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낮과 밤' 사이다와 고구마 시대, 애매한 경계인 남궁민의 가치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낮과 밤' 사이다와 고구마 시대, 애매한 경계인 남궁민의 가치

D.H.Jung 2021. 1. 11. 11:13
728x90

'낮과 밤'의 단순 선악, 사이다·고구마를 넘는 이야기의 매력

 

권선징악 따위는 없다. 애초 선악의 구분이라는 게 애매하기 이를 데 없는 것이니까. tvN 월화드라마 <낮과 밤>에서 28년 전 하얀밤 마을의 참사를 일으킨 인물이 어린 도정우(남궁민)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는 당시 음식물에 약을 탔고, 그 약으로 인해 집단 히스테리를 일으킨 사람들이 서로가 서로를 죽이는 대참사가 벌어졌다. 

 

그런데 바로 그런 참사를 일으킨 도정우는(그것도 어린아이였다) 과연 괴물이라 부를 수 있을까. 그가 그런 일을 벌인 건, 하얀밤 마을에서 은밀하게 벌어졌던 아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인체실험 때문이었다. 인간의 능력을 한계치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약물을 실험했던 그들에 의해 무수히 많은 아이들이 희생됐다. 도정우는 그 실험으로 인해 보통 사람과는 다른 능력을 갖게 됐지만, 동시에 뇌질환에 시달리는 시한부 인생이 됐다. 그러니 도정우라는 괴물을 탄생시킨 건, 저 하얀밤 마을에서 인체실험을 했던 괴물들이었다. 

 

게다가 그 하얀밤 마을의 참사 이후에도 백야재단은 여전히 그 실험을 계속 하고 있었다. 재단 사람들은 그 실험으로 여전히 실존하고 있다는 100살이 넘은 각하라는 존재와, 대통령 비서실장 같은 권력자들이다. 그래서 이들과 싸우는 도정우를 그저 괴물이라 치부할 수는 없다. 더 거대한 괴물이 저 앞에 있고, 도정우 같은 괴물이 아니면 이 막강한 힘을 가진 이들을 대적할 수 있는 인물도 없기 때문이다. 

 

<낮과 밤>에서 도정우라는 인물은 그 위치가 선인지 악인지, 괴물인지 혹은 슈퍼히어로인지 애매하다. 그는 특수팀 팀장이면서도 경찰에 쫓기는 범죄자이고, 백야재단과 관련된 인물들을 대적하고 처단하는 인물이면서도, 그들에 의해 피해를 입은 인물이기도 하다. <낮과 밤>이라는 제목은 그래서 그 무엇도 쉽게 단정할 수 없는 애매한 경계에 서 있는 인물과 상황들이 존재한다는 걸 담고 있고, 그것은 도정우라는 인물을 통해 형상화되어 있다. 

 

그래서 <낮과 밤>은 쉽게 어떤 대결구도를 보여주지 않고, 천천히 에둘러 가며 그 대결구도의 실체를 드러낸다. 처음에는 도정우가 선의 위치에 서 있는 인물로서 연쇄 예고 살인을 벌이는 악과 대적하는 것처럼 보였다가, 그것에 도정우가 가담되어 있었다는 사실과 그가 과거 하얀밤 마을의 생존자 중 한 명이라는 사실을 통해 그 선명했던 선의 위치를 흐릿하게 만든다. 그리고 도정우, 제이미(이청아)와 함께 하얀밤 마을의 세 번째 생존자인 문재웅(윤선우)이 실제 연쇄 예고 살인을 일으킨 주범이라는 걸 밝히면서 과거 28년 전의 비극을 일으킨 인물이 도정우일까 문재웅일까를 추측하게 만든다. 그리고 결국 도정우가 그 괴물이었다는 게 밝혀진다.

 

이렇게 선과 악을 오가는 과정들을 조금씩 풀어내며 이야기를 끌고 가는 건, 스릴러 장르가 갖는 궁금증을 증폭시키기 위한 장치이기도 하지만 그것은 이 작품이 하려는 '경계의 모호함'이라는 주제의식을 드러내기 위함이기도 하다. 도정우라는 인물을 통해 갖게 되는 공포와 연민의 교차와, 살벌한 괴물과 악을 처단하는 영웅을 오가게 하는 반전의 과정들이 그 주제의식을 끌어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물을 모호하게 세우는 설정이나 주제의식은 사실 그 복잡성 때문에 시청률을 끌어올리는 데는 그다지 좋은 선택이 아니다. 최근 들어 시청률이 보장되는 드라마들이란, 간단히 사이다-고구마 드라마라고 표현되는 그런 드라마들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드라마를 이분법적으로 사이다다 고구마다 이렇게 단순히 나누는 세태는 드라마가 가진 다양한 재미와 의미들을 간과하고 무시하는 일이 될 수 있다. 세상 일이 어찌 사이다·고구마로 나뉠 정도로 단순할까.

 

아마도 SBS <펜트하우스> 같은 드라마가 바로 시청자들로 하여금 사이다와 고구마로 드라마를 보게 만드는 작품일 게다. 개연성조차 파괴된 세계에서 작가가 자의적으로 만들어내는 고구마와 사이다의 자극적인 밀당으로 시청률을 얻어가는 드라마. 그래서 이런 드라마에 중독되기 시작하면 사이다 혹은 고구마의 단순 이분법적 세계로 드라마를 보고 요구하는 퇴행적인 시청패턴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낮과 밤>의 모호함이 가진 가치는 오히려 크다. 도정우 같은 애매한 경계에 서 있는 인물이야말로 보다 실체적인 현실에 맞닿아 있다 여겨지기 때문이다. 세상 일이 어찌 사이다, 고구마로만 양분될 정도로 단순할까. 시청률 4%를 내는 <낮과 밤>이 무려 28% 시청률을 내고 시즌1을 종영한 <펜트하우스>보다 가치 있는 이유다.(사진:tv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