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그란 세상

불멍, 물멍만 있나 멜로멍도 있다(‘그 해 우리는’)

728x90

‘그 해 우리는’, 뭐 이토록 멍할 정도로 편안한 멜로가 있나

그 해 우리는

이 청춘 멜로는 불멍, 물멍을 하는 것만 같다. 그저 멍하니 바라보고 있으면 잔잔히 미소가 지어지기도 하고 때론 안타깝기도 하며 때때론 가슴 두근거리는 설렘이 전해진다. 그래서 이런 조어가 가능할 듯싶다. ‘멜로멍’. 뭔가 대단한 사건들이 드라마틱하게 펼쳐지지는 않지만 멍하게 바라보며 편안하게 빠져드는 멜로. 바로 SBS 월화드라마 <그 해 우리는>의 세계다. 

 

‘캐치 미 이프 유 캔’이라는 부제를 가진 <그 해 우리는> 7회는 어떤 난감한 상황에서의 최고의 방어는 ‘도망’이라는 최웅(최우식)의 이야기로 시작한다. 그는 도망이 비겁한 선택이라 보지 않는다. 그것이 순간 이성을 잃어 상당히 감정적이게 되는 상대를 피하는 것이라며, 상대를 위한 선택이기도 하다고 말한다. 그는 부딪치기보다는 피한다. 그리고 시간을 번다. 그 갈등의 감정들이 조금은 차분해질 시간을. 

 

인물들 간의 감정이 부딪치고 갈등하는 과정은 멜로드라마의 중요한 서사 구조다. 서로 오해하고 헤어지고 다시 만나고 미워하다가도 다시 사랑하는 그 일련의 과정들. <그 해 우리는>도 그런 과정들을 담는다. 하지만 최웅이라는 독특한 캐릭터는 그 과정들조차 잔잔하게 담아낸다. 직설적으로 부딪쳐 싸우거나 목소리를 드높이기보다는 먼저 ‘도망치고’ 조용히 그 시간들을 감내하며 감정들을 추스르려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가 아주 가끔씩 어떤 계기에 의해 도망치지 않고 드러내는 감정은 이 드라마에서는 더 강렬한 느낌을 준다. “그럼 내일은 네가 기억 안 나는 척 해. 꿈 아니잖아. 왜 꿈인 척 해? 왜 거짓말 해? 연수야. 연수야.. 우리 이거 맞아? 우리 지금 이러고 있는 거 맞냐고? 다른 사람 아니고 우리잖아. 그저 그런 사랑한 거 아니고 그저 그런 이별한 거 아니잖아 우리. 다시 만났으면 잘 지냈냐고 그동안 어떻게 지냈냐고 힘들지는 않았냐고 그동안 너무 힘들었다고 말할 수 있잖아 우리. 어떻게 지냈어? 말해봐. 어떻게 지냈어 너.”

 

어느 날 갑자기 불쑥 이별을 얘기한 연수(김다미)로 인해 너무나 힘들었던 최웅이었다. 어쩌면 그가 꼬박 며칠간을 밤을 새워 선 하나하나 그어 그림을 완성할 수 있었던 건, 그 힘들었던 시간들을 잠시라도 잊기 위함은 아니었을까 싶을 정도다. 하지만 다시 그의 앞에 연수가 나타났을 때 최웅은 늘 그러하듯 직접 부딪치고 따지기보다는 도망치고 있었다.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 속으로 꾹꾹 누르며. 그랬던 것이 어떤 비등점을 넘으면서 불쑥 터져 나왔을 때 연수도 자신의 마음을 알았다. 그렇게 떠난 것이 그 없이 살 수 있을 거라는 자신의 오만이었다는 걸. 

 

<그 해 우리는>에서 연수가 최웅에게 갑작스런 이별을 통보한 건, 현실적인 문제들 때문이었다. 사는 환경이 너무나 달랐던 것. 이 청춘서사에도 그래서 보이지 않는 저 편에 금수저 흙수저의 현실이 드리워져 있다. 하지만 이 청춘서사는 그것이 근본적인 장애라 얘기하지 않는다. 그 현실 때문에 이들의 사랑을 방해하는 어른들도 없다. 아니 최웅의 부모들은 김지웅(김성철)을 친 아들처럼 대하고 연수를 애틋한 마음으로 바라볼 정도로 그런 현실적 조건들과 상관없이 모든 걸 품어주는 어른들이다. 

 

대신 <그 해 우리는>은 마치 일단 도망치고 잠시 그 감정을 추스를 시간을 갖는 최웅이라는 인물처럼, 드러내놓고 부딪치고 싸우며 바로바로 풀어가기보다는 찬찬히 시간과 관계의 반복 속에서 갈등이 풀어지는 과정을 담는다. 그래서 갈등의 파고는 분명히 존재하지만, 어딘가 편안하다. 굉장히 드라마틱한 멜로가 아니지만, 그저 편안하게 다큐를 찍는 뷰파인더 창을 통해 담기는 저들의 귀엽고도 알콩달콩하며 애틋하기도 한 멜로가 아닐 수 없다. 피곤하고 힘겨운 현실 속에서 불멍, 물멍하듯 그저 멍하니 바라보고픈 마음이 드는.(사진:S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