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넷플릭스라 가능했던 ‘D.P.’, 방관했던 뒤통수가 얼얼하다 본문

동그란 세상

넷플릭스라 가능했던 ‘D.P.’, 방관했던 뒤통수가 얼얼하다

D.H.Jung 2021. 9. 15. 16:44
728x90

‘D.P.’라는 역작의 탄생, 한국드라마가 놓쳤던 영역도 돌아봐야

D.P.

“뭐라도 바꾸려면 뭐라도 해야지.” 조석봉 일병(조현철)은 피칠갑을 한 채 그 마지막 한 마디를 남기고 방아쇠를 당겼다. 군대 내에서 지속적으로 가해진 가혹행위와 폭력의 끝은 파국이었다. 그렇게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D.P.>는 끝을 맺었다. 그 엔딩이 마치 내 머릿속으로 총알이 관통한 듯 얼얼하게 느껴진 건, 이미 우리가 그런 일들을 뉴스를 통해 접했던 사실이 뒤늦게 떠올라서다. 그 때 우리는 어떤 생각을 했던가. ‘또 탈영인가’ 하고 대수롭지 않게 지나치지 않았던가. 

 

“뭐라도 바꾸려면 뭐라도 해야지”라고 말하며 파국으로 향했지만, 이러한 방관들은 그 후로도 같은 군대의 부조리와 폭력을 발생시켜왔다. 드라마가 끝나고 엔딩 크레딧이 다 올라간 후 붙여져 있는 쿠키영상에서 다시금 조석봉 일병이 했던 그 말을 남긴 채 울려 퍼지는 총성이 그 현실을 그대로 끄집어낸다. 그래서 우리의 방관은 그저 지나친 게 아니고, 그 폭력과 부조리에 대한 암묵적인 동조가 됐던 셈이다. 뉴스에 살짝 보도된 후, 늘상 있었던 소동 정도로 치부하며 사라지곤 했던 그 사건의 실상과 그 중대함을 들여다보지 않았던, ‘뭐라도 하지 않은’ 우리들의 뒤통수가 더 얼얼하게 느껴지는 건 그래서다. 

 

드라마조차도 군대 이야기는 피했다. 애초 <D.P 개의 날>이라는 김보통 작가의 웹툰이 화제가 되면서, 이를 드라마나 영화로 제작하면 어떨까 하는 목소리들이 있었지만 누가 군대 이야기를 보냐는 말에 묵살되곤 했던 게 우리네 콘텐츠업계가 갖고 있던 선입견과 편견의 장벽이었다. 드러내놓고 말하진 않아도 여성 시청자 타깃을 메인으로 삼는 드라마 제작 관행은 군대 소재라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외면 받게 만들었다. 

 

하지만 <D.P.>가 제작되어 국내는 물론이고 해외에서도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는 사실은 뒤늦게 드라마업계의 뒤통수를 근질거리게 만들고 있다. 군대의 부조리를 마치 사회에서 뚝 떨어진 어떤 공간에서 벌어지는 특정한 사실이라며 외면하고 방관했던 현실과, 그 현실을 역시 문제의식이 아니라 상업적인 판단으로 외면했던 드라마업계의 현실이 다르지 않아서다. 넷플릭스가 <D.P.>를 드라마로 제작해 내놓았다는 사실은 그래서 한국드라마가 그간 지상파 개념(케이블이나 종편도 마찬가지지만)으로 갖고 있던 선입견과 편견의 뒤통수를 때리는 면이 있다. 

 

사실 이런 일은 작년 4월 넷플릭스가 공개해 센세이셔널한 반응을 불러 일으켰던 <인간수업>과도 맞닿아 있다. 고등학생들이지만 범죄의 길에 들어선 이들이 적지 않은 현실 속에서 그간 한국드라마들이 그려왔던 학생들의 세계가 너무 단편적이고 나아가 왜곡과 방관까지 더해져 있다는 걸 이 드라마가 끄집어냈기 때문이다. 청소년 성매매는 실제로 현실에서 벌어지고 있는 사회 문제지만, 한국 드라마들이 그리는 청소년들의 이야기는 그걸 본격적으로 직시하려 하지 않았다는 것. 

 

물론 넷플릭스가 <인간수업>이나 <D.P.> 같은 작품을 내놓은 것이 한국 사회의 현실을 직시하겠다는 그런 의도는 결코 아닐 게다. 다만 이런 진지한 고민을 에둘러 가지 않고 직설적으로 담아내려한 작품들에 관심을 보였고, 그것이 또한 로컬로서의 한국의 색깔을 분명히 드러냄으로써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이 있을 거라고 판단했기 때문일 게다. 

 

그렇다면 여기서 다시 생각해볼 문제가 있다. 그건 지금껏 한국드라마가 관성적으로 갖고 있던 콘텐츠에 대한 소재적, 표현적 제한이나 금기 같은 것이 글로벌 시장으로 진입하고 있는 새로운 환경 안에서는 그 자체로 한계나 장벽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이다. 거꾸로 이야기하면 넷플릭스가 그런 것처럼 지금껏 제한이나 금기로 여겨져 다뤄지지 않았던 영역들이 한국드라마의 글로벌 가능성이 될 수도 있다. 

 

<D.P.>는 그래서 글로벌 시대를 맞이하고 있는 한국드라마에 적잖은 시사점을 제시하는 드라마이기도 하다. 이른바 IP가 경쟁력이 되는 시대에 여전히 과거적 기준으로 가능성 있는 IP들이 사장되거나 외면 받는 현실을 넘어서야 한국드라마의 미래가 그려질 거라는 걸 이 작품이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어서다. “뭐라도 바꾸려면 뭐라도 해야지.”라는 조석봉 일병의 일갈은 그래서 마치 한국드라마의 뒤통수를 얼얼하게 만드는 울림으로 다가온다. 지금은 변환기다. 이 새로운 시대에 적응하려면 외면하고 방관했던 걸 이제 다시금 들여다봐야 한다. 구시대적 관행을 바꾸려면 뭐라도 해야 한다. (사진:넷플릭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