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두꽃’, 죽을 걸 알면서도 나선 의병들, 그건 전쟁 아닌 사랑
막강한 화력으로 무장한 일본군들이 지키고 있는 우금티 고개. 도적이 출몰해 소가 지나는 걸 금했다는데서 이름 붙여진 우금티는 공주로 들어가는 길목으로서 뚫고 들어가기가 결코 쉽지 않은 요지다. 일본군들이 기관포로 쏴대면 속수무책으로 죽을 수밖에 없는 그 길. 하지만 실제 역사에서도 그랬고 그걸 재연해낸 SBS 금토드라마 <녹두꽃>에서도 그러하듯이 그들은 죽을 줄 알면서도 그 고개를 넘기 위해 뛰어든다. 전투가 아니라 학살에 가까웠다는 우금티 전투. 그 처절한 의병들의 사투가 이제 <녹두꽃>에서 서막을 올렸다.
도대체 이들은 왜 그 죽음이 예고된 길을 피하지 않고 기꺼이 나아갔을까. 아마도 <녹두꽃>이라는 동학농민혁명을 소재로 다룬 드라마가 담으려 했던 건 이 혁명의 결과가 아니라 과정이었을 게다. 결과야 우리는 이미 역사를 통해 다 알고 있다. 우금티 전투에서 일본군과 맞서게 된 동학 의병들은 결국 그 막강한 화력에 의해 패하고 전봉준은 동학군을 해산시킨다. 결국 그해 배반자의 밀고로 전봉준이 순창에서 체포되면서 동학농민혁명은 미완으로 끝으로 맺는다.
사실 실패로 끝나버린 혁명을 드라마로 담는다는 건 여러모로 부담이 되는 일이다. 시청자들에게는 그 비극적 정조가 드라마를 보는 데 만만찮은 무거움을 주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녹두꽃>이 동학농민혁명을 재조명한 건 단지 그것을 ‘실패의 역사’로 놔두고 싶지 않다는 뜻이었을 게다. 그들이 당대에 깨어낸 민중의식은 당시 혁명에서는 꽃을 피우지 못했지만, 결국 지지 않고 이어져 현재로 그대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이어져온 민중의 역사 그 과정으로 보면 <녹두꽃>이 담고 있는 동학농민혁명은 그래서 실패가 아닌 미래의 성공을 위한 초석이 되는 셈이다.
여기서 중요해지는 건 그들이 어떤 이유로 어떤 생각과 마음으로 그 혁명에 뛰어들었는가 하는 점이다. 고종의 “거병하라”는 밀서에 의해 조용히 거병 준비를 마치던 차에 일제의 강압으로 고종이 쓰게 된 효유문은 동학 의병들을 허탈하게 만든다. 이제는 나라의 지지도 받지 못한 채 일본군과 싸워야 하는 지경에 이른 것이다.
그런 싸움에 왜 사람들이 뛰어들고 있는가를 묻는 전봉준(김무성)에게 백이강(조정석)은 “저마다 지켜야할 소중한 것들을 위해서”라고 말한다. 왕을 위해 싸우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가족과 터전 같은 것들을 지키기 위해서라고. 그러자 전봉준은 백이강에게 자신들이 하고 있는 일이 전쟁이 아니라 혁명이라는 걸 얘기해준다. “전쟁은 증오가 만들지만 이건 사랑이 만든다” 라며 그것이 바로 “혁명‘이라는 것.
이 말은 이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엇나간 선택을 한 백이강의 동생 백이현(윤시윤)의 친일행각이 무엇이었는가를 분명히 하고 있다. 그건 증오가 만들어낸 ‘전쟁’일 뿐이었다. 문명의 탈을 쓴 ‘야만’의 전쟁. 그는 끝까지 문명은 더 많은 희생을 줄이기 위해 일부 희생을 감수하려 한다고 변명하지만, 일본의 지령에 담긴 “모조리 살육”이라는 글귀에 충격을 받는다. 어리석고 참담한 친일행각의 변명과 합리화가 모두 자신의 착각일 뿐이었다는 걸 깨닫게 되는 순간이다.
이제 다음 주에 그려질 우금티 전투는 바로 이 가슴 뜨거워지는 혁명의 눈물과 땀과 피가 그려질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아픈 실패로 끝나버릴지라도 죽은 채 살아가는 것보다, 단 하루를 싸우다 죽어도 산 사람으로 죽기를 원한 당대 의병들의 숭고한 선택을 그려낼 것이다. 또한 그들이 있어 지금의 우리가 있으며, 그러니 그건 결코 실패한 혁명이 아니었다는 것을.(사진:SBS)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밤' 길해연·김정영, 손 맞잡은 엄마들의 연대가 뜻하는 것 (0) | 2019.07.07 |
---|---|
'봄밤', 이들은 대체 사랑을 뭐라 생각하는 건가 (0) | 2019.07.05 |
'보좌관' 이정재·신민아, 뭐 이리 쫄깃한 멜로가 있나 (0) | 2019.07.01 |
'봄밤' 시청자마저 창피하게 만든 이런 아빠 (0) | 2019.07.01 |
정치권 이야기는 신물 나는데, '보좌관'은 흥미진진한 까닭 (0) | 2019.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