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실체 드러낸 ‘지리산’, 주지훈과 살인자의 대결에 담긴 것들 본문

동그란 세상

실체 드러낸 ‘지리산’, 주지훈과 살인자의 대결에 담긴 것들

D.H.Jung 2021. 11. 1. 20:34
728x90

‘지리산’, 주지훈은 왜 생령이 되어 산을 떠돌게 됐을까

지리산

tvN 토일드라마 <지리산>에 드리워져 있던 안개가 조금씩 걷혀가고 있다. 2018년 지리산 국립공원 최고의 레인저였던 서이강(전지현)과 신입 강현조(주지훈)가 파트너가 되어 함께 활동했던 시절부터 2019년 12월까지 이들에게는 무슨 일이 벌어졌던 걸까. <지리산>은 2020년 현재 그 때 벌어졌던 사건 때문에 떠났던 서이강이 휠체어를 타고 지리산 국립공원 해동분소로 돌아오고, 강현조 역시 코마 상태가 되어 깨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을 보여주면서 시작한다. 

 

그들은 과거 그들까지 그렇게 만들어버린 사건들을 해결하지 못했다. 하지만 포기한 건 아니었다. 서이강이 다시 이 분소로 돌아온 건 그 사건을 해결하려 함이다. 그런데 서이강이 그런 결정을 하게 된 데는 조난자 사고 사진들 속에서 일련의 빨치산 표식을 발견하게 되면서다. 그 표식은 서이강과 강현조만이 아는 것이었다. 서이강은 왜 돌아왔냐는 질문에 이렇게 답한다. “누군가 저 산 위에서 내게 신호를 보내고 있어요. 그 사람이 누군지 알고 싶어서 그래서 돌아왔어요.”

 

서이강의 부탁으로 망바위 뒤쪽 오래된 주목나무 밑둥에 빨치산 표식(해동분소를 가리키는)을 놓으러 간 병아리 레인저 이다원(고민시) 앞에 으스스한 형상을 한 채 나타난 의문의 인물은 바로 강현조였다. 코마 상태로 누워있는 강현조가 어떻게 산에 등장했는가 하는 의문은 그가 바로 생령이었다는 사실로 풀렸다. 생령, 즉 살아있는 영혼은 오컬트 장르에 종종 등장하는 존재로 유체이탈을 하거나 식물인간 상태에서 영혼이 몸 밖으로 나온 존재를 뜻한다. 강렬한 원한이나 어떤 절실함이 만들어낸 생령은 그래서 영혼 상태로 떠돌지만 육신과 연결되어 있다. 

 

결국 강현조가 생령이 되어 지리산을 떠돌고 있다는 사실은, 서이강에게 계속 신호를 보내온 존재가 바로 그라는 걸 말해준다. 그런데 강현조는 왜 코마 상태가 되어서까지 생령이 되어 지리산을 떠돌고 서이강을 불렀던 것일까. 그 이유는 3회에서 밝혀진다. 강현조는 과거 육군 대위로 지리산 행군 훈련을 하면서 부하를 잃은 후, 조난자들이 보이는 환영을 보는 능력(?)을 갖게 됐는데, 그것 때문에 레인저가 되어 지리산 해동분소로 자원한다.

 

그리고 2018년 어느 날의 사건으로 강현조는 과거 부하를 잃은 것이 사고가 아니라 누군가 저지른 살인이었다는 걸 알게 된다. 출입이 금지된 백토골에 들어간 할머니를 서이강과 함께 찾아 나섰다가 환영 속에서 봤던 빈 요구르트 병을 발견한 것. 검은 장갑을 낀 누군가가 놓고 간 그 요구르트를 마신 할머니는 환각을 보고 결국 사망한 채 발견된다. 

 

마침 그 곳에서 훈련 중이던 군인들 중 한 명이 실종되고, 그 역시 요구르트를 마신 후 환각 속에서 헤매다 절벽 끝에서 구조되면서 강현조는 깨닫게 된다. 자신이 본 환영이 현재가 아닌 과거 1년 전 부하가 사망했던 때를 본 것이고 그곳에도 빈 요구르트 병이 있었다는 것. 결국 그는 깨닫는다. ‘누군가 내 동료를 죽였다. 그 사람은 아직도 이 산에 있다. 이 산에서 사람들을 계속 죽이고 있다.’

 

이로써 <지리산>이 어떤 이야기를 하려는지가 분명해졌다. 지리산 안에 무슨 이유인지 지속적으로 사람들을 죽이는 살인자가 있고(마치 조난인 것처럼 꾸며), 서이강과 강현조는 이를 막으려다 한 명은 다리를 잃고 다른 한 명은 코마 상태가 되는 일을 겪은 것. 하지만 이들은 이 상황에서도 또 다른 희생자를 막기 위해 다시 산으로 돌아와 그들만의 방식으로 살인자와 대적하려 하고 있다. 

 

<지리산>의 이야기가 흥미로운 건, 흔한 산악 구조 스토리가 아니라 산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살인사건과 이를 막기 위한 레인저들의 사투를 그리고 있다는 점이고, 서이강과 강현조가 모두 산을 탈 수 없는 육체적 조건(하반신을 못 쓰거나 코마 상태인)으로 빨치산 표식을 통해 서로 연락하며 다른 레인저들과의 공조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해가야 하는 상황이라는 점이다. 

 

특히 지리산이라는 특정한 공간을 배경으로 인물들의 절실하고 강렬한 갈망을 부여해 다소 비현실적일 수 있는 설정과 상황들을 설득해내는 점은 <지리산>의 탁월한 지점이다. 예를 들어 살인자가 왜 하필 산 속에서 연쇄살인을 벌이고 있는가 하는 의문이나, 결국 사망한 할머니가 본 환각이 다름 아닌 빨치산 토벌이라는 명목으로 당했던 양민학살의 끔찍한 광경이라는 점, 그리고 심지어 생령이 되어서까지 조난자를 구하고 살인자를 막으려는 강현조의 이야기는 그들 각자가 가진 절실한 욕망으로 인해 그 비현실성 또한 공감하게 만든다. 

 

즉 강현조는 자신 때문에 부하가 죽었다 생각했지만 살인자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았고 그래서 더 이상 피해자가 나오지 않게 하기 위해 안간힘을 썼던 그 욕망이 코마가 되어서도 생령이 되어 지리산을 떠돌게 만든 이유가 된다. 할머니가 죽기 직전까지 보게 된 양민학살의 비극은 여전히 남아있는 역사의 깊은 상처와 트라우마를 보여주고 있고, 현재까지 끔찍한 살인을 벌이고 있는 살인자 역시 분명 이러한 역사의 비극과 무관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서이강과 강현조의 특별한 공조로 산 속에서 벌어지는 연쇄살인범과의 사투는 그래서 단지 범죄스릴러에서 끝나지 않고 지리산이라는 공간에 담겨진 역사적 비극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골로 간다. 골로 보내버린다. 그런 말 많이 들어봤죠? 골짜기로 갔다. 이 백토골로 들어오면 아무도 살아나가지 못한다는 말에서 유래된 거예요. 이 곳은 지리산 중에서도 유독 음기가 센 곳이에요. 동학혁명, 일제 강점기, 6.25 빨치산 전투까지 오랫동안 여기서 사람들이 죽었거든요. 아직도 땅을 파면 인골이 나와요. 그리고 백토골 곳곳에 십자가가 놓여있거나 돌탑이 쌓인 곳들이 많아요. 무덤도 남기지 못하고 여기서 죽은 사람들을 추모하는 거죠. 만약에 진짜 귀신이 있다면 다른 어느 곳보다 어울리는 곳이에요.” 지리산국립공원 자원보전과 직원인 김솔(이가섭)의 대사를 통해 읽을 수 있듯이, <지리산>은 이 비극의 공간에서 무덤도 남기지 못하고 사라져간 이들을 위한 헌사를 김은희 작가 특유의 미스테리 스릴러를 통해 담아내려 하고 있다. (사진:tv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