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그란 세상

‘오토라는 남자’, 우리는 과연 이런 이웃일까

728x90

'오토라는 남자', 톰 행크스를 살게 한 작지만 큰 이유들

오토라는 남자

미국 영화 맞아? 톰 행크스 주연의 <오토라는 남자>는 마치 한국드라마 같은 느낌을 준다. 자그마한 타운하우스에 중간 도로를 마당처럼 나눠 쓰는 가족과 이웃들의 이야기를 다뤘다는 점에서 <응답하라1988>의 골목과 이웃들이 보여줬던 그 정서가 느껴지기도 한다. 소소하고 소박해 보이지만 의외로 그 감정의 진폭이 커져 끝내는 가슴이 따뜻해지는 그런 영화. 

 

오토(톰 행크스)는 사랑하는 아내 소냐를 잃고 곧 그 뒤를 따라가려는 사람이다. 그래서 이웃들과 선을 긋고 자신만의 삶에 머물며 전기도 끊는 등 끝을 준비한다. 그러니 이웃들에게 살가울 이유가 없다. 계속 함께 살아갈 이들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래서 퉁명스럽게 대하고 이웃들도 그를 대놓고 ‘꼰대’ 취급 한다. 하지만 오토가 갖가지 방법으로 죽으려 할 때마다 그 계획이 어그러지는 건 바로 그 귀찮기만 한 이웃들 때문이다. 

 

새롭게 이사 온 마리솔(마리아나 트레비노)은 어딘가 집안일에는 젬병인 남편 대신 오토를 찾는다. 공구와 사다리를 빌려달라고 하고 사다리에 올라 열리지 않는 문을 열려다 떨어져 다친 남편이 구급차에 실려 병원에 가자 차로 거기까지 데려다 달라 한다. 그것도 모자라 운전연수를 해달라고 부탁하고 남편과 데이트를 하기 위해 아이들을 봐 달라고까지 한다.

 

그런데 툴툴거리고 퉁명스럽기 이를 데 없는 이 ‘꼰대 할아버지’는 그러면서도 이러한 부탁들을 외면하지 않는다. 마리솔만이 아니다. 길가에 꽁꽁 얼어붙은 길고양이를 외면하지 못하고, 트랜스젠더라는 이유로 집에서 쫓겨난 아내의 제자에게 잠잘 곳을 마련해준다. 본인이 죽으려 하지만 죽을 위기에 처한 이를 구하기도 하고, 평생 지기였지만 차에 대한 취향이 달라 갈라졌던 이웃 친구가 마주한 문제를 나서서 해결해주기도 한다. 

 

죽고 싶은 오토를 살게 하는 건 그를 귀찮게 만드는 이웃들이다. 그리고 오토가 그들을 귀찮아하면서도 외면하지 않고 자잘한 일들을 도와주는 마음을 쓴 것처럼, 이웃 마리솔은 죽으려만 하며 오토가 그 누구도 들이지 않았던 그 길로 들어와 그의 이야기를 들어준다. 그리고 묵묵히 그 이야기를 들으며 울어준다. 그건 어둠 속에 자신만의 집과 루틴 안에만 머물던 오토를 다시 살게 만드는 힘이 되어준다. 죽음으로만 가던 길을 소소한 일상으로 되돌리는 것. “이게 사는 거지”라고 말할 수 있는 건 바로 그 일상에 있었다는 걸 마리솔은 깨닫게 해준다. 

 

베스트셀러 소설 <오베라는 남자>를 원작으로 한 이 영화는 미국 영화지만 가족과 이웃의 소중함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이례적인 느낌을 준다. 하지만 이건 미국 영화에 대한 일종의 편견 때문일 게다. 사는 곳은 달라도 ‘인간의 온기’를 원하는 건 어느 나라나 다 마찬가지라는 걸 이 작품의 흥행이 말해주기 때문이다. 원작도 세계적이 베스트셀러가 됐지만 영화도 미국내 박스오피스 톱5에 오르는 성과를 내기도 했다. 

 

<포레스트 검프> 같은 영화를 통해 코미디 안에 잔잔한 감동과 삶에 대한 페이소스를 담아내곤 했던 톰 행크스의 명불허전 연기를 볼 수 있는 작품이지만, 이 작품에서 특히 주목되는 건 마리솔 연기를 한 마리아나 트레비노다. 그가 톰 행크스와 호흡을 맞춰 보여준 연기는 관객들에게 영화가 끝나고 나서도 가슴 따뜻한 미소를 짓게 만들 정도의 여운을 준다. 

 

<오토라는 남자>는 다른 한 편으로 우리의 이웃을 되돌아보게 만든다. 물론 앞서도 언급했던 <응답하라1988> 같은 작품 속 훈훈했던 이웃들의 이야기가 있지만 그건 현실에서 사라져버린 이웃들에 대한 결핍이 불러온 복고이자 추억이 아니었던가. <이웃사람> 같은 영화처럼 언젠가부터 우리네 영화에서 이웃이 따뜻하기보다는 심지어 공포를 주는 존재로 그려지고 있다는 건 씁쓸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래서일까. <오토라는 남자>가 주는 훈훈한 판타지의 여운이 우리네 관객들에게도 결코 작지 않은 것은. (사진:영화'오토라는 남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