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영혼수선공' 신하균은 시청자 마음까지 치유해줄 수 있을까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영혼수선공' 신하균은 시청자 마음까지 치유해줄 수 있을까

D.H.Jung 2020. 5. 18. 16:25
728x90

'영혼수선공',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 깨는 드라마가 된다면

 

"선생님도 병이 있으시네요. 직업병. 사람들을 죄다 환자로 보시나 봐요. 근데 저는 아픈 거 아니에요. 그냥 성질이 더러운 거지. 호의는 고맙지만 제 성격은 제가 알아서 할게요." KBS 수목드라마 <영혼수선공>에서 한우주(정소민)는 정신과 의사 이시준(신하균)에게 그렇게 말한다. 하지만 한우주는 사귀던 남자가 다른 여자를 만나는 걸 보고는 격분해 주차장에서 차를 부실 정도로 분노조절장애를 가진 인물이다. 사소한 말다툼에도 화를 참지 못해 언성을 높이기 일쑤다.

 

그런 그에게 이시준은 다가가 도움의 손길을 내민다. 하지만 한우주는 또 화가 난다. 자신을 정신병 환자 취급하는 것 같아서다. 그래서 그는 자신의 마음에 병이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려 하지 않는다. 그래서 그렇게 분노를 터트려 일을 그르치기도 하는 자신의 문제를 '성격' 때문이라 치부한다.

 

아마도 이 상황은 정신과를 바라보는 편견과 선입견을 잘 드러내는 에피소드일 게다. 어느 날부터인가 거식증을 갖게 된 환자는 마치 자신이 그 이유를 다 알고 있다는 듯이 말한다. 자신의 엄마가 자신을 인형처럼 마음대로 키웠다는 것. 그래서 거기에 자신이 반항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그를 상담해 치료해주려는 의사를 거부한다. 거식증을 앓고 있는 건 드러난 현상이니 맞지만, 그렇다고 정신과 환자라는 걸 인정하고 싶어 하지 않는다.

 

<영혼수선공>은 그래서 어찌 보면 시청자들도 잘 인정하고 싶지 않은 일상에서의 어떤 행동들이나 말들이 '정신 질환' 중 하나일 수 있다는 다소 불편할 수 있는 이야기를 꺼내놓는다. 드라마 속 한우주가 그런 것처럼 우리는 정신과 하면 "미쳤다"는 표현에 담겨 있듯이 아프다기보다는 그 이상의 부정적인 의미를 떠올리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정반대로 어떤 환자가 저지른 다소 심각한 사건들이 정신 질환 때문이라고 이야기하는 것에서도 심리적 저항감을 느끼기 쉽다. 이 드라마의 첫 번째 에피소드로 등장했던 자신이 경찰이라고 착각하는 남자의 이야기가 그렇다. 그는 결국 병원을 탈출해 뮤지컬 시상식에서 신인상을 받는 한우주를 음주운전을 한 것처럼 오인시켜 버린다. 이로서 한우주는 이제 막 날개를 펴려던 찰나 그 날개가 꺾여버린다.

 

그건 분명 그 환자의 망상장애가 원인이긴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주치의인 이시준이 한우주를 찾아와 사정을 이야기하고 선처를 해달라 고개를 숙이는 장면에서 다소의 불편함이 느껴진다. 그건 그저 정신질환이라 치부하고 넘어가기에는 한 사람의 일상이 너무나 크게 파괴된 결과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혼수선공>은 정신질환이 마음에 병이 든 것일 뿐 그 이상의 어떤 부정적인 의미가 있는 건 아니라고 말하고 있다. 그래서 감기에 걸리면 내과에 가듯, 정신적 아픔이 있으면 찾아야 할 곳이 정신과라는 것. 이것은 어쩌면 요즘처럼 정신 질환이 훨씬 더 많아질 수밖에 없는 현실에 중요한 편견의 극복일 수 있다.

 

굉장히 특이한 어떤 일들도 들여다보면 우리네 관계에서 비롯되기도 하는 상처가 원인일 수 있다는 걸 애써 드라마는 이야기한다. 종이로 주택의 모형을 만드는 회사에서 모형 중 집 한 채를 입 안에 넣어 병원에 실려온 한 환자의 이야기가 그렇다. 위 속에 있는 종이조각들을 꺼내는 수술을 받은 그는 정신과 상담을 하라는 이야기에 어리둥절해하지만 거기서 이시준을 통해 과거의 상처를 마주하게 된다. 편애가 심해 자신에게 관심을 주지 않았던 아버지가 원인이었다. 어려서 가출해 일주일 후 돌아왔는데도 자신이 집 나간 사실 조차 몰라서 혼자 화장지를 먹었던 과거가 환자에게는 있었다.

 

그리고 이런 영혼의 상처는 환자가 아닌 의사도 똑같이 갖고 있다. 이시준은 유명한 외과의사였던 아버지에게 인정받지 못했다. 하지만 현재 그 아버지는 정신을 놓고 살아가고 있다. 어쩌면 이시준이 환자들의 집을 찾아 나설 정도로 마음의 병을 앓는 이들에게 열성적인 건 아버지의 인정을 끝까지 받지 못한 것과 무관하지 않을 게다.

 

한우주 역시 어려서 입양되었다가 파양된 경험을 했다는 게 드러났다. 그의 분노조절장애가 어쩌면 이 때의 상처와 관련이 있을 지도 모른다는 것. 한우주는 파양한 어머니를 찾아갔다가 이시준을 찾아와 말한다. "지금 아니면 절대 말 못할 것 같아서 왔어요. 선생님 말이 맞았어요. 저 환자에요. 저 좀 치료해 주세요. 치료해 줄 수 있죠?" 그는 자신이 아프다는 걸 인정하고 치료를 요구한다.

 

아마도 <영혼수선공>이 하려는 이야기가 시청자들에게 공감되기 위해서는 저 한우주가 스스로를 환자라 인정하고 치료를 해달라 말하는 것처럼, 우리들 역시 누구나 선선히 정신적인 병을 앓을 수 있고 그럴 때면 정신과를 찾아가 도와 달라 말할 수 있는 상황이어야 할 것이다. 그 편견을 넘어서는 것이 이 드라마의 목적이고 또 하려는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과연 이 다소 괴짜처럼 보이지만 따뜻함이 느껴지는 이시준이라는 정신과 의사는 이런 편견을 극복하고 시청자들까지 치유해줄 수 있을까. 궁금한 대목이 아닐 수 없다.(사진:K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