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이로운 소문', 정의 구현이 사적 복수가 되지 않으려면
"하늘의 힘을 가진 자가 살인충동을 느끼는 건 악귀나 다름없어." 소문(조병규)의 카운터 자격을 박탈하면서 그의 저승파트너인 위겐(문숙)은 그렇게 말한다. 악귀가 들어간 이들을 제압해 저승으로 보내는 역할을 위임받는 카운터들. 그들은 보통 인간들이 가질 수 없는 힘을 갖지만 거기에도 지켜야할 룰이 존재한다는 걸 위겐은 알려준다.
부모를 죽이고 그 영혼을 제 몸 속에 7년간이나 가둔 채 계속해서 살인을 이어가는 지청신(이홍내) 앞에서 그는 이성을 잃었고, 자신은 물론이고 절친들인 임주연(이지원)과 김웅민(김은수)을 괴롭히고 심지어 생명의 위협까지 가하는 신명휘(최광일) 시장의 아들이자 일진 신혁우(정원창)와 그 일당들 앞에서 그는 살의까지 품었다. 그것이 소문이 카운터 자격을 박탈당하게 되는 이유였다.
OCN 토일드라마 <경이로운 소문>은 이른바 '악귀 사냥꾼' 카운터들이 등장하는 판타지지만, 그 판타지의 가면을 벗겨내고 나면 그 안에 부정한 짓들은 물론이고 살인까지 저지르고도 버젓이 살아가는 '사회악'과 정의의 민낯을 숨기고 있다. 그 악귀들이 빙의되었거나 그런 존재들을 이용하는 이들은 거짓 위선으로 대권까지 노리고 있는 신명휘 시장과 그를 도우며 치부해온 태신그룹 조태신(이도엽) 회장 그리고 이들의 손발이 된 조폭들이다. 그 악은 이제 장르물의 클리셰가 될 정도로 익숙한 시스템이다. 정치인과 재개발로 치부한 건설회사 대표 그리고 이들 대신 손에 피를 묻히는 조폭들이라는 시스템.
이들의 시스템이 얼마나 공고한가는 카운터들의 그런 노력에도 달라진 게 하나도 없고 오히려 더욱 승승장구하는 저들의 모습에서 드러난다. "아저씨 아무 것도 달라진 게 없어요. 그렇게까지 했는데 그 놈들은 상처 하나 없고요. 우리 엄마 아빠 죽인 지청신은 자유의 몸이 됐고, 조태신은 50대 기업 회장에, 신명휘 시장은 대통령 된데요. 되게 거짓말 같아요. 이 모든 게." 소문의 이런 항변은 그래서 뼈아프다. 마치 판타지를 빌어 우리 사회가 현재 처한 현실을 말해주는 것만 같아서다. 공정한 사회와 정의를 기치로 내걸었던 우리네 사회는 과연 최근 몇 년 간 그걸 얼마나 이뤘을까.
소문의 분노는 정의의 구현과 더불어 사적 감정에 휘둘렸던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그는 카운터 자격 박탈을 당하게 됐던 것. 그것이 약자를 위한 선택이었을지 몰라도 힘(권력)을 가진 자는 그걸 휘두르는데도 지켜야할 룰(과정)이 필요한 법이다. 그것은 소문에게만 해당되는 이야기가 아니다. 자신이 과거 어떻게 코마 상태에 이르게 됐는가에 대한 진실을 알아가는 가모탁(유준상) 역시 진실과 정의를 바로 세우는 그 일에서 분노와 사적 감정을 누르지 못한다. 그래서 소문이 달라진 게 하나도 없고 오히려 더 나빠진 현실을 이야기할 때 가모탁은 말한다. "왜 달라진 게 없어. 네가 달라졌고 내가 달라졌는데."
결국 소문도 가모탁도 그 힘의 자격을 박탈당한 후에야 그걸 깨닫고 각성한다. 자신과 친구들을 괴롭히던 신혁우와 그 일당들이 힘을 잃은 채 다리를 절며 나타난 소문을 다시 괴롭히기 시작하지만 그는 과거처럼 그들에게 사적 분노를 쏟아내지는 않는다. 대신 그는 말한다. "그렇게 분노하고 나면 속이 후련하냐? 니 감정 그렇게 주체 못하는 거 너도 니 주변 사람들도 위험하게 만드는 일이야." 그는 카운터 자격 박탈을 통해 자신이 분노의 감정을 억누르지 못한 것이 어떤 결과를 만드는가를 알게 됐다.
어찌된 일인지 아직 밝혀지진 않았지만 기억도 힘도 그대로 갖고 있으면서 모든 힘을 잃은 것처럼 행동해온 소문은 과거와는 달라져 있었다. "여기서 니들 모두 죽여 버릴 수도 있지만 그러면 니들이랑 똑같은 새끼 되는 거니까. 신혁우. 우린 아직 어리잖아. 넌 기회가 있어. (나도 마찬가지고.)" 그는 이제야 왜 분노하되 그것이 사적 복수가 아닌 사회적 정의가 될 수 있게 힘을 써야 하는지를 깨닫는다.
<경이로운 소문>은 이처럼 판타지 액션의 겉모습을 갖고 있지만, 그 안에 우리네 현실이 직면하고 있는 사회 정의의 문제를 다루면서 동시에 그 온당한 사회적 절차를 통한 실현 과정의 중요성 또한 담아내고 있다. 그래서 통쾌한 정의 구현의 사이다 속에 힘을 가진 자들이 자칫 괴물과 싸우다 괴물이 되는 것에 대한 경각심 또한 심어 놓는다. 그래서 이 판타지 액션은 그저 화려하고 속 시원한 볼거리에 머물지 않게 됐다. 바로 이런 성찰적 태도가 작품 속에 들어 있으니.(사진:OCN)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낮과 밤' 사이다와 고구마 시대, 애매한 경계인 남궁민의 가치 (0) | 2021.01.11 |
---|---|
'펜트하우스'가 남긴 것, 결국 변한 건 없었다? (0) | 2021.01.11 |
'며느라기', 요즘도 이런 집이 있느냐고요? 어디나 있습니다 (0) | 2021.01.04 |
'킹덤'·'인간수업'·'스위트홈'이라는 우리네 드라마의 신세계 (0) | 2021.01.04 |
'개천용', 성우에서 우성으로 교체돼도 그나마 실화 바탕이라 (0) | 2021.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