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영웅’을 역작 만든 윤제균 감독의 몇 가지 기막힌 선택 본문

동그란 세상

‘영웅’을 역작 만든 윤제균 감독의 몇 가지 기막힌 선택

D.H.Jung 2023. 1. 4. 15:20
728x90

뮤지컬 영화 선입견 깬 ‘영웅’, 그 압도적인 감동의 이유

영웅

뮤지컬 영화는 안된다? 우리에게는 이러한 선입견이 있다. 극장에서 보는 영화가 주는 몰입감을 극 중 노래나 춤이 오히려 깨버리는 결과가 종종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이것은 뮤지컬 자체가 익숙하지 않은 대중들에게는 더더욱 그렇다. 대사를 하다 노래를 하는 광경이 주는 이질감이 낯설어 생겨나는 결과다. 

 

게다가 이미 오래도록 무대에 오른 뮤지컬 공연이 원작이라면? 원작을 가진 작품들이 갖는 숙제처럼 원작과의 비교가 부담으로 다가온다. 이미 뮤지컬로 본 작품을 굳이 영화관에서 또 봐야 하나 하는 질문이 따라온다. 또 뮤지컬은 극장을 찾아갈 때부터 관객들이 그 형식을 기대하지만, 영화에 익숙한 관객들이 극장에서 뮤지컬을 보는 경험은 기대를 깨는 일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윤제균 감독의 <영웅>은 다르다. 눈이 하얗게 쌓인 벌판을 눈보라를 뚫고 걸어 나가는 안중근(정성화)의 스펙터클한 광경으로 문을 여는 이 뮤지컬 영화는 그 장면만으로 원작과는 다른 영화만이 보여줄 수 있는 게 있다는 걸 체감시킨다. 실로 그건 중간 중간 등장하는 스펙터클만이 아니다. 공연장에서 배우들이 펼치는 연기는 노래와 동작 정도를 통해 그 감정이 전해지지만, 영화는 그 배우가 노래하며 흘리는 눈물과 비장한 얼굴 표정, 떨림 하나하나까지 포착함으로써 감정을 극대화시킨다. 

 

또 장면이 교차되거나 판타지를 더한 환상적인 연출도 가능해진다. 그런 연출과 편집은 뮤지컬과는 달리 영상에 스토리텔링을 더해주고, 장면 전환에 있어서도 속도감을 부여한다. 이처럼 영화만이 갖는 강점들을 <영웅>에 가져온 윤제균 감독은 이를 통해 뮤지컬과 영화 사이의 간극을 메워버린다. 실로 뮤지컬을 봤던 필자의 경험을 빌어 단언하건대, 뮤지컬도 좋지만 영화가 주는 감동은 뮤지컬을 압도한다.

 

안중근을 소재로 하는 스토리 역시 <영웅>이라는 작품에 선입견을 만든다. 이미 너무나 많이 알려진 역사적 사실들이라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다 아는 이야기처럼 느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윤제균 감독은 <영웅>을 통해 안중근을 전기 속에 등장하는 역사적 인물로만 그리지 않았다. 윤제균 감독이 가장 잘 하는 것이지만, 그는 이 작품 속에서 독립을 위해 투신하는 투사들을 모두 웃고 울고 농담도 하는 사람냄새 나는 인물로 그렸다. 

 

시작은 ‘단지동맹’을 하는 안중근과 동지들의 비장함으로 열지만, 금세 영화는 이들이 만두가게에서 보여주는 너무나 평범하면서도 웃음이 터지는 일상적인 면면을 담는다. 윤제균 감독이 매체와의 인터뷰를 통해서도 밝힌 바지만, <영웅>은 소재만으로도 숨이 턱턱 막히는 긴장감과 비장미로 채워질 수밖에 없는 작품이다. 그래서 윤제균 감독은 그 사이사이에 숨통을 틔워주는 이완의 요소가 필요했다고 했다. 그건 주효했다. 영화는 비장함과 동시에 따뜻함과 유쾌함이 더해져 감정을 요동치게 만든다. 윤제균 감독이 잘 하는 ‘감정적 롤러코스터’에 올라타게 만든다. 

 

여기에 뮤지컬 영화가 갖는 노래는 이러한 감정들을 더욱 극대화한다. 정성화는 말할 것도 없고 김고은, 박진주 같은 배우들은 노래 잘 하기로 이미 유명하지만, 이들은 <영웅>에서 그저 노래를 위한 노래를 부르는데 머물지 않는다. 영화이기에 더욱 그것이 강조된 것이겠지만, 이들은 노래 또한 연기의 하나로 풀어낸다. 정성화의 비장함은 기막힌 노래실력과 더불어 부릅뜬 눈빛만으로도 관객들을 압도하고, 김고은의 노래는 하나의 절규가 되어 듣는 이들의 폐부를 찢는 듯한 소름을 안긴다. 여기에 때론 귀엽고 때론 우습다가도 때론 아프디 아픈 박진주의 노래도 빼놓을 수 없다. 

 

특히 안중근의 어머니 조마리아 역할의 나문희가 부르는 ‘사랑하는 내 아들, 도마’는 그 유명한 편지 속 문구 “항소는 일제에 목숨을 구걸하는 짓이니 그냥 죽어라”라는 대사와 함께 절절한 엄마의 마음을 담아 관객들의 가슴을 휘저어 놓는다. 제 아무리 뮤지컬로 몇 차례를 봤고, 이 내용을 소설이나 역사를 담은 방송 프로그램을 통해 전해 들었어도, 나문희의 노래 앞에서는 누구나 펑펑 눈물이 터질 수밖에 없는 장면이다. 

 

<영웅>이 담고 있는 안중근의 서사는 세 면모가 겹쳐져 있다. 하나는 독립운동을 위해 기꺼이 한 목숨을 던지는 의사 안중근의 모습이고, 다른 하나는 한 부모의 아들이자 아내의 남편이자 아이들의 부모인 인간 안중근의 모습이다. 그리고 또 하나는 마치 예수가 죽을 것을 알면서 고뇌하면서도 그걸 외면하지 않고 기꺼이 그 곳을 향해 걸어 나가는 구도자이자 메시아 같은 도마 안중근의 모습이다. 이 세 면면은 <영웅> 속 안중근을 비장하면서도 인간적이고 그러면서도 숭고한 인물로 각인시킨다. 

 

최근 극장은 굳이 그 곳을 찾아야 하는 이유를 제시해야 될 상황에 놓였다. <아바타:물의 길>이 그 이유로 스펙터클한 체험을 제시하고 있다면, <영웅>은 시각적, 청각적 체험은 물론이고 감정적 체험까지를 제시하고 있다. 극장 체험이 결코 아깝지 않은 영화다. 심지어 뮤지컬을 봤던 관객일지라도. (사진:영화'영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