고 지금까지도 자주 소재로서 활용되는 이유는 그 자체로 신분상승 욕구나 변신욕구를 자극하는 강력한 환타지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때 이 설정은 툭하면 신데렐라의 변주 정도에 그치면서 식상해져버린 트렌디 드라마를 근본적으로 비판받게 만든 혐의를 갖고 있다. 하지만 현재 방영되고 있는 이들 주말극들은 이러한 구도를 활용하고 있으면서도 과거와는 다르게 20%대의 높은 시청률을 유지하고 있다. 무슨 차이가 이것을 만들었을까.

주목해야할 것은 재벌가의 남녀들이 보이는 ‘서민적인 모습’이다. ‘엄마가 뿔났다’의 김정현은 대기업 회장 아들이면서도 늘 버스를 타고 다니는 인물이고, ‘행복합니다’의 박서윤은 허례허식에 가득한 상류층 문화에 반발의식을 갖고 있는 인물로 그려진다. 그들은 부유하면서도 서민적이다.

이것은 그들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물론 여전히 시어머니가 될 재벌가의 엄마들은 허영과 특권의식에 가득한 악역이지만, 최소한 아버지들은 이런 차이를 뛰어넘어 자식이 잘되기를 바라는 인물로서 그려진다. 이러한 서로 다른 성향을 가진 부부의 조합은 상당부분 재벌가에 대한 부정적인 인상을 지워준다.

이들이 이렇게 그려지는 이유는 이들 주말극이 보여주는 재벌가와 서민층의 관계가 과거와는 조금 다르기 때문이다. 과거의 드라마가 주로 선망 받는 재벌가의 남자 혹은 여자가 서민인 상대방의 신분을 ‘끌어올리는’ 관계를 보여줬다면, 작금의 주말극들은 거꾸로 재벌가의 남자 혹은 여자가 서민 쪽으로 내려와 눈높이를 맞추는 관계를 그려낸다. 부유하면서도 서민적인 재벌가의 남녀라는 캐릭터는 이걸 가능하게 하기 위해 설정된 것이다.

이것은 또한 주제의식과도 관련이 있다. ‘엄마가 뿔났다’는 기본적으로 신분상승 욕망을 그리는 드라마가 아니다. 이것은 서민적인 엄마의 일상을 다루고 있으며 따라서 시선은 늘 엄마에게 맞춰져 있다. ‘행복합니다’ 역시 그 주제의식은 ‘엄마가 뿔났다’와 마찬가지다. 서민적인 일상을 살아가는 이철곤(이계인)네 집 사람들의 이야기가 그 중심에 있으며, 그것은 박승재(길용우) 회장집 사람들의 이야기와 비교되면서 진짜 행복을 묻게 될 것이다.

재벌가가 등장하지만 이들 드라마가 보여주는 것은 서민적인 일상들의 행복이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극과 극의 만남이라는 설정은 오히려 돈을 좇는 사회에 진짜 행복은 이런 보통의 일상에 있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니 탐탁하지 않아 하는 김정현의 엄마, 고은아(장미희)앞에서도 또박또박 자신의 의견을 말하는 나영미나, “니들이 그렇게 잘났냐”며 절망하지만, 헤어지는 조건으로 돈을 줄 수도 있다는 박상욱의 말에 분노하는 이준수는 진정한 행복 앞에서 현재 우리네 서민들이 당당할 것을 요구하는 인물들이다.

김수현 작가나 김정수 작가 같은 거장들이 주말극으로 가져온 것은 소재로서는 그다지 새로운 것이 아니다. 하지만 장인의 손길을 거친 드라마들은 일상의 디테일들을 잘 포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지금까지 천편일률적으로 그려져 왔던 구도의 식상함을 넘어서고 있다. 그리고 거기에 무엇보다 공감을 일으키는 부분은 서민들의 일상에 대한 존경과 따뜻한 시선이다.


Daum 블로거뉴스
블로거뉴스에서 이 포스트를 추천해주세요.
추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