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드롬 만드는 수목 드라마들, 그 힘의 원천은?
거침없는 독설 사이 언뜻언뜻 보이는 따뜻한 면모로 순식간에 전국에 강마에 바이러스를 퍼뜨린 MBC ‘베토벤 바이러스’. 그리고 그동안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조선시대의 천재 화원 신윤복 신드롬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SBS ‘바람의 화원’. 이 두 수목드라마는 지금 단순한 드라마 그 이상의 현상을 만들어내고 있다. 도대체 무엇이 그 신드롬을 촉발시킨 것일까.
고급예술이라고? 서민들거야!
이 두 드라마가 다루고 있는 것은 공교롭게도 그동안 고급예술로 치부되어 왔던 클래식과 고미술이다. 드라마는커녕 TV라는 대중매체 속에서도 그리 발견하기가 쉽지 않은 이 두 소재는 그러나 이들 드라마로 들어오면서 폭발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그것은 이 드라마들이 클래식과 고미술에 대한 대중들의 편견을 깨는 데서부터 시작했기 때문이다.
‘베토벤 바이러스’가 서민들과 만나는 지점은 수해를 입은 주민들과 합창교향곡을 연주하는 시향이 대립하는 장면에서 드러난다. “이 상황에 무슨 놈의 클래식”이냐고 항변하는 주민대표에게 강마에(김명민)는 차분하게 자신의 어린 시절 이야기를 들려준다. 절망적인 상황에서 듣게된 오케스트라의 음률에 지휘자가 된 사연에 대해 그는 이렇게 말한다. “구원이었죠. 위로였구요. 힘이었습니다. 그리고 저는 지휘자가 되었습니다.” 클래식은 배부른 자의 여흥이 아니라 가난한 자들의 구원이자 위로이자 힘이라는 것을 강마에의 입을 통해 드러낸 셈이다.
한편 ‘바람의 화원’은 그 중심에 신윤복을 세웠다는 것만으로도 고미술과 서민들의 만남을 예고했던 것이나 마찬가지다. 김홍도와 같은 풍속화가이면서도 거기서 한 발 더 나아가 양반의 허위적인 모습을 비꼬고, 당대 금기시 되던 기생들을 화제의 중심으로 삼아 ‘미인도’같은 미의 결정체로 그려낸 신윤복은 가장 서민과 함께 호흡한 화원이 아니었을까. 이런 드라마의 서민적인 면모는 김홍도가 중국의 고사를 그린 ‘군선도’를 보고 정조가 감탄하는 장면에서도 등장한다. “군선도에서 어찌 조선의 향취가 느껴지는가”하는 정조의 질문에 김홍도는 “사람들은 조선의 사람들을 그렸기 때문”이라 답한다. 저잣거리의 서민들이 바로 신선의 모습으로 그려진 것이다.
대중들을 사로잡는 캐릭터, 그리고 호연
예술을 다루고 있어서인지 두 드라마는 연출과 연기, 대본 어느 면으로 봐도 완성도가 높다. 특히 신드롬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는 강마에와 신윤복은 그 캐릭터가 매력적인데다, 그걸 연기하는 김명민과 문근영의 호연 덕택에 말 그대로 살아 움직이고 있다. 강마에는 말은 많지만 실효성은 거의 없는 이 지도력 부재의 시대에 오히려 현실을 직시하게 만드는 직설어법으로 공감대를 얻고 있다. 달콤한 거짓말보다는 괴롭더라도 현실을 알게 만드는 독설이 지금 필요한 리더십이라는 것이다. 물론 그 독설 뒤에는 상대방을 위한 마음이 전제되어 있다.
한편 신윤복은 남장여자라는 캐릭터를 통해 당대의 억압을 지금을 살아가는 대중들과 함께 호흡해낸다. 즉 여자지만 남자로 살아가야 하는 그 운명은, 창조적이고 생산적인 여성성을 희구하는 사회에서, 현실은 점점 더 경쟁적인 남성성으로 살아가야 하는 현대인들과 공감하게 만든다. 위선적인 사회에 대한 비판의식, 억압된 사회 속에서 오히려 당당했던 성 의식, 새장 안에 매몰되어 있던 당대 화단에서 저 스스로 새가 되려 했던 자유분방함은 지금 세대의 솔직함과 잘 맞아떨어지는 대목이다.
물론 강마에 신드롬이나 신윤복 신드롬의 기저에는 고급예술을 스스로 향유하고 있다는 대중들의 의식이 자리한다. 하지만 저 음반가게에서 베토벤의 ‘합창교향곡’을 꺼내들고, 신윤복의 ‘미인도’를 보기 위해 간송미술관 앞에 늘어선 인파들의 마음 속에는 답답한 사회 속에서 이들 두 인물들이 주는 어떤 속시원함이 내재되어 있다.
'옛글들 > 네모난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라마 위기 예능으로 넘기, 문제는 없나 (0) | 2008.11.01 |
---|---|
한 TV비평 웹진의 휴간이 말해주는 것 (0) | 2008.10.29 |
‘단박인터뷰’, 올림픽과의 특별한 만남 (0) | 2008.08.21 |
누구를 위한 시상식인가 (4) | 2007.12.31 |
인순이, 그 이름은 나를 찾는 주문이다 (0) | 2007.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