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원본 없는 세상, 쇼에 아우라는 없다

728x90

무한복제시대, 쇼의 생존법

쇼는 어떻게 진화해왔을까. 그것을 진화라고 부를 수는 있는 것일까. 전혀 새로운 형태의 쇼라고 해도 하나하나 그것을 뜯어보면 끝없는 복제 끝에 만들어진 돌연변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을 진화라고 한다면 쇼는 진화한 것이 맞다. 하지만 그렇다면 좀 허무하지 않을까. ‘무한도전’을 복제하다 실패한 것이 ‘라인업’이고 돌연변이로 진화할 수 있었던 것이 ‘1박2일’이라면? ‘스타 서바이벌 동거동락’, ‘천생연분’, ‘산장미팅 장미의 전쟁’ 같은 짝짓기 프로그램과 동시에 케이블TV의 동거 리얼리티 프로그램들을 복제하면서 나온 돌연변이가 ‘우리 결혼했어요’라면 비약일까?

거의 의미가 없어진 원본
하지만 여기서 한 단계 더 들어가 보면 원본이라는 것이 거의 의미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것은 ‘스타 서바이벌 동거동락’, ‘천생연분’, ‘산장미팅 장미의 전쟁’ 같은 짝짓기 프로그램 역시 90년대의 ‘사랑의 스튜디오’같은 프로그램에서 피를 받았고, ‘무한도전’은 특이한 경우지만 ‘무리한 도전’, ‘무모한 도전’을 통해 끊임없이 자기복제를 해온 결과로서 만들어졌다. 물론 여기서 더 나아가면 이제 해외의 쇼들을 둘러봐야 할 것이다. 늘 벌어져왔던 베끼기 논쟁의 끝이 바다 건너로까지 가는 건 쇼의 탄생도 또 형식 그 자체도 거기서부터 비롯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복제를 부정적으로 보면 마치 아무런 창조적 작업을 행하지 않은 도둑행위처럼 보인다. 하지만 창조의 의미가 무에서 유를 만들어내는 것이 아닌, 있는 것들을 가지고 조합하고 변형시켜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것으로 바뀌고 있는 기술복제시대에 복제는 어쩌면 창조의 한 부분인지도 모른다. 무엇보다 지금 방영되고 있는 쇼 프로그램은 하늘에서 뚝 떨어진 외계인이 아니라, 이미 수많은 프로그램들을 선조로 두고 그 유전자를 물려받은 것들이다. 그러니 가장 최근에 야심차게 만들어지고 기획된 쇼라면 어쩌면 이 많은 웃음의 유전자들을 하나에 다 가지고 있지 않을까.

무한복제시대, ‘패밀리가 떴다’의 생존법
SBS의 ‘패밀리가 떴다’를 보다보면 그 많은 쇼의 유전자들을 목격하게 된다. 거기에서 먼저 발견되는 것은 ‘1박2일’에서 보였던 여행의 형식이다. 하지만 ‘패밀리가 떴다’가 여행코드를 활용하는 방식은 ‘1박2일’과는 다르다. ‘1박2일’의 여행이 야생의 체험이면서 여행지를 보고 체험하고 느끼는 ‘발견하는 여행’이라면, ‘패밀리가 떴다’의 여행은 여행지 체험이 아닌 패밀리를 다시 발견하는 단합대회에 가깝다. 이것을 가장 극명하게 보여주는 대목은 이 두 여행에서 상반되게 보이는 여행지에 대한 무게감의 차이다. ‘1박2일’에서 여행지가 쇼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면, ‘패밀리가 떴다’에서 그것은 단지 장소제공을 해줄 뿐이다.

‘패밀리가 떴다’가 ‘X맨’의 야외버전 같은 느낌을 주는 것은 그 때문이다. ‘1박2일’과의 차별화를 위해서 ‘패밀리가 떴다’는 애초부터 게임을 그 중심으로 부각시키려 했다. 유재석이 틈만 나면 “게임 해야죠”하고 말하고, 쇼를 통해 만들어진 관계를 게임 속으로 자연스럽게 연결시키는(예를 들면 천데렐라 이천희와 계모 김수로의 대결구도 같은) 것이 그것이다. 게임을 통해 경쟁 관계를 만들면서 동시에 ‘사랑해 게임’같은 남녀 간의 게임을 통해 애정 관계를 끄집어내는 것은 ‘X맨’에서 이미 익숙했던 코드들이다. 즉 ‘패밀리가 떴다’는 ‘1박2일’의 여행코드와 ‘X맨’같은 남녀가 벌이는 알콩달콩한 게임 쇼가 합쳐진 형태다. 물론 ‘X맨’ 역시 80년대의 ‘명랑운동회’이후 끝없이 생산된 스튜디오형 게임 쇼와 각종 연예인 짝짓기 프로그램 형식의 전통을 따른 것이다.

무늬만 다를 뿐, 토크쇼의 알맹이는 같다
이런 사정은 토크쇼에서도 마찬가지다. 현재 소위 말해 집단 MC 체제의 토크쇼들은 대부분 2000년도에 거의 50%에 가까운 놀라운 시청률을 기록했던 ‘서세원쇼 토크박스’에서 그 연원을 찾아볼 수 있다. 연예인들이 등장해 한 사람씩 자신의 경험담을 얘기하거나, 개인기를 보여주는 이 단순한 형식은 지금 ‘해피투게더’, ‘상상플러스’, ‘야심만만’같은 프로그램까지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 달라진 것은 연예인의 사생활 토크와 개인기를 끌어내기 위한 형식들이다. ‘해피투게더 - 도전 암기송’에서 도전 암기송에 할애되는 시간이 점점 작아지고 대신 연예인들의 토크에 더 비중을 많이 두는 것은 이러한 경향을 에둘러 말해준다.

‘야심만만’이 독특했던 것은 똑같은 연예인의 사생활 토크와 개인기를 특유의 공감코드와 엮었다는 점이다. 설문조사를 통해 특정 상황 속에서의 대처방법 같은 순위의 차트가 있고, 그걸 맞추기 위해 자신의 경우를 말하는 ‘야심만만’은 가장 자연스럽게 연예인의 사생활을 끄집어낼 수 있었다. 하지만 ‘대중들이 알고싶은 사생활’이 아니라 ‘대중들에게 알리고픈 홍보성 사생활’이 속보이게 드러나면서 프로그램은 매너리즘에 빠졌다. 최근 다시 시작한 ‘야심만만-예능선수촌’은 오히려 그 포맷의 중심을 더 ‘서세원쇼 토크박스’로 두고 있다. 여러 명의 연예인들이 둘러앉아 저마다의 이야기와 개인기를 보여주는 토크박스 형식에 ‘올킬’이라는 시스템으로 대결구도를 부각시킨 것이 특징이라면 특징이다.

이처럼 지금의 쇼 프로그램에서 어떤 그것만의 아우라를 찾는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다만 어떤 프로그램 속에서 ‘명랑운동회’나, ‘사랑의 스튜디오’, ‘서세원의 좋은 세상 만들기’, ‘서세원쇼 토크박스’ 같은 아련한 아우라가 파편적으로 조금씩 뒤섞여져 보일 뿐이다. 이렇게 된 것은 물론 치열한 시청률 경쟁이 그 원인이다. 게임쇼가 잘 되면 게임쇼로 몰리고, 짝짓기 프로그램이 잘 되면 모든 채널에 짝짓기 코드가 적용되어왔던 것은 지금 전 쇼의 리얼 버라이어티쇼화를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하지만 단지 시청률 경쟁 때문일까. 여기에는 원본의식이 희미해진 디지털 기술복제시대가 갖고 있는 패러다임의 변화가 작용한다. 누구나 다 비슷비슷한 아이디어를 거의 동시다발적으로 가질 수 있다는 생각. 이미 원본이 없어진(중요하지 않게 된) 이러한 세상에서 자신이 원본이라며 억울함을 토로해본들 무슨 소용이 있을까. 이제 중요한 건 원본보다는 그 원본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나 오히려 타 분야(심지어는 다른 쇼)와의 다양한 접목 같은 것이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