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육성재의 1인2역으로 완성한 신박한 퇴마 빙의 로맨스이주의 드라마 2025. 5. 3. 07:43728x90
‘귀궁’, 이무기와 육성재, 도대체 누가 누구를 삼킨 걸까
귀궁 ‘이 아이의 손길이 이리 부드럽고 따뜻했구나. 또다. 왜 이리 또 쿵쾅대는 거야? 망할 놈의 윤갑 놈. 어찌 이 인간의 몸은 허술하지 않은 곳이 하나도 없어.’ SBS 금토드라마 <귀궁>에서 강철이는 화살을 맞은 상처를 치료해주는 여리(김지연)의 손길에 가슴에 속절없이 쿵쾅댄다. 윤갑(육성재)의 몸에 빙의된 강철이는 본래 이무기다. 그러니 인간의 손길 같은 감각을 경험해본 적이 없다. 무려 13년 간이나 여리의 몸주신이 되려 졸졸 따라다녔지만 여리의 손길을 경험하게 된 건 윤갑의 육신에 들어오게 되면서다.
<귀궁>의 이무기 강철이가 빙의된 윤갑이라는 설정은 이런 지점에서 흥미로워진다. 보통 귀신이 등장하는 퇴마 판타지나 한국형 오컬트 장르에서 빙의는 귀신에 영혼을 빼앗긴 인간이 겪는 공포로 그려지곤 한다. 하지만 <귀궁>은 조금 다르다. 강철이라는 이무기의 인간 체험처럼 그려지기 때문이다. 윤갑의 몸으로 들어온 후 강철이는 죽 한 그릇에도 환장하는 미각을 경험한다. 갖가지 음식 맛에 눈뜬 강철이는 천상을 나는 듯한 쾌감을 경험한다.
미각만이 아니다. 뜨끈한 온돌에서 등을 지지는 경험을 한 강철이는 잠자리에서 나올 생각을 하지 않을 정도로 그 감각의 제국에 빠져든다. 궁궐에 가서도 그 곳의 화려한 장식들에 눈호사를 하고 푹신한 방석의 편안함을 즐긴다. 그러니 여리가 별 생각도 없이 열이 있는 것 아니냐며 얼굴을 만질 때 심장이 쿵쾅대고 볼이 빨개지는 건 당연지사다. 알고보면 여리가 어려서부터 산길 호랑이를 번개로 쫓아버릴 정도로 강철이는 여리에 대한 마음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사랑의 감정이란 결국 서로의 체온과 감각을 나누는 몸이 있어야 불이 붙는 것이었다.
윤갑의 몸에 들어간 이무기 강철이가 그 몸의 감각과 이를 통한 교감을 통해 여리에게 감정을 느끼는 상황은 그래서 <귀궁>에서는 반전의 이야기를 예고한다. 애초 윤갑의 몸을 이무기 강철이가 차지한 것처럼 보였지만, 이 상황은 거꾸로 이무기가 윤갑의 몸에 갇힌 것처럼 여겨진다. 그래서 여리가 찾아간 가섭스님은 의미심장한 말을 한다. “한데 어쩌다 죽은 인간의 몸에 저리 옴짝달싹 못하게 갇히게 됐누?”
즉 윤갑의 몸을 통해 인간의 감각과 욕망을 경험하게 된 강철이는 그 몸에 갇힌 채 인간을 보다 잘 이해하게 된다. 그 감각을 통해 여리에 대한 감정을 느끼게 되고, 그래서 마음이 가는 이가 위험에 처했을 때 구하려는 마음 또한 간절해진다. 여리를 통해 경험하고 알게 되는 인간에 대한 공감은, 이 이무기 강철이가 인간을 해코지 하려는 팔척귀 같은 악귀와 그 악귀를 불러내는 풍산(김상호) 같은 사악한 술사와 맞서게 되는 이유가 된다.
<귀궁>이 신박하게 느껴지는 건 이러한 이야기가 우리네 무속의 한 면들을 흥미진진한 서사 속에 녹여내고 있다는 점이다. 아직까지 내림굿을 받지 않았지만 여리는 무당이 될 팔자인 영매다. 자신을 몸주신으로 받아들이라며 13년 간이나 따라다닌 이무기 강철이를 거부해왔지만 윤갑을 되살리기 위해 그녀는 강철이를 받아들이겠다고 말한다. 즉 <귀궁>은 무속인이 인간을 구하기 위해 몸주신을 받아들이고 사악한 무리들과 싸우는 이야기를, 여리의 윤갑에 대한 사랑(무속인의 인간에 대한 사랑), 강철이의 여리에 대한 마음(신의 인간에 대한 이해), 여리와 강철이가 힘을 합쳐 팔척귀와 벌이는 사투(무속인이 신을 불러 인간을 구하는 과정)로 그려낸다.
그래서 혐관 로맨스와 휴머니즘이 더해지고 퇴마 판타지까지 넘나드는 <귀궁>은 그 재미를 통해 우리네 무속의 세계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도 담고 있다. 다양한 장르적 결이 더해져 있고 가벼움과 진지함을 오가는 작품이지만, 육성재, 김지연, 김지훈, 김상호, 김인권 등등 연기자들의 안정감 있는 연기가 이물감 없이 이 다양함을 잘 엮어내고 있다. 특히 여러 전작들에서 1인2역 연기를 줄곧 해왔던 육성재와 달달함과 절절함을 오가는 김지연이 보여주는 연기앙상블은 칭찬 받아 마땅하다. (사진:SBS)
'이주의 드라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볼매가 콘셉트, 꼴찌 강유석, 호구 정준원을 보면 ‘언슬전’이 보인다 (0) 2025.05.06 천국 간 김혜자, 그녀가 그려낼 눈물과 감동의 희비극 (0) 2025.04.23 ‘언슬전’, 소박해도 울림 주는 초보의사들의 성장통 (0) 2025.04.21 ‘내가 죽기 일주일 전’, 김민하를 보다보면 웃다가도 울게 된다 (0) 2025.04.16 더럽고 질기게 얽혔다... 이 피카레스크를 빠져서 보게 되는 이유 (0) 2025.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