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파트2를 봐야 비로소 한국판 ‘종이의 집’의 진가가 보인다 본문

동그란 세상

파트2를 봐야 비로소 한국판 ‘종이의 집’의 진가가 보인다

D.H.Jung 2022. 12. 14. 11:05
728x90

처음부터 이랬다면 한국판 ‘종이의 집’의 결과는 달랐을 지도

종이의 집2

사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종이의 집:공동경제구역(이하 종이의 집)> 파트1은 성공작이라 말하긴 어려웠다. 일단 기획이 애매해 보였다. 워낙 유명한 원작인지라, 리메이크를 하는 것 자체가 부담일 수 있었다. 원작에 충실하다면 새로움이 없다 비판받을 것이고, 원작에서 벗어난다면 팬들의 원성을 들을 수 있을 터였다. 

 

결국 비교의 부담에서 파트1이 선택한 건 원작의 틀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는 거였다. 물론 차별점은 있었다. 통일을 앞둔 한반도라는 설정이 있었고, 공동경제구역에 신권 지폐를 찍는 조폐국이 등장한다는 점이 그것이었다. 사실 이 설정은 이 리메이크의 중요한 차별점이고, 하필이면 이 유명한 원작을 한국에서 리메이크하게 된 납득되는 근거였다. 아쉬웠던 건 파트1이 그 차별점을 제대로 보여주지 못한 채 마무리된 거였다. 

 

하지만 다시 돌아온 <종이의 집> 파트2는 파트1의 아쉬움이 오해라며 본격적으로 리메이크의 새로움을 채워 넣었다. 돈만을 목적으로 삼던 케이퍼 무비 같은 설정의 서사는, 한반도라는 남북한 정세를 바탕으로 ‘혁명’에 대한 서사와 적절히 버무려졌다. 여기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 건 파트1에서 그저 감정 조절 못하는 탈북자로만 보였던 베를린(박해수)였다. 그가 이 일에 가담하게 된 진짜 이유가 밝혀지고, 그것은 <종이의 집> 서사를 원작과는 완전히 다른 길로 향하게 만들어낸다. 

 

<종이의 집> 파트2는 통일과 경협을 빙자해 돈과 권력을 쥐려는 부패한 정치가과 자본가들이 진짜 적이라는 사실을 드러냄으로써, 이들이 그저 도둑이 아니라 저들의 착취로부터 민중들을 깨워 세상을 바꾸려는 혁명가라는 또 다른 면면을 부여한다. 조폐국에서 찍어낸 돈을 남북경협이라는 이름으로 빼돌리려는 저들의 실체를 폭로하고, 민중들은 촛불을 든 채 하회탈을 쓰고 외친다. “종이의 집은 우리의 것이다!”

 

파트1이 다소 지루하게 원작의 스토리를 한국적 배경 위에 반복하는 정도로 마무리됐다면, 파트2는 이 리메이크가 원작과는 어떻게 다르고 한국식으로 재해석된 그것이 어떤 새로운 묘미를 주는가 하는 점을 제대로 보여준다. 분단 상황에서 서로 대치하던 한반도처럼, 조폐국 내에서 이를 점거한 이들과 그 곳에 납치된 민간인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두 부류로 나뉘어진다. 끝까지 배척하려는 이들도 있지만, 점점 그들의 뜻에 동참하는 이들도 등장한다. 

 

이를 가르는 건 돈이 되기도 하고 마음이 되기도 한다. 납치된 이들이 더 이상 통제에 따르지 않게 되자 교수(유지태)가 동조하는 이들에게 30억씩을 주겠다고 한 제안에 따르는 이도 있지만, 덴버(김지훈)를 좋아하게 된 미선(이주빈)은 돈과 상관없이 자신의 마음을 따른다. ‘스톡홀름 신드롬’인지 사랑인지 알 수 없는 그 마음들은 결국 마지막에 이르러 그 해답을 찾게 된다. 

 

조폐국을 털어 큰돈을 벌겠다는 목적으로 모인 이들은 파트2에서는 저마다 각자 갖고 있는 또 다른 이유들을 드러내고, 그것이 공유되면서 단지 돈만이 아닌 공동의 뜻에 동조하기 시작한다. 돈을 매개로 하고 있지만 같은 뜻을 공유함으로써 함께 나가는 길. 그래서 이들의 경계를 넘어 하나된 모습은 저 바깥에서 돈만을 목적으로 결탁한 이들과 대비된다. 다소 낭만적으로 그려진 것이긴 하지만, 원작 스토리를 이처럼 한반도 상황에 맞춰 차별화한 부분은 실로 신박한 선택이 아닐 수 없다. 

 

다시 아쉬워지는 건 파트1이다. 파트2의 전제로서 또 원작 팬들을 위한 배려로서 그 밑그림을 그리기 위해서였다고 볼 수 있지만, 파트1이 전혀 이 리메이크의 묘미를 담지 못했다는 건 안타까운 일이다. 차라리 파트2처럼 파트1도 한반도 상황에 맞는 재해석을 과감하게 풀어나갔다면 어땠을까. 드라마 속 교수가 그랬듯이 모든 일이 계획한대로 흘러갈 수는 없는 법이다. 다만 파트1의 실망감에 파트2를 보지 않는다면 이 작품의 진가를 발견하지 못할 거라는 게 못내 안타까울 뿐이다. (사진:넷플릭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