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역시 '유퀴즈', 그들에게 숟가락 얹은 게 아니라 밥상 차려줬다 본문

동그란 세상

역시 '유퀴즈', 그들에게 숟가락 얹은 게 아니라 밥상 차려줬다

D.H.Jung 2021. 8. 27. 12:15
728x90

국가대표 출연, '유퀴즈'가 유독 달리 보였던 건

유 퀴즈 온 더 블럭

올림픽 같은 국가적인 스포츠 이벤트가 끝나고 나면 여지없이 예능가는 바빠진다. 국민적인 관심을 불러일으킨 스타들을 어떻게든 게스트로 섭외하기 위해서다. 이번 도쿄올림픽 이후의 예능가도 마찬가지다. 금메달을 네 개나 획득한 양궁 국가대표 선수들은 모두가 섭외 1순위가 됐고, 드라마틱한 경기로 화제가 됐던 펜싱 남자 국가대표 선수들이나, 여자배구 선수들, 그리고 기계체조 도마의 신재환, 여서정 같은 선수들도 섭외 경쟁이 뜨거웠다. 

 

그래서 여러 예능 프로그램에서 선수들을 볼 수 있었고 그래서 반가웠지만, 그 중에서도 유독 tvN <유 퀴즈 온 더 블럭>은 시청자들의 반응이 남다르다. 물론 이미 타 방송사의 예능 프로그램에서 했던 이야기가 반복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도마의 여서정 선수가 어려서 운동이 힘들어 그만두고 싶었지만 아버지 여홍철에게만은 그 말을 하지 못했다며 눈물을 흘렸던 에피소드는 타 프로그램에서도 소개됐던 내용이었고, 남자 양궁의 김제덕이 ‘파이팅’을 그토록 크게 외쳤던 것이 일종의 전략이었다는 이야기도 이미 타 프로그램에서 나왔던 내용이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 퀴즈 온 더 블럭>은 같은 인물이 나와도 담지 못한 새로운 면들을 찾아낸다. 여서정 선수에 대한 관심은 아버지 여홍철과의 사연 때문에 여러 프로그램에서 주목됐지만, 신재환 선수의 엉뚱하면서도 귀여운 매력은 이 프로그램을 통해 발견됐다. 유재석 옆에 앉아 있는 것만으로도 너무 설레는 모습을 참지 못하는 신재환 선수는 순박한 소년미를 드러냄으로써 유재석을 박장대소하게 만들었다. 

 

그런데 이 프로그램은 단지 그런 웃음만이 아닌 운동선수로서 겪었던 힘겨웠던 상황들에 대한 조명도 잊지 않았다. 여서정 선수는 “잘 해도 아버지 여홍철 덕”이라며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주변의 시선으로 힘겨웠고, 특히 이런 시선 때문에 선수촌 코치로 있던 엄마가 그 일을 그만두었다는 아픈 이야기도 꺼내 놨다. 신재환 선수는 코로나 19 때문에 집안 형편이 어려워져 메달을 딴 후 “빚부터 갚자”는 메시지를 가족들에게 보낸 사연을 들려줬다. 

 

메달을 따고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선수들이지만, 그 과정까지의 어려움도 조명했다. 체조 선수들이 느끼는 심리적 부담감을 거론하며 “기술을 너무 구사하다 보면” 몸의 위치를 까먹는 상태가 생기기도 해도 부상 위험이 따른다며 그 심적 부담감이 슬럼프로 이어지기도 한다고 했다. 또 신재환에게 어쩌면 경쟁자일 수 있는 선배 양학선이 선선히 자신의 노하우를 알려줬다는 대목에서는 스포츠 선수들의 경쟁을 넘어선 그 종목에 대한 애착마저 느껴졌다. 

 

남자 양궁 3인방의 출연에서도 “파이팅” 궁사로 떠오른 김제덕 선수가 할머니에게 금메달을 걸어주겠다고 했던 그 약속을 이행하는 감동적인 장면이 담겨졌고, 특히 맏형으로서 오진혁 선수가 한 때 어깨 부상으로 은퇴를 권고 받았지만 끝내 화를 쏘는 스타일까지 바꿔 현재의 결과까지 이끌어낸 사연이 전해졌다. 

 

이 프로그램의 메달과 상관없이 열심히 뛴 선수들에 대한 상찬과 조명은, 지난주 재일교포로 귀화 권위까지 받았지만 끝내 태극마크를 달고 도쿄에서 동메달을 따낸 안창림 선수의 사연이나, 전패를 했지만 98년 만에 첫 올림픽 출전으로 그 누구보다 사력을 다해 경기를 했던 럭비 대표팀 안드레 진, 정연식 선수를 통해 확인된 바 있다. 순위가 아닌 최선을 보여준 이들에 대한 상찬이 이렇게 자연스러울 수 있는 건 <유 퀴즈 온 더 블럭>이 그간 해온 프로그램의 정체성이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유명한 스타들이 등장하지만, 동시에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조명 받아 마땅한 보통 사람들의 위대한 이야기들이 등장하는 곳. 그것이 <유 퀴즈 온 더 블럭>이기 때문이다. 

 

결국 올림픽을 빛낸 국가대표 선수들이 많은 프로그램에 등장하지만, 그 가치를 더하게 해주는 건 그 프로그램이 그간 해왔던 정체성과 이 섭외가 일관되는 지점이 있어야 가능한 일이다. <유 퀴즈 온 더 블록>이 그간 걸어온 낮지만 깊은 시선이야말로 묵묵히 최선의 노력을 다해 저마다의 성과를 낸 국가대표 선수들의 출연을 더욱 진정성 있게 볼 수 있는 이유라는 것이다. 뜬금없이 밥상에 숟가락을 얻는 것이 아니고.

 

국가대표 특집에 배우 황정민이 ‘국가대표 배우’라는 기치로 출연한 부분 또한 그다지 이물감없게 느껴지는 건, 이 프로그램이 인물을 바라보는 시선이 일관되어 다른 업을 갖고 있는 이들이라도 통하는 면들을 찾아내기 때문이다. 연기는 원래 괴로운 것이라며 “남의 인생을 사는 데 그렇게 쉽게 살 수 있겠어요?”라고 말하고, 한때 유명한 ‘밥상 수상소감’으로 선배 연기자들에게 욕을 먹기도 했지만 자신을 ‘나부랭이’라고 부르며 자신이 배우라 주목받지만 현장에는 보이지 않는 무수한 이들의 노력이 있다는 걸 드러내는 배우. 

 

이런 모습은 여기 출연한 국가대표 선수들이 자신의 성과 뒤에 존재하는 누군가에 대한 감사를 표하는 모습과 다르지 않다. 여서정 선수가 언급하는 아버지와 어머니에 대한 미안함과 고마움이 그렇고, 신재환 선수의 양학선 선수에 대한 감사함이 그렇다. 자신의 성취를 자신을 키워준 할머니에 대한 고마움으로 돌리고 형들 덕분에 잘 쏠 수 있었다고 말하는 김제덕 선수도 마찬가지다. 

 

이것은 <유퀴즈 온 더 블럭>이 이제 유명한 스타들조차 자발적으로 나오고픈 ‘국가대표 예능’으로 성장했지만 자신들의 성취를 그 많은 위대한 삶이 차려 놓은 밥상 덕분이라 치부하는 프로그램의 겸손한 태도에서도 드러난다. 올림픽이 끝난 후 그 많은 국가대표를 초대한 프로그램들 중에서도 특히 <유 퀴즈 온 더 블럭>이 눈에 띄고 특별하게 다가온 건 이런 이유 때문이다. 숟가락이 아니라 기꺼이 밥상이 되어 온 그 과정이 있기에.(사진:tv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