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입니다'가 엔딩에 담은 새로운 가족관
tvN 월화드라마 <아는 건 별로 없지만 가족입니다(이하 가족입니다)>가 종영했다. 사실 가족주의 시대를 지나 이제 개인주의 시대로 들어선 지금, 가족에 대한 새로운 의미화는 중요한 부분이었다. 하지만 지금껏 수많은 가족드라마들이 만들어졌어도, 그저 옛 가족의 양태를 향수할 뿐, 우리 시대에 맞는 새로운 가족관을 제시한 드라마들은 많지 않았다.
그런 점에서 보면 <가족입니다>는 그 흔치 않은 현재에도 지속 가능할 가족의 모습을 그려냈다는 점에서 특별한 가치를 지닌 드라마였다. <가족입니다>는 '막연히 안다 생각했던 가족'의 모습에서 시작해, 다양한 사건들을 겪으며 '사실은 잘 몰랐던 가족의 진짜 모습'을 발견하고, 그 후에 그 개개인의 진면목을 이해하는 바탕 위에 새로운 가족의 모습을 제시했다.
드라마가 제시한 우리 시대의 가족관은 엔딩에 고스란히 담겼다. 애초 졸혼을 선언하며 엄마나 아내가 아닌 바로 자신으로 서고 싶었던 이진숙(원미경)은 자신의 버킷리스트를 하나씩 해나가기 위해 홀연히 집을 떠났고 긴 여행에서 한결 편안해진 얼굴로 집으로 돌아왔다. 엄마의 부재를 가족들 모두 느꼈지만 애써 내색하지 않았고 다른 가족들도 자신의 삶을 온전히 영위하기 시작했다.
엄마에 대한 부채감이 조금씩 사라지면서 가족들의 삶도 충만해졌다는 건 기존의 가족주의 체계가 엄마의 희생 위에 얹어져 있었기 때문에 엄마도 또 가족들도 서로 힘겨울 수밖에 없었던 관계를 말해준다. 결국 엄마의 홀로서기는 가족들의 홀로서기와 연관되는 것이었다.
결혼 후 한참이 지나서야 남편이 성소수자라는 걸 알고는 이혼하게 된 맏딸 은주(추자현)는 1년이 지나 소록도에서 일하고 있는 전 남편 윤태형(김태훈)을 찾아갔고 두 사람은 서로가 행복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전했다. 서로의 짐을 지고 가는 친구가 되겠다던 그 다짐을 이룬 것. 이혼이 결혼만큼 많아지고 있는 요즘, 그 후 한때 부부로 지냈던 이들이 어떻게 지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작가의 시선이 여기에는 담겨있다. 헤어졌어도 친구처럼 지낼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은주의 출생의 비밀도 이 드라마는 그간 그토록 많았던 가족드라마 속의 그것과는 사뭇 달랐다. 보통 출생의 비밀이 밝혀지는 순간 갑자기 끈끈한 핏줄의식이 발동하는 가족주의적이고 혈연주의적인 풍경 따위는 없었다. 은주는 친아버지를 만나 자신의 이름 석 자를 기억해달라는 말 한 마디를 쿨하게 남긴 채 돌아섰고, 친아버지 역시 핏줄 따위보다는 함께 산 시간이 가족에는 더 중요하다며 은주와의 거리를 두었다. 핏줄에 집착하는 가족주의가 아닌, 타인이어도 같이 살아가는 이가 바로 가족이라는 걸 은주의 남다른 출생의 비밀 이야기가 건네고 있었다.
중간에 끼어 이리 저리 눈치를 보는 게 습관이 된 둘째 은희(한예리)는 타인에게는 "사랑한다"고 그토록 말하면서도 진짜 사랑하는 이에게는 꺼내놓지 못했던 그 말을 이제 찬혁(김지석)에게 하기 시작했다. 늘 자신을 낮추고 양보하는 입장에만 있던 그가 이런 변화를 갖게 된 것은 남다른 남자친구 찬혁 덕분이었다. 찬혁은 은희네 가족을 때론 은희보다도 더 속속들이 이해하려 애쓰는 인물이었다. 누군가를 사랑하고 결혼해 가족을 이루겠다면 적어도 찬혁처럼 그 가족까지 신경 쓰고 배려하는 마음이 필요하다는 걸 이 인물은 말해주고 있다.
생계 때문에 제대로 공부도 하지 못했던 상식(정진영)은 그 열등감을 드디어 이겨냈다. 대학가요제 음악들을 챙겨 들으며 그 다른 세계를 동경했고 그 세계와는 너무나 다른 자신을 스스로 괴롭혔던 그였다. 하지만 그를 열등감에서 벗어나게 해준 건 아내 진숙과의 진솔한 대화를 통해서였다. 그 많은 것들이 오해에서 비롯됐다는 걸 알게 된 상식은 점점 22살 사랑꾼의 모습을 찾아갔고 홀로 세상 밖으로 나간 아내를 위해 화상으로나마 대학가요제의 노래를 불러 주었다.
'우리는 (완벽하진 않지만) 행복한 가족입니다'라는 엔딩 문구는 우리가 이제 개개인으로 서서 자신만의 온전한 삶을 영위하면서도 충분히 서로를 들여다봐주는 가족이 가능하다는 걸 말해준다. 그간 가족에 매몰되어 없는 것처럼 여겨졌고 그래서 아는 건 별로 없던 가족 구성원이 아니라, 이제 조금씩 그 한 사람 한 사람의 진짜 모습을 알아가려는 자세만으로(그래도 완벽하진 않겠지만)도 충분하다는 것. 무릇 우리 시대의 가족드라마라면 이 정도의 문제의식과 거기에 대한 처방전 정도는 있어야 하지 않을까. <가족입니다>는 간만에 보는 공감 가는 가족드라마였다.(사진:tvN)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십시일반' 돈에 환장한 막장가족들? 과연 우리는 다른가 (0) | 2020.08.09 |
---|---|
오정세여서 괜찮아, '사이코'가 특히 감동적인 건 (1) | 2020.07.27 |
'가족'이 툭 던진 돌멩이 하나, 시청자 가슴에 파문을 남기다 (0) | 2020.07.27 |
'우아한 친구들' 성범죄 당한 송윤아는 왜 신고하지 않을까 (0) | 2020.07.20 |
'모범형사' 창피한 건 아는 손현주의 각성, 그래서 더 몰입된다 (0) | 2020.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