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간만에 보는 찐 멜로 '날씨가', 이렇게 슬플 수가 있나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간만에 보는 찐 멜로 '날씨가', 이렇게 슬플 수가 있나

D.H.Jung 2020. 4. 27. 15:15
728x90

‘날씨가’, 박민영과 문정희의 흐린 삶 좋아지기를 바란 건

 

“넌 따뜻한 게 뭔 줄 아니? 그녀가 물었고 난 대답했다. 내 차가운 손이 너의 차가운 손에 닿아 우리 둘 다 뜨거워지는 것이라고. 외로움이 외로움을 만나 아늑함이 되고 슬픔이 슬픔을 만나 기쁨이 되고 서늘한 바람이 서늘한 바람과 부딪쳐 포근한 눈이 되는 것이 바로 따뜻한 것이라고.” JTBC 월화드라마 <날씨가 좋으면 찾아가겠어요>에서 심명여(문정희)는 차윤택(황건)의 책에 써진 글귀를 읽는다. 그 글귀는 이 드라마가 그리려한 슬픔과 따뜻함의 정체를 잘 드러낸다.

 

아버지는 상습적인 폭력을 엄마에게 휘둘렀고, 그걸 목격한 이모 심명여는 두려움 끝에 엑셀을 밟아 그 아버지를 죽게 했다. 엄마는 대신 감옥에 갔고 이모는 죄책감에 시달리며 스스로를 벌주며 살아가고 있었다. 그 모든 사실을 심명여가 쓴 소설을 통해 알게 된 목해원(박민영)은 절망할 수밖에 없었다. 자신이 유일하게 의지했던 심명여가 아빠를 죽였다는 사실이 그렇고, 그토록 증오했던 엄마가 사실을 숨긴 채 살아왔다는 사실이 그러했다. 살인자의 딸이라는 오명을 뒤집어쓴 채 무채색의 시절을 버텨내며 살아야 했던 목해원으로서는 받아들이기 힘든 진실이다.

 

하지만 굳이 자수해 지은 죄에 대한 벌을 받겠다는 심명여의 말에 목해원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감정에 빠져든다. 아빠를 죽였고 그걸 속여 왔다는 사실에 분노하면서도 이모가 얼마나 괴롭게 스스로를 자책하고 자신을 보듬으려 했는지를 목해원은 잘 알기 때문이다. 방황하다 술에 취해 쓰러진 목해원을 데려다 재운 김보영(임세미)은 그에게 의외의 이야기를 한다.

 

“무엇이든 오래 되다보면 흠도 생기고 상처도 생겨. 완전무결한 관계는 없다고 생각해 금이 가면 좀 어때. 상처 좀 주고받으면 그건 또 어때? 우린 다 완벽하지 않아. 그래서 서로한테 미안해야 될 일들을 만들고 또 사과하고 다시 고치고 그러면서 사는 거야. 내가 너한테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주기는 했지만 난 정말 다시 기회를 얻고 싶었어.”

 

그건 과거 ‘살인자의 딸’이라는 말이 흘러나오게 해서 목해원에게 큰 상처를 주었던 김보영의 진심어린 마음을 담은 말이지만, 그 이야기는 심명여와 자신의 상황을 떠올리게 한다. 완벽하지 않은 삶. 그래서 사과하고 고치면서 사는 삶.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줬어도 다시금 기회를 갖고 싶은 그런 삶.

 

그 이야기가 준 울림 때문이었을까. 목해원은 심명여에게 자수하지 말라 말한다. “이모. 난 이모가 좀 미워. 내가 아플까봐 그런 거였다니. 난 사실 그 말을 들으면 이모를 이해할 줄 알았는데 아니었어. 난 아직도 이모를 이해할 수 없어. 가족이라면 같이 아파해도 된다고 생각하거든 난. 같이 아프자 이모. 자수하지 마.” 같이 아프자고 했지만 목해원은 심명여를 더 이상 예전처럼 보기 어렵다며 떠나겠다고 결심한다.

 

그래서 사랑하게 된 은섭(서강준)을 찾아가 이별을 이야기한다. 은섭은 자신이 시크릿 다이어리에 써 놓은 것처럼 아무렇지도 않다는 듯 해원의 이별을 받아들이지만, 곧바로 굿나잇 책방 문을 닫고 산 속 오두막으로 간다. 그리고 차디찬 아궁이에 불을 붙이고 늘 그래왔다는 듯이 아픔을 홀로 견뎌내려 한다. 참다못해 책방에 갔다가 문이 닫힌 걸 알고는 한 달음에 오두막으로 달려온 해원은 은섭의 품속으로 뛰어든다.

 

어쩌면 이토록 슬플 수가 있을까. 오랜 만에 보는 진짜 멜로의 감성이 아닐 수 없다. <날씨가 좋으면 찾아가겠어요>는 차윤택의 문장에 담겨진 차가운 손이 차가운 손을 만나고 외로움이 외로움을 만나고 슬픔이 슬픔을 만나며 서늘한 바람이 서늘한 바람을 만나 만들어내는 따뜻함을 그려내고 있다. 목해원과 심명여의 만남이 그렇고, 심명여와 차윤택이 만남이 그러하며 목해원과 보영의 만남 또한 그러하다.

 

이러한 감성을 이 드라마는 계절과 날씨의 변화에 빗대 풀어냄으로서 보는 이들의 마음을 촉촉이 건드린다. 진실이 밝혀지는 대목에서 폭풍처럼 몰려 닥치는 빗줄기들이 추적추적 쏟아진다면, 한참을 울고 난 후 화면은 촉촉이 젖어있는 거리의 물빛을 담아낸다. 비가 개인 후 돌아오는 목해원의 얼굴에는 여전히 아프지만 단단해진 마음이 느껴지고, 임은섭이 고통을 홀로 삼키려 간 오두막을 향해 달려가 한 달음에 포옹하는 그 장면에서는 마치 서늘한 바람이 서늘한 바람을 만나 포근한 눈이 되는 느낌을 준다.

 

그리고 그렇게 계절이 흘러간다. 추운 겨울에 이 마을에 들어왔던 목해원은 이제 봄이 왔다고 말한다. 그건 자신이 떠날 때가 됐다는 의미다. 그 겨울에서 봄 사이에 목해원은 차가웠고 외로웠고 슬펐고 서늘했지만, 다른 이들 역시 자신과 그다지 다르지 않다는 걸 알게 되면서 따뜻했다. 거기에는 자신이 도무지 어찌할 수 없는 엄청난 진실의 시련이 있었지만, 그럼에도 계절은 흐르고 있었다.

 

<날씨가 좋으면 찾아가겠어요>는 목해원과 임은섭의 비극적인 가족사와 그럼에도 두 사람이 서로를 보듬어주는 그 위로의 이야기를 담았다. 사실 그 비극은 그들이 만든 것도 아니었고 그렇다고 거부할 수 있는 일도 아니었다. 그저 벌어진 것이다. 그런 비극 앞에서 우리는 어떻게 살아낼 수 있을까에 대해 드라마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추운 겨울이 지나면 봄이 오듯이, 그런 비극 또한 계절이나 날씨 같은 거라고. 때론 궂은 얼굴을 하고 있지만, 차차 좋아질 거라고. 그래서 헤어졌던 연인들과 가족은 다시 찾아가기 마련이라고. 날씨가 좋아지면.(사진:JT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