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그사세’, 7% 속에서 27%의 희망을 그리다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그사세’, 7% 속에서 27%의 희망을 그리다

D.H.Jung 2008. 12. 17. 02:04
728x90

그들로 와서 우리들로 끝난 ‘그사세’의 긍정론

‘그들이 사는 세상’에서 ‘그들’이 의미하는 것은 무얼까. 어찌 보면 그 답이 명징해보이는 이 질문에 이 드라마의 묘미가 숨겨져 있다. 드라마가 시작되기 전, 노희경 작가와 표민수 PD, 그리고 송혜교와 현빈이라는 연기자들이 만들어 가는 이 드라마에 관심이 쏠렸을 때, 우리는 그 제목 속 ‘그들’이 방송가, 특히 드라마를 만드는 사람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받아들였다.

드라마를 만드는 그들의 이야기?
그것은 사실이었다. 준영(송혜교)은 펑크가 나버린 드라마 촬영 분을 채워 넣기 위해 현장에서 자동차 질주 신을 찍고 있었고, 지오(현빈)는 그 날 방영 분을 급하게 편집하고 있었다. 까칠하지만 시청률로 인정받는 손규호(엄기준)는 현장에서 소리를 버럭버럭 질렀고, 양수경(최다니엘)은 그 욕을 다 먹어가며 현장에서 굴렀다. 김민철(김갑수)은 데스크에 틀어 앉아 시청률표를 보고 있었고, 윤영(배종옥)은 촬영장 자신의 차량에서 로드 매니저에게 호통을 치고 있었다.

또 그들은 자신만의 세계로 돌아와 준영과 지오처럼 헤어졌다 다시 만나 사랑에 빠지기도 하고, 또 각자만의 이유로 갑작스런 이별을 통보하기도 하며, 양수경처럼 저 혼자 사랑하다 상처받기도 하고, 윤영과 민철처럼 나이 들어서도 여전히 순정 어린 사랑에 빠지기도 하며, 손규호와 장해진(서효림)처럼 어느 날 갑자기 사랑에 빠지기도 한다. 이것은 그들이 사는 세상이었다.

그들의 이야기가 우리들의 이야기가 되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그들이 드라마와 현실을 비교하며 의견충돌을 할 때다. 그들은 삶이 드라마 같을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드라마 속에서처럼 쿨한 사랑과 쿨한 이별을 하지 못하고 구질구질하며 때로는 신파가 되고 때로는 상투적인 대사로 가득 채워지는 현실을 비교하면서 드라마 속 삶과 현실의 삶은 다르다는 것을 관조해낸다. 이것은 마치 우리가 상상하는 판타지로 가득한 사랑이 현실적인 사랑과 다를 수밖에 없다는 것을 말해주기도 한다. 이 드라마와 현실을 관조하는 상황 속에서 그들의 이야기는 이제 조금씩 우리들의 이야기가 되어간다.

이러한 관조적 입장을 취하게 해주는 것은 두 주인공의 나레이션이다. 지오와 준영이 자신들이 만드는 드라마 속 주인공들을 바라보며 자신들의 삶을 관조한다면, 이 나레이션은 바로 한 차원 더 위에서 지오와 준영이 서로 만나고 헤어지고 다시 만나는 그 과정들을 내려다본다. 즉 이것은 외부적인 시선이거나, 작가의 시선이거나, 어쩌면 모든 걸 다 겪고 난 지오와 준영이 후에 그 때의 상황을 돌아보는 시선 같은 것이다. ‘그사세’에서 지오와 준영은 드라마 밖에서 자신들이 삶을 관조한다 생각하지만, 이 나레이션으로 대변되는 외부의 시선은, 그들을 결국 드라마의 주인공으로 끌어들인다. 따라서 바로 이 지점은 드라마 밖과 드라마 안이 만나는 곳이 된다.

판타지보다는 꿈꿀 수 있는 현실을 선택하다
마지막회에서 준영의 나레이션은 지오가 했던 “모든 드라마는 해피엔딩이어야 한다”는 말을 얘기하면서 “희망이 아니면 그 어떤 것도 말할 가치가 없다”고 말한다. 이것은 작가의 다짐과 같다. ‘그사세’의 주인공들을 통해 알게 되었듯이 삶은 드라마처럼 달콤하고 쿨하지 않지만 어떤 희망을 얘기해야 한다는 노희경 작가의 다짐. 노희경 작가는 이 드라마를 통해 판타지와는 다른, 현실의 모습을 보여주려 했고, 그리고 그 뒤틀린 현실 속에서도 어떤 희망을 얘기하려 했다. 함께 싸우고 만나면서 드라마와 현실의 괴리를 체험한 지오와 준영이 함께 드라마를 찍으며 그 드라마 속 주인공들의 키스신에서 자신들의 키스를 상상하는 장면은 의미심장하다. 드라마 밖에서 여전히 현실에 치이지만 드라마 속의 세상을 꿈꾸는 그들, 이것은 바로 우리들의 모습이기 때문이다.

“아무리 우리가 아름다운 드라마를 만든다해도 우리가 사는 이 세상만큼 아름다운 드라마는 만들 수 없을 거다.” 이 나레이션처럼 노희경 작가가 선택한 것은 결국 현실이다. 그러나 그것은 그저 판타지로 가장된 현실도 아니고, 그저 상투적이고 신파적인 쿨하지 못한 삶 속에서 허우적되는 그런 현실도 아니다. 그것은 어려워도 꿈꿀 수 있는 현실이다. 매일 밤샘촬영에 추위와 싸워가며 버텨내는 현실이지만 그 속에서 아름다운 드라마를 꿈꾸는 그들처럼, 실제는 7%의 시청률이 나온 드라마지만, 그 속에서 27%의 시청률을 받아 쥔 주인공들이 킥킥대며 웃게 해주는 그 꿈꿀 수 있는 현실. 우리가 이 드라마를 보며 어떤 따뜻한 위안 같은 것을 받았다면 바로 이 노희경 작가가 우리에게 전해준, ‘어려워도 꿈꿀 수 있는 현실’을 그 속에서 발견했기 때문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