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다시 뛸 기회...‘리바운드’ 장항준이 청춘들에게 건네는 위로 본문

동그란 세상

다시 뛸 기회...‘리바운드’ 장항준이 청춘들에게 건네는 위로

D.H.Jung 2023. 4. 12. 13:30
728x90

‘리바운드’ 이 기적 같은 농구 실화가 주는 감동의 실체

리바운드

“농구 하다 보면 슛 쏴도 안 들어갈 때가 있다 아이가. 근데 그 순간의 노력에 따라서 기회가 다시 생기기도 한다. 그거를 뭐하고 하노?” 장항준 감독의 영화 <리바운드>에서 마지막 결승전에 양현이 코치(안재홍)가 선수들에게 하는 이 질문의 답은 바로 ‘리바운드’다. 그리고 이건 2012년 부산 중앙고등학교 농구부의 기적 같은 실화를 담은 이 영화가 궁극적으로 던지는 메시지다. 

 

<더 퍼스트 슬램덩크>가 신드롬을 불러일으키며 농구를 소재로 한 <리바운드>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이른바 ‘중꺾마(중요한 건 꺾이지 않는 마음)’ 정서를 건드리며 N차관람 장기흥행을 이어가고 있는 <더 퍼스트 슬램덩크>는 원작 팬들을 중심으로 젊은 세대들까지 팬덤이 확장되었다. 원작이 강백호 중심의 서사였다면 이 영화는 송태섭을 중심으로 세워 저마다의 약점을 극복해나가는 과정을 그림으로써 관객들을 열광시킨다. 

 

<리바운드>는 어떨까. 먼저 <더 퍼스트 슬램덩크>와 다른 점은 이 이야기가 100% 실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2012년 전국 고교 농구 대회에서 단 6명의 선수진만으로 결승까지 진출했던 부산 중앙고 농구부 이야기가 그것이다. 선수가 없어 해체 위기에 놓여 있던 농구부를 공익 근무 요원인 양현이 코치가 맡으면서 결코 이룰 수 없을 것만 같았던 기적 같은 결과를 만들어낸 이야기. 

 

실화가 갖는 힘은 그래서 <리바운드>에 절대적이다. 그래서인지 장항준 감독은 처음부터 애써 힘을 잔뜩 주는 연출을 하는 대신, 차분하게 각 선수들이 가진 서사를 풀어내고 그들 각자가 갖고 있는 상황과 그래서 거기서 얹어지는 감정들을 차곡차곡 쌓아나가는 방식을 선택했다. 물론 장항준 감독 특유의 코미디가 이런 다소 처질 수 있는 과정들을 유쾌하게 이끌어나가는 힘을 만들어준다. 

 

<리바운드>라는 제목에 걸맞게 양현이 코치가 맡은 오합지졸 농구부는 경기에 나가 참담한 패배를 경험한다. 그런데 여기서 인상적인 건 양현이 코치가 선수들을 찾아가 사과하는 장면이다. 그는 선수로서 실패한 자신이 마치 세상에 복수하듯 이 농구부를 몰아세웠다는 걸 인정하고, 선수들에게 한 번 더 기회를 달라고 애원한다. 그렇게 다시 해체 수순을 밟던 농구부가 다시 뭉치고, 양현이 코치는 선수들에게 이기는 것만이 목적이 아닌 선수들 하나하나가 자신에게 맞는 포지션에서 기량을 최고로 발휘할 수 있는 방법들을 훈련시킨다. 그 과정을 통해 선수들은 농구를 사랑하게 되고, 그것은 각자 스스로의 자존감을 회복하는 일이 된다. 

 

양현이 코치는 물론이고 선수들 하나하나의 감정들을 차곡차곡 쌓아나가기 때문에 본격적인 경기가 펼쳐지면서 이들의 패스나 슛 혹은 리바운드 하나하나마다 의미가 생겨난다. 그래서 선수들이 파이팅을 외치고 골이 들어갔을 때 함께 기뻐하고 하이파이브를 하는 장면은 보는 이들을 울컥하게 만드는 울림을 갖게 된다. 

 

무엇보다 <더 퍼스트 슬램덩크>에는 없는 <리바운드>만의 차별점은 실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듯이 그 안에 드리워진 우리 사회의 현실이 더 실감나게 담겨 있다는 점이다. 마지막 결승에서 만난 용산고 농구부와 부산 중앙고 농구부는 그들이 타고 온 어엿한 전용버스와 작은 봉고차의 차이만으로도 서로 다른 환경이 비교된다. 각종 지원을 받는 용산고 농구부는 후보군까지 포함해 참가 기준 12명의 선수들이 함께 뛰지만 부산 중앙고 선수들은 단 6명밖에 선수가 없고 그 중 한 명마저 부상으로 빠지게 되면서 5명이 매 경기를 쉬지 않고 뛰어야 하는 처지에 놓인다. 애초부터 공정할 수가 없는 경기다. 

 

그 불공정한 현실 앞에서도 기적 같은 결과를 내는 힘은 다름 아닌 ‘리바운드’ 정신 때문이다. 양현이 코치가 말한 것처럼, 골을 던져서 들어가는 것보다 안 들어갈 확률이 훨씬 높다. 하지만 그래도 리바운드를 하면 다시 한 번의 기회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중요한 건 그 기회를 자신만이 아니라 함께 하는 팀과 나눈다는 점이다. 리바운드를 해낸 이가 다른 팀원에게 패스를 해주고 그가 또 다시 던질 수 있게 해준다는 것. 

 

그래서 <리바운드>는 사회적인 메시지를 갖게 된다. 내가 다시 한 번 기회를 갖는 것이면서, 동시에 같은 사회 구성원으로서 다른 이에게도 다시 한 번 기회를 갖게 해주는 것이라는 의미에서다. 과연 우리 사회는 청춘들에게 이러한 ‘리바운드’를 해주고 있을까. 첫 발을 잘못 디디면 아니, 아예 본인들의 선택과는 상관없이 어떤 부모에게 태어났는가에 따라 정해진 결과만을 강요하고 있는 건 아닐까. 이러한 현실이 밑바탕에 깔려 있어서일까. 농구라는 스포츠를 다룬 영화지만, 이 작품을 통해 장항준 감독이 청춘들에게 건네는 위로는 남다른 울림으로 다가온다. (사진:영화'리바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