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조치겸, 영조, 최강국 그들의 공통점 본문

옛글들/명랑TV

조치겸, 영조, 최강국 그들의 공통점

D.H.Jung 2008. 2. 27. 00:31
728x90

주연보다 센 카리스마의 조연들, 그 이유

‘왕과 나’의 조치겸(전광렬), ‘이산’의 영조(이순재), 그리고 ‘뉴하트’의 최강국(조재현)은 어떤 공통점을 갖고 있을까. 그들은 모두 각각의 드라마를 이끌어 가는 힘의 원천이라는 것이다. 조치겸은 우리네 사극 속에 권력형 내시라는 새로운 캐릭터로 특유의 카리스마를 선보였다. ‘이산’의 영조는 주인공인 이산을 위기에 빠뜨리기도 하고 또 구원해주기도 하면서 지금껏 드라마의 힘을 만들어온 사실상의 주역이었다. ‘뉴하트’의 최강국 역시 마찬가지. 그는 지금껏 이 흉부외과에서 벌어지는 대부분의 사건들을 정리하는 해결사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이들은 진정한 의미로 드라마의 주인공은 아니다. 주인공이 아니면서 왜 드라마는 이런 캐릭터들을 필요로 할까.

성장하는 주인공의 멘토 혹은 후원자
요즘 드라마의 주요한 특징 중 하나가 성장하는 주인공이라는 캐릭터 설정이다. 이것은 특히 권력과 욕망을 두고 전개되는 드라마 속에 자주 등장하는데, 그것은 이미 성장해 권력을 잡은 무소불위의 주인공은 시청자가 감정이입할 여지를 주지 않기 때문이다. 이보다는 쉽게 감정이입이 되는 평범한 주인공이 점차 권력의 정점을 향해 가는 성공의 과정은 보는 이에게 충분한 대리충족을 시켜주게 된다.

이런 성장 캐릭터가 등장하는 드라마의 문제는 그 초반부에 있다. RPG게임을 해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겠지만 캐릭터가 성장하는 과정을 바라보는 건 때론 지루할 수 있고, 그렇게 되면 초반부 드라마 전개는 자칫 무미건조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카리스마 부재의 문제를 해결해주면서 동시에 주인공에게 그 카리스마를 연계해줄 캐릭터들이 필요하게 된다. 즉 주인공의 멘토 혹은 후원자가 필요해지는 것이다.

조치겸이나 영조, 그리고 최강국이라는 캐릭터는 이러한 필요에 의해 세워진 것이다. 이들은 주인공은 아니지만 강력한 카리스마를 가지고 드라마 전체를 휘어잡으며 시청자들의 눈을 뗄 수 없게 만든다는 특징이 있다. 드라마 초반부에 이러한 힘은 드라마 성공에 있어 절대적이라는 점에서 캐스팅에 있어 주인공 못지 않은 비중을 차지한다. 전광렬이나 이순재, 조재현은 누구나 그 연기력을 인정받는 대배우들이다. 이들 대배우들의 호연은 드라마에 더욱 힘을 불어넣는다.

문제는 주인공이 그 캐릭터를 넘지 못하는 것
문제는 주인공이 이제 나이가 들어 성장한 상황에서도 여전히 그들 캐릭터의 힘이 주인공에게로 넘어오지 않는 지점에 있다. ‘왕과 나’의 조치겸은 주인공인 김처선(오만석)이 성장하기까지 내시부를 이끌며, 예종 같은 왕, 한명회 같은 조정대신, 인수대비 같은 왕실인물, 노상선 같은 내시부 구세력들과 맞서며 권력형 내시의 카리스마를 보여왔다. 그 같은 상황에 김처선이 한 것이라곤 운명적인 사랑의 굴레 속에서 허우적대는 것이었으니, 드라마의 재미는 주인공이 아닌 조치겸으로 기울어질 수밖에. 결과적으로 카리스마는 김처선에게 전수되지 않았다.

‘이산’의 영조는 이산(이서진)의 가장 강력한 위협이면서 동시에 가장 가까운 협력자로서 카리스마를 발휘해왔다. 이산을 위기에 빠뜨리는 것은 어찌 보면 노론 벽파 세력이라기보다는 영조 자신인 경우가 더 많았다. 그래서일까. 긴박하게 도무지 해결될 것 같지 않게 흘러가던 상황도 영조가 등장하면 그걸로 끝이었다. 이미 영조가 붕어한 상황이니 이제 그 카리스마는 온전히 이산이 차지해야 하나 그것이 효력을 발휘할 지는 미지수다. 위기에 빠뜨려 성장하게 만들었던 영조는 사라졌고, 또한 노론 벽파 역시 거의 궤멸 직전까지 간 상황에서 이산의 카리스마가 제대로 세워질 수 있을까하는 의구심이 들기 때문이다.

한편 ‘뉴하트’의 최강국은 이제 주인공을 도와주는 역할에서 아예 주인공의 역할을 맡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드라마의 갈등구조가 결국 병원 내의 권력구도에서 비롯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최강국을 멘토로 성장드라마를 엮어가야 할 이은성(지성)은 좀체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드라마의 갈등은 최강국이 풀어내고 이은성은 남혜석(김민정)과의 멜로 라인을 엮어내는 병렬적인 역할을 맞고 있는 상황이다.

배우의 문제가 아닌 작가의 문제
이것은 배우들에게도 큰 도전이 아닐 수 없다. 대배우들의 그늘 속에서 주인공을 맡은 자신이 정작 힘을 발휘하지 못하는 상황이 그다지 바람직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그것이 배우들의 문제라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이것은 배우의 문제라기보다는 작가의 문제가 더 크다.

작가는 주인공 속에 주제의식을 심어 넣기 마련인데, 주인공이 아닌 다른 인물에 집중되지 않는 이런 상황은 결국 시청률 앞에 작가의 주제의식이 흔들리고 있다는 반증으로 밖에 볼 수 없다. 시청률을 올리는데 일조했던 그 캐릭터와 그 캐릭터가 만들어냈던 극적 상황들을 과감하게 버리고, 본래의 기획의도로 돌아간다는 것은, 시청률이란 잣대 위에서 보면 무모한 일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조치겸이나 영조, 최강국 같은 카리스마 넘치는 조연들이 극 속에서 주인공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게 된 이유가 된다. 그 이유를 이해할 수 없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한 것은 아닌 것 같다. 그 속에서 꿈틀대는 시청률 지상주의라는 괴물이 엿보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