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재석과 강호동의 남자 전진, 예능의 조커가 된 이유
지금 예능 프로그램에서 가장 주목받는 신예는 전진이 아닐까. 물론 과거에도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해 만능 체육맨으로 종횡무진하던 전진이었다. 하지만 지금 전진에게 쏠리는 예능의 기대감은 그 어느 때보다도 높다. 주목할 점은 그가 국내 최고 예능MC인 유재석과 강호동의 프로그램을 오가는 거의 유일한 인물이라는 점이다.
하하가 빠진 ‘무한도전’의 공석으로 ‘굴러 들어온’ 전진은 빠르게 ‘박힌 돌’들 사이에서 적응해가고 있으며, ‘야심만만-예능선수촌’에서는 고정MC를 맡아 특유의 진지 모드로 남다른 예능감을 자랑하고 있다. 한편 객원MC로 출연한 ‘패밀리가 떴다’에서는 특유의 만능 체육맨으로서 김계모(김수로)와 맞대결을 벌이고, 순위 게임에서는 ‘아무 것도 모르고 온 놈’설정으로 웃음을 주었다. 도대체 전진이 가진 그 무엇이 이 종횡무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일까.
메인과 게스트 사이, 객원의 자리
리얼 버라이어티쇼에 있어서 아무리 훌륭한 시스템과 캐릭터를 갖고 있다 하더라도 오랜 시간 동안 반복되어 노출되다보면 지겨워지기 마련. 하지만 리얼 버라이어티쇼의 대표격이라 할 수 있는 ‘무한도전’은 새로운 캐릭터를 투입하는 시스템을 갖고 있지 않았다. 대신 쇼들이 무한소비로 피곤해진 캐릭터를 다시 세우는 방식은 새로운 캐릭터성격을 부여하는 것이었다. ‘무한도전’의 박명수가 거성에서 아버지로 또 ‘하찮은’으로 캐릭터 이름을 바꾸는 것은 그 때문이다.
하지만 이것은 성격은 그대로인데 껍데기만 바꾸는 식으로 본질적인 해결은 돼지 못한다. 결국 진짜 문제의 해결은 완전히 새로운 캐릭터가 출연했을 때 가능해진다. 하하가 군입대로 빠지고 나자 ‘무한도전’의 캐릭터들은 더 힘겨운 상황에 놓였다. 캐릭터는 다양한 관계 속에 놓여져 있기 때문에 그 하나의 공석은 하나에서 끝나지 않는다. 제 7의 멤버, 즉 새로운 캐릭터에 대한 얘기가 거론되었지만 반대 또한 만만찮은 상황. 그 자리는 누구나 선망하는 자리이면서도 동시에 위험천만한 자리가 아닐 수 없었다.
하지만 뒤늦게 리얼 버라이어티쇼에 진출한 전진은 그 자리에서 가능성을 발견하게 된다. 전진은 고정도 아니고 게스트도 아닌 중간 지점에서 자신만의 캐릭터를 구축했다. ‘무한도전’에서는 전스틴과 잔진으로, ‘패밀리가 떴다’에서는 게임마왕을 긴장시키는 젊은 피로, ‘야심만만2’에서는 MC몽과 함께 업다운 브라더스로 등장한 그는 ‘객원’의 위치에 서서(그것이 고정이든 게스트든) 프로그램에 새로운 힘을 불어 넣어주면서 독자적인 캐릭터로 급부상했다.
전진이 가진 진지함 속의 허술함
그러나 새로운 캐릭터를 가진 게스트가 프로그램에 새로운 활력을 넣어주기는커녕 기존 고정 출연자들의 관계 속으로 들어가지 조차 못하는 경우도 있다. 이것은 유일하게 게스트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는 ‘패밀리가 떴다’가 가진 딜레마이기도 하다. 캐릭터 간에 확실한 관계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MC들 사이에서 게스트는 때때로 꿔다 논 보리자루가 되기도 한다. 중간에 출연했던 G-드래곤이나 신성록 같은 게스트는 열심히는 했지만 패밀리 속으로 완전히 침투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보였다.
하지만 전진은 출연하자마자 바로 패밀리에 적응하는 모습을 보인다. 그는 김계모와는 묘한 경쟁관계로, 여성 출연자들과는 묘한 애증관계로 자신의 캐릭터를 구축한다. 이것이 가능했던 것은 그가 가진 객원의 이미지가 그만큼 독자적이기 때문이다. 그는 이미 프로그램에 투입되기 이전부터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자신만의 캐릭터가 대중들에게 인지되어 있었고, 그것은 지금 현재 리얼 버라이어티쇼에서는 보기 드는 독자적인 캐릭터였다.
전진은 그 예명처럼 앞으로만 나갈 것 같은 직선적인 캐릭터를 갖고 있다. 그것은 모든 엉뚱한 상황 속에서도 늘 진지하며, 누군가를 바라보면 거의 다른 쪽에는 눈을 돌리지 않을 정도로 집착하고, 장난처럼 하는 게임에서도 거의 이겨야한다는 강박관념을 가진 스포츠맨처럼 과도한 열정을 보인다. 리얼 버라이어티쇼가 가진 느슨한 상황(희화화된) 속에서 거의 유일하게 진지함을 유지하는 전진은 늘 깨지고 무너지는 캐릭터들이 이제 조금 물리는 시점에서 신선하게 다가온다. 늘 도전하지만 지기만 하는 캐릭터도 우습지만, 늘 이기려고 집착하는 캐릭터도 우스운 법이다.
전진이 지금 예능 프로그램의 조커 같은 느낌을 주는 이유는 현재 그가 조금은 지쳐있는 쇼에 활력을 주는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거꾸로 지금 현재 예능 프로그램 속의 캐릭터들이 거의 대부분 무너지고 깨지는 희화화된 캐릭터들로 넘쳐난다는 것을 반증한다. 전진은 그 속에서 오히려 거꾸로 진지하게 자신의 캐릭터를 구축함으로써, 그것이 유재석이든 강호동이든 또 그것이 어느 방송사이든 어느 곳에 투입돼도 자신의 역할을 해내는 조커 캐릭터가 된다. 늘 쇼의 밖에 존재하지만 어떤 쇼에든 적용 가능한 조커. 지금 전진의 전성기는 이 자신만의 캐릭터와 현재 피곤해진 예능 환경이 만들어낸 합작품이다.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한도전’은 어떻게 매너리즘을 극복했나 (0) | 2008.09.27 |
---|---|
강호동은 어떻게 예능과 스포츠를 연결했나 (2) | 2008.09.13 |
게임을 보면 쇼가 보인다 (0) | 2008.08.23 |
‘야심만만2’가 ‘야심만만’을 넘지 못하는 이유 (0) | 2008.08.19 |
‘무한도전’은 피곤하다, 왜? (2) | 2008.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