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불황기 드라마, 익숙한 코드들만 넘쳐난다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불황기 드라마, 익숙한 코드들만 넘쳐난다

D.H.Jung 2009. 1. 13. 01:26
728x90

익숙한 캐릭터들, 코드들이 지배하는 드라마 세상

불황기에 접어든 지금, 드라마 제작은 이제 살얼음판을 걷는 것처럼 조심스러워졌다. 실험적인 시도는 사라져버렸고, 과거 익숙했던 코드들이 성공 방정식처럼 끼워진 드라마들이 양산되고 있는 상황이다. 거기에는 신데렐라들이 넘쳐나고, 신파극 속 운명에 처한 눈물겨운 주인공들이 우글거리며, 과거의 옛 영광을 끝없이 되돌아보기도 한다. 드라마 속의 익숙함은 새로움을 잡아먹고 있고, 현실의 고단함은 피로한 새로움보다는 중독적인 익숙함에 더 빠져들게 만든다.

월화극, 넘쳐나는 신데렐라들과 신파 속 주인공들
방송3사의 월화극을 이끌고 있는 '에덴의 동쪽'은 시대극을 표방하고는 있지만 전형적인 신파극의 코드들을 모두 내장하고 있다. 거기에는 숨겨진 출생의 비밀이 있고, 전형적인 복수극이 있으며, 절절한 가족극이 있다. 이 상황 속에 던져진 인물들은 운명이라는 말이 클리셰가 되어버린 시대에 운명을 남발하며 피눈물을 흘린다. 신파극의 틀 속에서 중독적인 시선으로 드라마에 빠져보면 그 운명의 질곡은 눈물을 쏙 뽑아내게 만들지만, 만일 그 밖에서 이 드라마의 지나치게 과장되고 거창한 대사들을 들어본다면 어쩌면 실소가 나올 지도 모를 일이다. 하지만 이 중독적 상황을 제시하는 드라마는 불황을 타고 고공행진을 하고 있는 중이다.

'에덴의 동쪽'을 맹추격하고 있는 후발주자 '꽃보다 남자'는 그 안에 신데렐라의 극단을 코드로 탑재하고 있다. 서민들이 들어갈 수 없는 신화고등학교에 들어가 부유층에서도 초부유층의 자제들인 F4와 이러 저리 얽히는 멜로 이야기 속에는 강력한 신데렐라 판타지를 자극하는 코드들이 넘쳐난다. 무엇보다 이 리메이크 드라마는 수차례 드라마화되고 영화화된 작품으로 이미 중년층들에게까지 익숙한 드라마이다. 익숙한 스토리는 보는 이들에게 이미 판타지에 빠질 준비를 하고 보게 해주는 힘을 발휘한다. 한편 '떼루아'는 와인 드라마를 표방하고 있지만 전형적인 트렌디 드라마 구조로서 씩씩한 신데렐라 이야기를 변주한다. 이 드라마의 핵심은 와인과 인생 같은 것이 아니라, 와인 레스토랑에서 종업원으로 일하는 우주(한혜진)가 어떻게 주인인 강태민(김주혁)과 가까워지고 또 성공하느냐에 맞춰져 있다.

수목극, 아, 옛날이여를 외치는 드라마들
'베토벤 바이러스'와 '바람의 화원'이 완성도를 갖고 각축을 벌이던 수목극의 풍경은 어느새 시들해져 버렸다. '베토벤 바이러스'의 후속으로 등장한 '종합병원2'는 의학드라마의 효시라는 '종합병원'을 후광으로 업었으나 그다지 빛을 발하고 있지 못하다. 그 문제는 정하윤(김정은)같은 캐릭터에 대한 매력도가 떨어지는데다가, 에피소드 드라마의 형식 상 각각의 에피소드들이 지리멸렬하게 흩어지는데서 오는 집중력 부재에서 비롯된다. 중간에 '종합병원'에 힘을 불어넣어 주었던 독사 오욱철이 투입되기도 했으나 그다지 효과를 만들지는 못했다.

'바람의 나라'는 고구려 사극의 부활을 외치며 나온 사극. 대박 고구려 사극이었던 '주몽'의 주인공인 송일국이 무휼 역으로 등장했지만, 오히려 그것은 '주몽'과의 변별력을 만드는데 걸림돌로 작용하면서 득보다 실이 더 많은 선택이 되었다. 김 진 원작의 '바람의 나라'가 사실 고구려 열풍의 진원지였던 점을 생각해보면 너무 늦게 만들어진 '바람의 나라'의 어려움은 억울한 점이 있다 할 것이다.

한편 '스타의 연인'은 한류의 부활을 외치며 등장한 드라마다. 한류의 신호탄을 알렸던 '겨울연가'와 코드를 같이 하면서 동시에 그 연장선 위에서 새로운 한류를 세우려는 이 드라마는 그러나 잘 짜여진 대본과 뛰어난 영상 연출에도 불구하고 그다지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한류드라마(특히 멜로 코드의)에 대한 막연한 선입견이 작용한 점이 클 것이다. 이처럼 현재 수목드라마는 모두 과거의 영광에 집착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 되고 있다. 하지만 전체적인 시청률이 눈에 보일 정도로 떨어지는 수목극의 상황은 '아 옛날이여'만 외치는 드라마들의 한계를 보여준다.

이처럼 주중드라마들은 모두 익숙한 코드들로 무장하고 시청자들의 중독적 시청을 유도하고 있다. 드라마 자체가 본래 중독적인지라 그것을 가지고 뭐라 할 수는 없겠지만, 그렇다고 매번 똑같은 것에 중독되는 상황이 유쾌한 것은 아니다. 이른바 최근 창궐하는 막장드라마의 탄생은 바로 이 중독적인 드라마들의 마지막 선택의 한 예가 될 것이다. 양적인 것(시청률)에만 치중하여 익숙한 코드들만을 끄집어내는 작금의 드라마들. 그 질은 점점 하향평준화 되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