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그란 세상

귀여움 한도초과 ‘세포들’ 덕에 김고은, 안보현이 더 사랑스럽다

728x90

‘유미의 세포들’, 김고은과 안보현에 더 빠져들 수밖에 없는 이유

유미의 세포들

‘윰며들다’라는 표현이 생길만큼 tvN 금토드라마 <유미의 세포들>이 유발하는 ‘과몰입’은 기분 좋게 시청자들을 빨아들이고 있다. 어딘가 <인사이드 아웃>의 아이디어가 떠오르지만, <유미의 세포들>은 더 다양하게 캐릭터화된 세포들이 등장하고, 남녀 관계에서 벌어지는 감정들에 따라 세포마을에서 벌어지는 판타지급 사건들이 <인사이드 아웃>보다 더 긴밀하게 연결되어 전개된다. 그래서 일단 이 ‘세포들’과 공존하는 유미(김고은)의 세계에 발을 디디면 마치 그 세계의 세포 일부분이 된 것처럼 그 감정을 공유하며 ‘시간순삭’을 경험하게 된다. 

 

<유미의 세포들>에서 평범한 재무부 대리인 유미에게 벌어지는 일들은 사실 여타의 멜로드라마들과 비교해보면 그다지 드라마틱하지는 않다. 어려서부터 이어진 인연의 운명적인 재회도 아니고, 그렇다고 관계의 틀 속에서 벌어지는 밀고 당기는 로맨틱 코미디의 사건들도 그리 많지 않다. 이것은 첫 회만 봐도 단박에 드러난다. 첫 회 이야기는 유미의 어느 평범해 보이는 하루를 담는다. 

 

3년 전 연애를 끝내고 그 후유증으로 사랑의 감정을 억누른 채 지내온 유미. 영업부 채우기(최민호)에게 관심이 가던 차에 그가 유미가 살고 있는 일산 갈 약속이 있어 같이 데려다 주겠다고 한다. 유미는 데이트를 기대하지만 역시 그에게 관심이 있는 루비(이유비)가 끼어들어 기대는 깨지고, 다음 날 초연해 보이려 했지만 루비가 채우기와 꽃 축제에 가기로 했다는 말에 흔들린다. 그런데 우기가 유미에게도 같이 가자고 제안하고 데이트가 무산된 루비가 남과장(정순원)까지 초대해 일을 키우면서 일정을 조율하다 꽃 축제 약속은 엉뚱하게도 유미와 채우기 둘의 데이트가 되어버린다. 

 

어찌 보면 유미의 이 첫 회 이야기는 직장인의 평범한 하루에 불과하지만, 시청자들은 이 평범한 하루를 눈을 뗄 수 없는 드라마틱한 반전의 반전의 이야기로 보게 된다. 그것은 전적으로 <유미의 세포들>이라는 드라마에만 존재하는 귀여움 한도초과 세포들의 세계가 있어서다. 빨리 일을 끝내고 채우기와 데이트를 하기를 기대하는 유미의 모습은, 맷돌을 열심히 굴리는 세포들의 모습으로 그려지고, 모든 감정과 생각을 무화시키는 직장인들의 출출함은 거대한 출출세포가 세포마을을 휘젓는 광경으로 묘사된다. 

 

3년 전 연애를 끝낸 유미의 상심은 사실상 이 세포마을의 주인공이라고 할 수 있는 ‘사랑세포’가 겪는 좌절로 극화된다. 헤어진 이후의 슬픔은 세포마을을 홍수로 휩쓸어버린 비로 표현되고, 채우기에 의해 설레는 감정을 갖게 된 유미는 산소호흡기에 유지한 채 깨어나지 못했던 사랑세포가 3년 만에 눈을 뜨는 장면으로 그려진다. 하지만 중간에 루비가 끼어들고 그래서 다음 날 만난 루비 앞에서 표정을 관리하는 유미의 모습 역시 세포마을에서 표정관리 레버를 힘겹게 붙들고 있는 세포들로 그려진다. 이처럼 <유미의 세포들>은 로맨틱 코미디에서 인물들의 대사와 행동으로 드러내던 감정과 생각들을 구체적인 캐릭터로 그려진 세포들의 흥미진진한 이야기로 풀어냄으로써 시청자들을 더욱 몰입하게 만든다. 

 

역시 멜로에서 가장 극적인 장면은 사랑이 시작되는 순간일 게다. <유미의 세포들>에서도 채우기가 성 소수자라는 걸 밝히고 소개해준 구웅(안보현)과 유미가 다소 이상했던 첫 만남부터 조금씩 마음을 열어가고 나아가 첫 키스까지 하는 그 과정 역시, 유미의 세포마을에 어느 날 찾아온 개구리(사실은 구웅의 세포마을 사랑세포)가 마을을 복원하는 모습으로 그려져 그 감동이 컸고, 첫 스킨십에 대한 욕망 역시 응큼이 세포와 응큼이 사우르스 세포라는 귀여운 캐릭터들로 그려져 빵빵 터지는 웃음을 만들었다. 

 

<유미의 세포들>은 멜로 단계에서 벌어지는 감정과 생각들을 세포마을에서 벌어지는 애니메이션으로 구현했다는 점에서 퓨전화된 작품의 훌륭한 성공사례가 아닐 수 없다. 감정과 생각이 구체화됨으로써 멜로는 더 생생해진다. 특히 주목되는 건 영상 위에 덧대진 애니메이션이나 자막 같은 구성물들이 실사 멜로의 몰입을 방해하기보다는 오히려 더 몰입을 가능하게 하는 연출요소로 받아들여진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마치 웹툰의 연출적 표현요소들이 이제는 드라마에서도 충분히 먹힐 수 있다는 걸 잘 보여주는 대목이다. 

 

<유미의 세포들>의 멜로가 효과적이라는 건, 유미와 구웅의 연기를 하는 김고은과 안보현이 더 매력적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마치 세포들이 이들의 연기를 든든히 지지해줘 200% 이 캐릭터들의 감정과 생각을 전해주고 있어서다. 시청자들은 유미의 표정 하나 손짓 하나가 그저 지나치지 않는 그의 감정과 생각을 담고 있다는 걸 새삼 깨닫게 된다. 

 

그리고 이건 또한 우리가 일상을 다시금 보게 만드는 힘이기도 하다. 누군가 한 마디를 했을 때 그 안에 어떤 세포들이 움직였을까를, 이 드라마를 본 이들이라면 한번쯤 떠올려 봤을 게다. 내 안을 다시 들여다보는 것뿐만 아니라, 나와 관계하는 타인들의 마음까지 ‘세포들 차원’에서 들여다보게 해주는 것. <유미의 세포들>은 그래서 유쾌하고 발랄한 로맨틱 코미디지만, 그것이 유발하는 ‘타자에 대한 감수성’은 그 이상의 가치와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 같다. (사진:tv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