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타의 연인’이 던지는 꽤 진지한 질문들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09. 1. 14. 14:53728x90
‘스타의 연인’, 스타의 정체성, 한류의 정체성을 묻다
‘스타의 연인’의 내면적인 주관심사는 물론 톱스타인 이마리(최지우)와 대학원생 김철수(유지태) 사이에 벌어지는 멜로다. 하지만 이 멜로를 촉발시키는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가장 큰 사건은 ‘스타의 대필사건’이다. 왜 이 멜로드라마는 굳이 대필이라는 사회적인 문제를 건드리고 있을까. 대필과 스타 사이에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 것일까.
대필과 스타, 그 정체성의 문제
대필이란 얼굴마담으로서 책에 기재되는 작가가 있고, 그 작가를 대신해 글을 써주는 얼굴 없는 진짜 작가가 있는 경우를 말한다. 여기서 얼굴마담을 하는 작가가 책을 낼 수 있고, 또 내는 이유는 그 이미지 때문이다. 글을 써주는 실질적인 작가가 가지지 못한 이미지를 갖고 있는 얼굴마담 작가는 자신의 것이지도 않은 이미지로 포장되어 팔린다. 상품화된 인간이 되는 것이다.바로 이 상황은 어쩌면 스타라는 존재가 가진 운명과 같다. 이마리는 김철수 앞에서는 “∼했어염”하며 닭살 애교를 부리고 때론 약한 모습을 보이며 눈물을 흘리는 한 여자지만 대중들 앞에서는 철저히 그들이 요구하는 이미지의 존재가 된다. 스타라는 외부의 시선으로 위치 지워지는 이미지와 실제 자신의 모습 사이에 놓여진 거리는, 저 얼굴마담 작가와 대필자 사이만큼이나 멀다. 이 드라마가 기본적으로 상정해놓은 것은 바로 이 스타로서의 인간과 한 보통인으로서의 인간 사이에 놓여진 거리감이다.
그런데 이 거리감을 뛰어넘게 되는 것은 지나치게 대필자와 얼굴마담이 진지해지는 경우다. 대신 쓰기 위해서는 이해를 전제로 해야하는데 바로 그 과정에서 대필자 김철수는 얼굴마담 이마리의 스타로서의 불행한 면면(상품화된 인간)을 바라보게 되고, 이마리는 그 김철수의 진지한 시선이 잃고 있던 자신의 본질을 찾게 해준다는 점에서 끌린다. 스타는 말 그대로 저 하늘에 걸려있는 허구의 별로서 존재하는데, 그 별이 실질적인 땅을 바라보게 되고 그 곳으로 내려오려 하는 그 과정이 ‘스타의 연인’이다. 그러니 갈등은 그 스타를 하늘 위의 허구의 별로 세워놓고 상품화시켜온 서태석(성지루)과 이들 연인 사이에서 벌어진다.
한류드라마와 진정성을 담은 드라마 사이의 거리
바로 이 상품화의 문제는 ‘스타가 그저 한 사람으로서 사랑할 수 있는가’라는 이 드라마가 던지는 질문을 좀더 확장해서 바라볼 수 있게 해준다. 이 드라마가 한류를 겨냥했다는 점은 상품화된 인간인 스타와, 상품화된 드라마로 변질된 한류드라마를 같은 위치에서 바라보게 만든다. 즉 기획된 드라마와 진정성을 담은 드라마 사이에는 얼마 만큼의 거리가 있느냐는 점이다.이런 면에서 ‘스타의 연인’은 한류를 겨냥한 것은 분명하지만, 지금까지 부정적인 시선을 던지게 만들었던 한류기획상품 드라마와는 조금 결을 달리한다. ‘겨울연가’가 성공할 수 있었던 요인은 한류를 기획하고 만들었던 것이 아니고 멜로 드라마의 깊은 곳을 진정성의 시선으로 바라봤기 때문이다. 그러나 ‘겨울연가’의 성공 후에 제 2의 ‘겨울연가’를 꿈꾸는 기획 드라마들이 등장했다. 몇몇 한류스타를 얼굴마담으로 내세웠지만 드라마의 진짜 모습은 형편없었던 이들 드라마들의 위상은 때론 김철수 같은 진지한 대필자를 만나 성공하기도 했지만, 대부분은 본 모습의 얄팍함을 드러내며 실패를 거듭했다.
‘스타의 연인’은 그런 면에서는 꽤 영리한 드라마라 할 수 있다. 최지우라는 한류스타를 내세웠지만 그 한류스타로서의 이미지만을 포장하지는 않으며, 오히려 드라마를 통해 최지우의 일상적인 면면을 진정성의 이름으로 내보인다. 유지태는 시종일관 진지한 모습을 통해 이 한류스타의 진정성에 접근하고 동시에 드라마의 진정성에 접근한다. 부성철 감독의 공을 들인 촘촘한 연출과 오수연 작가가 던지는 꽤 진지한 질문들은 멜로만이 남은 앙상한 한류기획상품 드라마라는 선입견을 벗어나게 해준다.
‘스타의 연인’은 스타의 정체성, 즉 하늘에 걸려있는 허구의 별로서의 이미지와 땅에 발을 딛고 살아가는 한 실제적 인간으로서의 삶을 질문하면서, 동시에 자신의 드라마에 대한 정체성을 질문하는 드라마다. 한류 드라마는 더 이상 허명으로서 만들어지거나 유지될 수 없고, 실질적인 진정성에 도달해야 비로소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을 자인하는 드라마다. 이처럼 꽤 진지한 질문들을 던지고 있지만 왜 여전히 시청률은 오르지 않을까. 이 상황은 어쩌면 (한물 간) 한류드라마라는 이미지를 가진 ‘스타의 연인’이라는 껍질이 아직까지는 너무나 단단하다는 것을 반증하는 지도 모른다.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력적인 광기, ‘천추태후’의 경종 최철호 (0) 2009.01.19 반 토막 난 수목극, 계보드라마의 한계 (2) 2009.01.15 불황기 드라마, 익숙한 코드들만 넘쳐난다 (0) 2009.01.13 ‘대왕 세종’은 안 되고 ‘천추태후’는 되는 이유 (0) 2009.01.11 불황이면 막장이라도 된다는 위험한 생각 (0) 2009.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