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그 남자의 기억법' 김동욱의 말이 너무나 공감된다는 건

728x90

‘그 남자의 기억법’, 이렇게 진중한데 발랄한 드라마가 가능하다니

 

“하진씨 좋은 사람이에요. 항상 행복했으면 좋겠어요. 진심이에요” 까칠하게 굴던 이정훈(김동욱)이 하는 그 말에 여하진(문가영)은 고마워하면서도 무언가 석연찮은 느낌을 받는다. 마치 마지막으로 볼 사람처럼 얘기한다는 느낌. 그리고 그 느낌은 그대로 맞아 떨어진다. 정훈은 하진에게 선을 긋는다. “앞으로 이렇게 연락하고 만나는 일 다신 없었으면 좋겠어요.”

 

MBC 수목드라마 <그 남자의 기억법>에서 정훈의 이런 말은 그 부분만 떼어놓고 들으면 앞뒤가 맞지 않아 보인다. 좋은 사람이라며 행복을 빈다더니 다신 만나지 말자니. 하지만 정훈이 처한 앞뒤 사정을 놓고 보면 그 말이 너무나 공감된다. 그것은 과잉기억증후군으로 결코 지워내지 못하는 첫사랑 서연(이주빈)과 하진이 둘도 없던 절친 사이였다는 사실을 그가 알았기 때문이다.

 

서연이 죽은 후 하진은 그 고통에서 벗어나지 못했고, 급기야 극단적인 선택을 시도하기까지 했다. 하지만 가까스로 깨어난 하진은 서연을 기억하지 못했다.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뇌가 그 기억을 지워버린 것이다. 그 사실을 하진의 주치의인 태은(윤종훈)에게서 들은 정훈은 그 기억이 되살아난다면 하진이 겪을 고통을 알게 되었다.

 

그 고통을 겪었고 현재도 겪고 있는 정훈으로서는 하진의 상황에서 복합적인 감정을 느꼈다. “한편으론 부럽고, 한편으론 안 됐고. 어떤 기분인지 상상도 안 가. 소중한 기억을 잊고 살아야 한다는 거. 어느 쪽이 더 가여운 걸까? 영원히 잊지 못하는 내가, 아니면 살기 위해 잊어야 했던 여하진씨가.”

 

그가 하진에게 ‘좋은 사람’이라고 한 건, 서연의 죽음을 그토록 아프게 겪었다는 사실에 대한 이야기였고, 그래서 “행복했으면 좋겠다”는 말은 마치 자기 자신에게 하는 듯 진심이 담긴 말이었다. 그리고 다시는 만나는 일이 없었으면 좋겠다는 선 긋기는 다른 말로 하면 하진이 다시 그 아픈 기억 속으로 들여가지 않았으면 한다는 마음의 또 다른 표현이었다.

 

정훈의 말에 우리가 깊게 공감하게 되는 건, 갑작스레 떠나버린 사랑했던 사람에 대해 자신이 겪은 고통과 그것을 똑같이 겪었을 하진에 대한 배려가 그 속에서 묻어나기 때문이다. 이처럼 우리가 누군가의 고통을 진정으로 이해하고 공감한다는 건 사실은 그걸 겪어본 이들만이 공유하는 어떤 것일 수 있다.

 

타인의 고통을 공감한다는 것만큼 우리 시대에 화두가 있을까. 그 많은 사건과 사고들을 접하면서 우리는 그것이 남 일이 아닌 자신의 일인 것처럼 아파하지 않았던가. <그 남자의 기억법>은 그런 고통 앞에서 극단적으로 나타나는 두 가지 상반된 반응을 정훈과 하진이라는 인물을 통해 그려내고 있다. 아파도 잊지 않고 기억한 채 살아가는 이가 있다면, 너무 아파서 기억을 봉인해버리고 살아가는 이도 있다.

 

물론 너무나 큰 고통이기 때문에 벌어지는 일이지만, 영원히 잊지 못하고 과거에 머물러 있는 삶이나, 그렇다고 아예 회피하듯 지워버린 채 살아가는 삶 모두 바람직한 일은 아닐 게다. 여기서 이 드라마는 이 양자가 서로를 들여다보며 고통을 함께 껴안아가는 과정을 통해 어떤 해법을 제시하려 하고 있다.

 

정훈이 기억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그 무거운 짐을 등에 이고 살아가는 캐릭터라면, 하진은 기억을 지워버려 너무나 가볍게 살아가는 캐릭터다. 이 무거움과 가벼움의 균형은 드라마가 너무 침잠하지도 그렇다고 너무 날아가지도 않는 중심 추를 잡아주는 이유가 된다. 기억이나 상처 같은 무게감 있는 메시지를 던지면서도 어딘지 상큼발랄한 경쾌함을 이 드라마가 만들어내는 건 그래서다. 그리고 어쩌면 이 무거움과 가벼움의 적절한 조화에 이들이 처한 문제의 해법이 있지 않을까 싶다. 그건 결국 두 사람이 서로의 아픔을 공감하면서 한 걸음씩 다가가는 그 과정을 통해 그려질 것이지만.(사진:M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