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대왕 세종’은 안 되고 ‘천추태후’는 되는 이유

728x90

시청자들이 목말라하는 스펙타클, 그 의미

주말 밤, 시계를 과거로 되돌려놓던 대하사극의 힘은 무엇이었을까. ‘대왕세종’의 부진을 떨쳐버린 ‘천추태후’의 초반 상승세는 이 질문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대왕세종’은 여러모로 실험적인 사극이었다. 스펙타클보다는 심리사극에 가까웠고, 따라서 드라마는 영상보다는 대사가 중심이었다. 정치적 상황에 따라 인물들이 변화하는 과정은, 그 심리를 드러내는 대사를 주의 깊게 듣지 못하면 따라잡기 어려울 지경이었다. 한 마디로 너무 어려웠던 것이다.

하지만 ‘천추태후’는 초반부터 사극의 진면모라 할 수 있는 전투 장면을 내세워 시청자들이 목말라하던 볼거리를 충족시켜주었다. 그러나 만일 이 전투 장면이 늘 사극 속에서 보아왔던 그런 것이었다면 시청자들은 첫 회에서부터 식상해했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거기에는 지금껏 보지 못했던 장면들(예를 들어 곰이 전장에 나오는 것)과 남성들의 전유물이라 생각되었던 전장을 누비는 여걸들의 모습들이 들어가면서 신선함을 던져주었다. 특히 훗날 천추태후가 되는 황보수(채시라)의, 활을 무기로 하는 전투장면은 '반지의 제왕'의 레골라스를 연상시킬 정도로 흥미진진함을 던져주었다.

전투장면의 연출에 있어서도 저 ‘추격자’가 보여주었던 리얼 액션의 긴박감을 부여해주는데 성공했다. 쉴 새 없이 이어지는 전투장면의 연속은 보는 이의 심장박동을 캐릭터들의 그것에 맞춰주기에 부족함이 없었다. 빠져서 보다보면 어느새 끝날 시간이 다 되어버리는 이 스펙타클의 시간은 드라마에 있어서 사극만이 가진 장점이 아닐 수 없다.

사극은 일단 그 과거의 시간대로 돌아가는 것만으로도 시각적인 즐거움을 준다. 우리는 현대와 다른 시간과 공간 속을 보면서 그들의 다른 삶이 주는 재미에 빠져든다. 사실 자동차가 도로를 가득 메우는 세상에 말을 타고 달리고, 기관총에 미사일이 날아가는 시대에 활을 쏘고 칼을 휘두르는 백병전의 묘미는 그 색다름에서 오는 것이다. 그리고 거기에는 지금과는 다른 사회체계의 모습이 존재한다. 왕이 있고 신하가 있고 백성들이 있으며 눈에 보이는 적이 있다. 이 단순화되어 보이는 사회체계 속에서 그들이 부딪치고 싸우고 생존해 살아남는 과정 자체는 조금은 유아적이지만 분명 재미있는 볼거리가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이 다른 시간과 공간대에서 벌어지는 사극이 바로 현대의 상황들과 조우하는 순간이다. ‘대왕 세종’이 세종이라는 성군을 통해 현대와 접목하려 했던 메시지는 백성과 직접적으로 소통하려는 왕과, 그 중간 지점에 서서 소통을 끊고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왕을 움직이려는 신하들의 대결구도를 통해 보여주려는 진정한 정치의 길이었다. 현대인들의 성군을 희구하는 마음을 세종이라는 영웅을 통해 끌어내려던 의도였다. 실제로 이 작품은 놀라울 만큼 치밀한 대사와 심리묘사로 그 주제에 근접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이 정치적 주제의식을 정치적인 방법, 즉 말로서 시청자들에게 보여주려 한 것은 이 사극이 대중성을 얻지 못한 이유가 된다.

‘천추태후’가 잡아내려는 것은 현대여성들의 달라진 사회적 위치와 그럼에도 여전한 남성중심사회에 대한 도발이다. 거기에는 전쟁에서 화친을 먼저 생각하는 왕이 있고, 그 왕 앞에 비겁하다 소리치는 여걸, 황보수가 있다. 많은 사극들이 지금껏 영웅적인 여성들을 그려내지 않은 것은 아니다. ‘대장금’의 장금이(이영애)가 그렇고, ‘이산’의 성송연(한지민)이 그러하다. 하지만 이들과 본질적으로 황보수가 다른 것은 말이 아닌 행동하는 여성이라는 점이다. 황보수는 저 남성이었던 '대왕 세종'조차 보여주지 못했던 스펙타클을 보여주는 여성 영웅인 셈이다.

‘천추태후’의 선전은 바로 그 사극만이 가진 볼거리와 거기에 버무려지는 현대적인 코드들에 충실했던 데서 찾을 수 있다. KBS 대하사극의 오랜 역사가 가진 경험은 이러한 스펙타클의 구현을 용이하게 만든다. ‘대왕 세종’의 부진과 ‘천추태후’를 통한 주말 대하사극의 부활이 한편으로 말해주는 것은 대중들의 말, 정치에 대한 식상함과 볼거리에 대한 목마름이다. ‘천추태후’는 그 영웅이 여성이라는 그 사실 하나만으로도 충분한 현재적인 뉘앙스를 의미로 포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오히려 말보다는 행동하는 여걸 그 자체가 현재적 의미를 갖게 만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부분에서 ‘천추태후’가 가진 위험성도 존재한다. 현재의 사회에서 말의 홍수가 지긋지긋한 것은 사실이지만, 현재 사회를 움직이는 것 또한 칼이 아닌 그 말의 힘이라는 것을 자칫, 행동하는 여걸의 판타지를 통해 지워버릴 수도 있다는 것이다. 정치적 무관심과 스펙타클에 대한 환호는 늘 그 탄탄한 공조관계를 유지해 왔던 것이 사실이다. 물론 지금의 ‘천추태후’가 정치적 무관심을 추구할 것이라는 걸 예단할 수는 없다. 실제로 정치적인 사건들은 스펙타클과 함께 이 사극이 굴러가는 두 바퀴가 되고 있다. 대하사극이 처한 딜레마는 정치적으로 진지해지면 깊이를 얻지만 한편으로 어려워지고, 스펙타클로 흐르면 자극적이지만 대중성을 얻는다는 점이다. 이것이 말의 힘만을 믿었던 '대왕 세종'이 안 되고, 사극이 가진 본태적인 스펙타클의 힘을 동시에 가져가는 ‘천추태후’가 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