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그란 세상

최우식, 극강의 순한 맛에 숨겨진 만만찮은 강인함(‘그 해 우리는’)

728x90

‘그 해 우리는’, 말하기 전 백 번은 생각하는 듯한 세심함

그 해 우리는

이처럼 순하디 순한 남자 주인공이 오히려 더 강력하게 시청자들을 빨아들이는 이유는 뭘까. SBS 월화드라마 <그 해 우리는>의 최웅(최우식)은 특이한 캐릭터다. 그간 멜로드라마의 남성 캐릭터들과 비교해보면 차이가 분명하다. 어딘가 미숙하지만 그것이 귀엽게 느껴지고, 적극적으로 나서기보다는 일어나는 일들을 받아들이지만 그것이 소심한 귀여움과 더해져 세심하게 느껴지는 면이 있다. 

 

고등학교 시절 학교 전체 꼴등이었지만 그다지 성적에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인물이었고 따라서 성적을 올리기 위해 기를 쓰고 노력하지도 않는 인물이었다. 그저 조용히 반에서 없는 듯 좋아하는 그림을 그리는 일에만 빠져 있던 소년. 그렇지만 그에게 파문을 일으키며 다가온 국연수(김다미)로 인해 그와 함께 하기 위해 공부를 하고 대학에 갔던 이력의 소유자다. 

 

한 동네가 ‘웅이네’ 가게들로 채워질 정도로 잘 사는 집안의 아들이지만, 그렇다고 금수저라는 생각도 또 그런 삶도 선택하지 않았다. 친구인 김지웅(김성철)과 집안 차이는 분명했지만 그런 것과 상관없이 마치 형제처럼 지냈고, 그의 성공 또한 집안의 후광이 아니라 저 스스로 좋아하던 일러스트로 승부해 얻은 결과였다. 

 

최웅은 국연수에 대한 애정을 빼놓고는 그다지 집착하는 것이 없다. 어쩌다 국연수가 진행하는 프로젝트에 연루되어 자신의 라이벌이었던 누아(곽동현)와 함께 이벤트를 하게 됐지만, 그런 것에 그다지 개의치 않을 정도다. 또 자신이 평소 좋아했던 엔제이(노정의)가 그에 대한 호감을 대놓고 드러내도 그는 스타와 팬의 관계 그 이상을 욕망하는 법이 없다. 

 

최웅이라는 캐릭터는 그가 항상 일러스트의 대상으로 삼는 ‘움직이지 않는 건물과 나무’를 닮았다. 늘 그 자리에 서 있고 한 번 뻗은 가지는 그 방향으로만 나아가는 그런 인물. 그래서 국연수가 그 오랜 헤어짐의 시간을 거쳐 다시 그의 집 문 앞에 서게 된 그 광경은 마치 오래 전 최웅이 기대하고 예감했던 것처럼 여겨진다. 움직이지 않고 그 자리에 서 있으면 언젠가 그가 돌아와 서로의 마음에 선을 그어갈 것이라고. 

 

그가 선 하나 하나를 세심하게 그어 일러스트를 그리는 그 과정은 최웅이라는 인물이 삶을 살아가는 방식처럼 여겨지기도 한다. 국연수와 헤어지고 나서 그를 본격적인 일러스트레이터로 만든 건 그래서 어쩌면 그 슬픔과 그리움을 버텨내기 위해 밤새도록 선을 긋는 일에 몰입해서가 아닐까 싶을 정도다. 그러한 시간의 인내는 최웅이 무언가 한 마디를 하기 위해 꽤 오래도록 숙고하는 과정 속에서도 그의 삶의 태도로서 드러난다. 

 

겉으로만 보면 극강의 순한 맛처럼 보이는 남성 캐릭터가 아닐 수 없다. 하지만 그 안을 들여다보면 요동치는 감정들을 애써 꾹꾹 눌러 앉혀 놓은 극강의 강인함이 느껴진다. 최웅이라는 캐릭터가 지금의 청춘 세대들에게 주는 매력이 바로 이것이다. 외부의 조건과 상관없이 또 외부와의 경쟁이 아니라 자신만의 노력과 자신과의 싸움 속에서 단단해진 내면을 가진 존재. 물론 사랑 앞에서는 아직도 질투하고 갈등하며 흔들리지만 그래도 제 길을 찾아갈 것만 같은 인물. 시끄러운 바깥세상에서 한 발작 뒤로 물러나 자신만의 삶을 선택하고 살아가는 청춘에 대한 판타지가 바로 이 인물 속에 담겨 있다. (사진:S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