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이 가진 메시지, 그 소통의 기억
SBS 월화드라마 ‘식객’에 등장하는 세계적인 음식 칼럼니스트 테드 오가 꿈꾸는 맛은 어린 시절 어머님이 해주셨던 부대찌개다. 온갖 산해진미를 다 맛보았을 그가 서민적인 부대찌개의 맛을 애타게 찾았다는 것은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이 테드 오의 에피소드가 말해주는 것은 음식과 맛이 그저 감각적인 기호 그 이상이라는 것이다. 테드 오가 찾는 것은 부대찌개에 담겨진 그만의 기억이다. 그에게 부대찌개는 어린 시절 배고픈 자식들을 위하는 어머니의 마음이며, 부족해도 그것을 함께 나눠먹던 형제들의 마음이다. 그 맛의 기억이 녹아든 부대찌개가 그에게 인생 최고의 맛이 되는 것은 음식이 때로는 언어처럼 그 담겨진 의미가 소통되고 전달된다는 것을 말해준다.
음식, 만드는 자와 먹는 자의 공감
저 ‘식객’의 테드 오가 보여주는 것처럼, 음식은 그저 음식이 아니다. 그것은 만드는 자와 먹는 자 사이에 놓여진 소통 그 자체가 되기도 한다. 매체철학의 근간을 세운 마샬 맥루한식으로 표현하면, ‘미디어는 메시지’인처럼, ‘음식은 메시지’다. 즉 음식은 우리가 사용하는 말처럼 만드는 자와 먹는 자 사이를 소통하게 해주고, 그걸 만들고 먹는 자의 음식에 대한 생각, 나아가 세상에 대한 생각까지를 변화하게 해준다. 어린 시절 어머니가 아랫목에 넣어두었던 고구마는 나이 들어서도 어머니가 자식에게 표하는 사랑의 상징처럼 자리잡게 마련이고, 그래서 고구마를 먹을 때면 언제나 남다른 애정이 느껴지게 될 것이다.
그것은 때론 개인적인 차원의 정서에만 머물지 않는다. 어머니의 손맛은 세상을 보는 또 다른 눈이 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음식은 손맛’이라는 말은 손으로 했다는 그 물리적인 행위만을 말하지는 않는다. 그것은 ‘손으로 직접 하는 그 정성과 마음’이 맛으로 전해진다는 말이다. 그러니 거꾸로 말해 그 정성과 마음이 사라져버린 음식들, 예를 들면 패스트푸드 같은 것들에 대한 거부는 어머니의 손맛이 세상에 전하는 메시지다.
성찬(김래원)이 운암정의 후계자 자리를 박차고 나와 서민들 속으로 뛰어드는 모습은, 운암정을 브랜드화하여 세계화하려는 봉주(권오중)의 면면과 대비된다. 맛에 대한 경제적 잣대는 맛의 메시지를 규격화시켜 결국에는 사라지게 만든다. 맛에 담겨진 정성과 마음은 사라지고 경제적 가치만이 메시지로 남게 되는 것이다. 테드 오의 평점에 집착하는 봉주에게 오숙수(최불암)가 “운암정의 위상은 한 사람의 입맛에 의한 것이 아니다”라고 하는 말은 그의 음식에 대한 메시지가 서민과 대중들을 향해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당신이 꿈꾸는 맛, 혹시 살맛은 아닌지
손과 손이 만나고, 눈과 눈이 마주치는 그런 사람과 사람간의 직접적인 소통이 점차 사라지고, 대신 자리잡은 시스템화되고 규격화된 네트워크 위에서 사는 요즘 같은 세상에, 오히려 더욱 그리워지는 것은 그 공감의 기억이다. 그리고 음식은 매일 세 번씩 그 공감의 기억을 상기시킨다. 하지만 그것을 민감하게 느끼는 현대인들은 드물다. 매일의 바쁜 일상은 저 불교에서 말하는 자신을 위한 ‘공양’을 귀찮은 행위로까지 전락시킨다.
아침이면 정신 없는 출근길에 대충 군것질로 식사를 대신하고 커피로 공복을 달래기 일쑤며, 점심이면 오늘은 또 뭘로 때우나 하며 여기저기 음식점을 기웃거린다. 저녁이면 과도한 노동에 대한 보상으로서, 때론 자학적인 음주에 빠지기도 하고, 과장된 외식의 화려함 속에 취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런 하루 하루가 지나면서 문득문득 몸이 원하는 맛의 기억이 있다. 그것은 단순하지만 정성이 가득 담겨있던 밥 한 그릇에 대한 그리움이다. 어머니의 손맛에 대한 그리움은, 점점 사라져 가는 세상 살맛에 대한 그리움이 아닐까. ‘식객’이 꿈꾸는 맛은 아마도 바로 그런 맛일 것이다. 한 사람의 생각을 바꾸어주기도 하는 음식은 세상을 바꾸어주는 힘이 되기도 한다. 그러니 어머니는 늘 조용히 세상을 바꿔왔던 것이다.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뷰 게임’, 그 사람의 마음, 얼마나 알고 있습니까 (2) | 2008.07.02 |
---|---|
드라마 권좌, MBC에서 SBS로 이동, 왜? (0) | 2008.07.02 |
‘1박2일’의 개그맨, 이수근의 가치 (0) | 2008.06.30 |
‘달콤시’가 ‘섹앤시’보다 좋은 이유 (0) | 2008.06.27 |
‘달콤한 인생’, 멜로를 해부하다 (0) | 2008.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