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우파’에 대한 열광, 경쟁 속에서도 빛난 댄서들의 선택동그란 세상 2021. 10. 30. 14:17728x90
'스우파', 오징어 게임 판에서도 이들은 모두 우승자였다
스트릿 우먼 파이터 Mnet <스트릿 우먼 파이터>가 종영했다. 최종 우승은 홀리뱅 크루. 2위는 훅 크루에게 돌아갔다. Mnet 서바이벌 오디션으로서 오랜만에 마지막 회까지 집중하게 한 프로그램이었지만, 그건 누가 우승을 할 것인가가 궁금해서가 아니었다. 그보다는 이들의 멋진 무대를 한 번이라도 더 보고픈 마음이 컸다. 그 무대에서는 멋진 춤이 있고, 춤을 통해 전해지는 메시지가 있고, 치열하지만 그 경쟁마저 무화시키는 애티튜드와 그 어떤 강연에서도 들을 수 없는 인사이트 가득한 명언들이 쏟아졌으니 말이다. 최근 2년 넘게 고개를 숙였던 Mnet을 화제의 중심에 놓게 해준 <스트릿 우먼 파이터>. 하지만 그 공은 온전히 댄서들에 있었다.
<스트릿 우먼 파이터>도 그 시작은 여타의 Mnet 오디션 서바이벌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등장부터 서로가 서로를 견제하며 이기려는 크루들의 노골적인 욕망들의 부딪침을 보기 불편할 정도로 각을 세웠다. 미션 자체가 그랬다. 첫 번째 미션이 ‘약자 지목 배틀’이었다. 걸 그룹 출신이라는 이유로 원트의 이채연은 다른 크루들이 물어뜯는 먹잇감으로 연출되었다. 같은 팀에서 활동하다 갈라져 골이 생긴 홀리뱅의 허니제이와 코카앤버터 리헤이의 대결을 세웠고, 라치카 가비와 훅 아이키의 대결은 환불원정대의 안무를 두고 이들이 벌였던 대결을 끌어들여 각을 세웠다.
약육강식, 적자생존, 정복과 굴욕 같은 자극적인 단어들을 의도적으로 사용하면서 제작진은 <스트릿 우먼 파이터>가 일종의 ‘오징어 게임’이라는 걸 강조했다. 이미 <언프리티 랩스타> 같은 서바이벌 오디션을 통해 보여주곤 했던 자극적인 경쟁구도를 내세웠고, 판정이 나는 순간에 여지없이 인터뷰 목소리로 들어간 양자에게서 자신들이 반드시 이긴다는 메시지를 담았다. 보기 불편한 지점까지 끌고 올라가는 대결구도는 Mnet이 과거 <슈퍼스타K> 시즌3에서 ‘악마의 편집’이라고까지 불리게 됐던 그 자극점을 재연해 보여줬다.
하지만 이 ‘오징어 게임’ 판을 명승부의 무대로 바꾼 건 다름 아닌 댄서들이었다. 허니제이와 리헤이의 살벌하기까지 했던 댄스 배틀은, 승부가 끝난 후 허니제이가 본인이 패배했으면서도 양팔을 벌려 리헤이를 안아주는 모습으로 한편의 드라마를 썼다. 그 순간 서로 자신들이 훨씬 낫다고 주장하고, 어떻게든 이기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방법들을 동원하겠다고 한 이들의 욕망은 절실함으로 바뀌었고, 승부에서 최선을 다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상대에 대한 예우라는 걸 보여줬다.
그래서 이기기 위해 무대 위에서 바지를 벗기까지 했던 가비는 프로그램 시작점에서는 최고의 빌런이 될 것처럼 보였지만 갈수록 그 승부욕이 하나의 캐릭터가 되었고, 유튜브를 통해 가비의 다른 모습들을 발견한 시청자들은 승부의 세계에서 이기고픈 욕망을 끝까지 드러내지만, 그 바깥에서는 상대방을 리스펙트하는 그의 솔직함에 매료됐다.
제작진이 첫 회에서부터 프라우드먼의 모니카나 립제이를 다른 크루들의 ‘선생님’ 격이라고 내세운 후, 마치 사제 간의 대결처럼 무대를 몰아간 부분도 전형적인 Mnet 서바이벌 오디션의 자극적인 선택 중 하나였다. 승부에서는 위아래도 없다는 걸 노골적으로 드러낸 것. 하지만 이 부분에서도 댄서들 특히 모니카 같은 선배들이 오히려 나이를 뛰어넘어 후배들을 예우하는 모습으로 명승부를 이끌어냈다. 오히려 승부에서 나이와 서열 따지는 기성세대의 치졸한 면모들을 여지없이 깨버리는 결과가 아닐 수 없었다.
제작진들이 던진 미션들 중에는 <스트릿 우먼 파이터>의 취지와 맞지 않는 것들도 존재했다. 이를 테면 ‘메인 댄서 선발전’은 대놓고 이 댄서들이 가수들 뒤에 서서 잘 드러나지 않던 그 존재감을 대결의 화력으로 활용했고, 메가크루 미션에서는 이른바 ‘연예인 지인 찬스’가 발생하기도 했으며, ‘맨 오브 우먼’ 미션도 자칫 그 중심에 다시 남성을 세울 수도 있는 문제의 소지가 담겨 있었다.
하지만 이 때마다 댄서들은 제작진이 내놓은 오징어 게임을 명승부로 되돌려 놓는 선택들을 보여줬다. ‘메인 댄서 선발전’에서는 선발 과정까지 치열했지만 함께 할 때는 척척 맞아 돌아가는 합을 보여줬고, 메가크루 미션에서의 ‘연예인 지인 찬스’에 대해서는 모니카가 “자존심도 없냐”는 일갈로 상황을 반전시켰다. 또 ‘맨 오브 우먼’ 미션에서 댄서들은 남녀의 성을 뒤바꿔 놓거나, 성을 무화시켜버리는 의상을 입고, 박재범 같은 연예인을 데려와서도 그저 크루의 한 부분처럼 활용하는 방식으로 그 한계를 뛰어넘었다.
“잘 모르겠고 우리가 제일 잘했고 제일 멋있었어. 그럼 된 거야!” 파이널 무대에서 아쉽게 3등에 그친 라치카의 가비는 그렇게 외쳤다. 최종 우승자에서 멀어졌지만 그들은 이미 우승자였다. 최종 우승자가 된 홀리뱅의 허니제이는 우승소감으로 한국의 댄서들 전부를 상찬했다. “대한민국 댄서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준비되어 있었다”며 “이미 멋있기 때문에 자부심 가져도 된다”고 한 것. 2등에 그친 훅의 아이키는 “스우파 댄서들 XX 멋있다!”고 모든 댄서들에게 박수를 보냈다. 이들은 <스트릿 우먼 파이터>에서의 성취가 자신들이 아닌 한국의 댄서 전체의 성취라고 강변하고 있었다.
<스트릿 우먼 파이터>가 열풍을 불러온 것은 어찌 보면 그 살벌한 생존경쟁의 무대는 글로벌 신드롬을 일으킨 <오징어 게임>과 같았지만 그와는 정반대의 드라마를 써낸 댄서들이 있어서다. 이 과정이 감동적이었던 건 우리 모두 어쩌면 비슷한 저마다의 오징어 게임의 현실 속에서 살아가고 있기 때문이고, 그 속에서 그 현실을 비관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적극적으로 승부에 뛰어들고 욕망을 드러내고 그것을 실현시키려 노력하는 것이 잘못된 일이 아니라는 걸 보여줬다.
또 그렇게 승패가 갈린 후 그러한 경쟁의 판 자체를 무화시키는 상대에 대한 존중을 보여주는 것으로 자신들의 목소리를 냈다. 세상은 생존경쟁의 경쟁을 부추기고 있고 그래서 생존과 동시에 이기고픈 욕망이 만들어지지만, 그럼에도 다 함께 이기는 경쟁을 향해 나간 댄서들이 있어 <스트릿 우먼 파이터>가 빛날 수 있었다. 그런 점에서 이들은 모두 우승자였다.(사진:Mnet)
'동그란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경이’, 이번 이영애는 왠지 기대가 간다 (0) 2021.11.05 실체 드러낸 ‘지리산’, 주지훈과 살인자의 대결에 담긴 것들 (0) 2021.11.01 ‘스우파’에 대한 열광, 경쟁 속에서도 빛난 댄서들의 선택 (0) 2021.10.30 ‘유퀴즈’ 빵식이 아재의 행복론... 수백억으로도 못 얻을 가치 (0) 2021.10.26 ‘검은 태양’, 남궁민은 왜 이렇게까지 해야 했던 걸까 (0) 2021.10.21 ‘인간실격’, 실격인 인간이 어디 있겠나, 세상이 무례한 거지 (0) 2021.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