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대선주자들의 예능 출연, 홍보효과 별로 없다 본문

동그란 세상

대선주자들의 예능 출연, 홍보효과 별로 없다

D.H.Jung 2021. 10. 7. 13:33
728x90

예능 출연이 대선주자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집사부일체

정치인들에게 대중들이 카리스마가 아닌 친숙한 이미지를 요구하기 시작하면서, 대선주자들의 예능 출연은 이제 하나의 통과의례처럼 자리하고 있는 형국이다. 과연 이러한 흐름은 대선주자의 당락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칠까.

 

‘집사부일체’가 연 대선주자들의 예능행

SBS <집사부일체>는 ‘대선주자 빅3 특집’을 마련해 윤석열 전 총장, 이재명 지사 그리고 이낙연 전 대표를 ‘사부’로 모셨다. 물론 최근 들어 뒷심을 발휘하고 있는 홍준표 의원이 빠졌지만(그는 그래서 TV조선 <와카남>에 출연했다) 현 대선 경쟁의 유력한 인물들을 섭외해 그들의 정치인으로서만이 아닌 일상적인 모습을 보여주겠다는 기획의도다. 시청자들로서는 관심이 갈 수밖에 없는 기획이 아닐 수 없다. 내년 치러질 대선 후보들이 어떤 사람인가를 조금이나마 들여다볼 수 있는 기회로 보여서다. 이런 호기심과 기대감은 <집사부일체>의 급등한 시청률에 그대로 반영됐다. 3.6%(닐슨 코리아)였던 시청률은 7.4%(윤석열 편), 9%(이재명 편)로 훌쩍 뛰었다. 

 

워낙 네거티브 공방이 치열해지고 있는 현 시점이라 예능 프로그램이라 해도 어디까지 질문해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이 있었을 듯싶다. <집사부일체>의 선택은 그 각각의 후보들에게 이익이 될 만한 옷을 입혀주는 것이었다. 윤석열 전 총장은 그간의 행적으로 인해 다소 날카롭고 권위적이라는 이미지가 강했는데, 그래서인지 <집사부일체>는 그의 친근한 이미지를 강조했다. 자택으로 초대해 김치찌개와 계란말이를 직접 요리해 나눠먹고, “그냥 형이라고 해”라고 했던 장면이 인상 깊게 남았다. 또 사법고시 9수를 했던 일화를 통해 낙천적인 성격을 강조했다. 물론 대선주자로서 유권자들에게 자신만의 정책이나 생각을 제대로 들려주는 시간은 상대적으로 적었지만, 윤석열 전 총장의 입장에서는 예능을 통해 얻어갈 수 있는 ‘친근한 이미지’를 최대한 드러냈던 건 사실이다. 

 

이재명 지사도 역시 친근한 이미지를 강조했지만 그가 <집사부일체>로 얻어가려는 건 유독 많았던 그와 관련된 구설과 이슈들을 오히려 풀어내보겠다는 거였다. 사이다 발언으로 정평이 난 이재명 지사는 그래서 친형 강제 입원, 형수 욕설 논란은 물론이고, 김부선 스캔들에 대한 해명에도 거침이 없었다. ‘욕설 논란’에 대해서는 형님이 자신을 진짜 간첩으로 믿고 있었고 어머니까지 협박하는 상황이라 욕을 했다고 선선히 인정하면서 이제는 화해하고 싶다는 뜻을 전했고, ‘김부선 스캔들’에 대해서는 “몸에 점이 없는 것이 부모님에게 물려받은 훌륭한 재산”이라는 말로 신체 특정부위에 점이 있다며 ‘내연관계’를 주장한 김부선의 주장을 부인했다. 이재명 지사는 예능이 허용하는 ‘유머’까지 잘 활용해 논란이라는 위기를 오히려 해명할 수 있는 기회로 삼았다. 

 

대선 홍보영상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정치인들의 예능행

대선에 미디어를 통해 비춰지는 이미지가 중요하게 작용하기 시작한 건 2000년대 초반부터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는 2002년 대선 홍보영상에서 고 노무현 후보가 ‘상록수’의 첫 구절을 통기타를 치며 부르는 장면이 아닐까 싶다. 대부분 정책 중심으로 만들어지던 홍보영상이 감성적인 이미지로 바뀌며 큰 반향을 일으켰던 사례다. 물론 이런 이미지 때문만은 아니었지만 당시 노무현 후보가 대쪽 이미지를 가졌던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와 박빙의 대결을 벌여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대선 후보의 미디어 이미지 전략은 중요하게 받아들여지기 시작했다. 

 

그 다음 대선이었던 2007년에도 한나라당의 이명박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되는데 있어 이른바 ‘욕쟁이 할머니 국밥집’ 홍보영상은 큰 힘을 발휘했다. 훗날 그 할머니는 사실 연기자였다는 게 밝혀졌지만 이 국밥집 홍보영상은 이명박 후보에게 친 서민 이미지와 더불어 경제대통령이라는 슬로건을 국민들에게 각인시켰다. 하지만 후에 <MB의 추억> 같은 다큐멘터리 영화가 상영되면서 거짓 이미지 논란이 생겼고, 이미지 정치가 갖는 문제들이 부각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2012년 대선에는 당시 유력 대선주자였던 박근혜, 문재인 후보가 차례로 <힐링캠프>에 출연했다. 박근혜 후보는 국밥집 토크부터 썰렁 개그에 폭탄주 제조법까지 이야기하며 친근함을 드러냈고, 문재인 후보는 아내와 동반 출연해 부부애를 과시하는가 하면 특전사 시절의 식스팩 사진 공개는 물론이고 격파 실력까지 선보이며 인간미를 과시했다. 물론 이 때는 이미 예능 출연을 통한 소탈한 이미지를 강조하는 것이 정치인들에게는 일상적인 일이 되고 있을 때였다. 2013년부터 방영됐던 JTBC <썰전>은 일찌감치 시사, 정치가 예능과 어떻게 경계를 넘나들 수 있는가를 보여줬고, 2017년 대선에서는 당시 유력주자였던 유승민, 문재인, 안철수, 안희정 등이 출연했다. 그만큼 이제 정치와 예능은 일상적으로 섞이기 시작했고 이 흐름은 정치인들의 유튜브 개인방송 러시로도 이어졌다. 

 

정치인의 친근한 이미지? 부캐일 뿐

그렇다면 현재 정치인들이 방송이나 홍보 영상을 통해 부각시키려는 친근한 이미지들에 대해 대중들은 어떻게 생각할까. 이번 <집사부일체>에 나오는 반응들을 보면 과거만큼 정치인들의 예능 이미지를 무게감 있게 받아들이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그것이 포장된 ‘거짓 이미지’라고 생각하지도 않지만, 그렇다고 그 이미지가 그들의 정치인으로서의 행보와 밀접한 연관관계를 갖는다고도 생각하지 않는 것. 즉 예능의 이미지와 정치인으로서의 행보를 분리해서 바라보는 시선들이 생기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 변화는 정치가 예능 같은 방송과 그간 지속적으로 밀월관계를 해옴으로써 지금은 거기서 보이는 서민적인 이미지의 효용이 과거만큼 크지 않기 때문이다. 여러 차례 대선을 겪으며 그 때마다 나왔던 ‘친서민적 이미지’가 실제 정치에서의 모습과는 사뭇 달랐다는 걸 경험하면서 갖게 된 ‘무덤덤함’이다. 

 

여기에는 또한 최근 본캐와 부캐를 나누어 보는 대중들의 달라진 시선도 작용하고 있다. 일상에서의 친근한 부캐가 정치인으로서의 본캐와는 다를 수 있다는 것. 그래서 예능에 출연한 대선주자들의 면면을 그저 저들의 부캐를 발견하는 재미 정도로 볼뿐, 본캐와 혼동하지는 않게 됐다. 결국 이러한 시선의 변화 속에서 대선주자들은 정책과 정치철학으로서 대중들의 선택받아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됐다. 예능 출연은 일종의 대선주자들이 선 넘는 네거티브전으로 지친 국민들에게 보상하는 일종의 ‘서비스’라고나 할까. 적어도 한번쯤 웃을 수 있게 해준다는 것만으로도.(글:시사저널, 사진:S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