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네모난 세상

귀로 보는 음악시대, 자정풍경을 바꾸다

728x90

밤 12시 TV 풍경을 바꾼 음악 프로그램들

하루의 노동 끝에 눈도 뻑뻑하고 어깨도 결리는 몸이 침대 위에서 손가락 하나 까딱하기 싫은 자정. 그 고요한 밤의 품속에서 오롯이 깨어있는 것, 바로 귀다. 시각보다는 청각이 열려있기 마련인 이 시간대, TV는 언제부턴가 음악 프로그램들을 편성하기 시작했다. 처음 그 편성은 낯설었다. 한참 잠을 청할 시간에 노래라니! 그것은 또한 중심 시간대에서 밀려버린 음악 프로그램의 위상을 말해주는 것 같았다. 실제로 우후죽순 생겨났던 가요 순위 프로그램들은 시청률 몰락으로 점차 프라임 타임 대에서 사라져갔다.

하지만 중심에서 밀려난 음악 프로그램과, 소음에서 자유로워진 자정 시간대라는 이 두 지점이 만나자, 음악 프로그램들은 오히려 제대로 음악에 집중하기 시작했다. 프라임 타임대에 주로 보여지는 시각 중심의 음악 프로그램들은 자정으로 옮겨오면서 청각 쪽을 더 치중하기 시작했고, 그러자 음악 중심에서 활동하는 실력 있는 가수들(시각 중심 음악 프로그램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소외되었던)이 무대로 나오게 되었다. 주류와 비주류는 이 음악을 중심으로 세우는 무대 위에서는 아무런 상관이 없었다. 인디밴드 ‘장기하와 얼굴들’과 기획형 아이돌 그룹 ‘소녀시대’가 같은 무대에 서서 노래하는 것이 하등 이상하게 보이지 않는 풍경이 되었다.

이렇게 달라진 자정의 풍경의 중심에 서 있는 ‘이하나의 페퍼민트(KBS 금 12시 15분)’는 ‘이소라의 프로포즈’와 ‘윤도현의 러브레터’의 계보 위에 서 있는 음악 프로그램이다. ‘이소라의 프로포즈’가 음악을 중심에 세우는 프로그램을 말 그대로 프로포즈했다면, ‘윤도현의 러브레터’는 좀더 도발적으로 음지에 있는 음악인들(예를 들면 힙합이나 언더그라운드에서 활동하는 밴드들)을 무대 위로 끌어들였다. ‘이하나의 페퍼민트’는 이 토양 위에서 주류와 비주류에 대한 편견 자체를 지워버린 상태에서 귀가 즐거운 음악의 향기를 퍼뜨리고 있다. 진행자가 가수에서 배우로 바뀐 것은 상징적이다. 그만큼 말하는 입보다는 듣는 귀가 중요해졌다는 얘기다.

‘김정은의 초콜릿(SBS 수 12시 30분)’ 역시 ‘이하나의 페퍼민트’와 마찬가지의 선상에 서 있다. 음악성을 중심으로 초대되는 가수들, 소극장 같은 작은 무대가 주는 집중력 같은 것이 그것이다. ‘이하나의 페퍼민트’가 이하나가 가진 엉뚱하면서도 풋풋한 매력을 프로그램의 개성으로 세웠다면, ‘김정은의 초콜릿’은 김정은이 가진 ‘만인의 연인’이미지를 세웠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은 마치 연인들이 서로 이벤트를 해주는 것 같은 컨셉트가 부가되어 있다. 물론 자정의 듣는 귀를 열어주는 프로그램이지만, 가끔 시각적인 이벤트(라틴 댄스를 춘다거나, 연주를 하는 것 같은)가 감초처럼 등장하는 것은 그 때문이다.

하지만 ‘음악여행 라라라(MBC 수 12시 35분)’는 더 극단적으로 듣는 귀를 중심에 세운다. 먼저 눈길을 끌어 모으는 무대를 없앴고, 반응을 유도하는 객석도 없앴다. 심지어 초기에 프로그램에 세워두었던 ‘라디오스타’ 4인방도 불필요해졌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듣는 노래가 저 녹음실에서 녹음되어 음반으로 만들어져 라디오나 TV의 전파를 타고 우리의 귀까지 들어오는 지난한 과정을 거친다면, 이 프로그램은 그 과정을 녹음실에서 바로 TV로 압축시켰다. 그만큼 생생해졌고 음악은 직접적으로 귀로 파고들었다. TV가 기본적으로 시각을 저버릴 수 없는 매체라고 할 때, ‘음악여행 라라라’가 보여주는 영상은 ‘귀로 보는’ 어떤 것이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스페이스 공감(EBS 월화 12시 10분)’은 작은 공간 속에 뮤지션과 관객을 밀착시킴으로써 그 상호반응을 숨소리까지 느낄 수 있게 해준다. 프로그램 제목처럼 공간으로써 공감을 증폭시키는 형식을 만들어낸 것이다. 이 공간 속에서 더욱 빛을 발하는 것은 연주자들의 연주다. 손가락이 줄을 당기고 뜯는 그 미세한 소리마저 바로 앞에 있는 관객의 눈과 귀를 사로잡고, 그것은 고스란히 TV를 타고 시청자 앞으로 날아온다. 작아서 집중되는 이 효과는 소극장 음악들의 장점을 고스란히 받아들이고, 또 재즈 같은 악기 연주가 중심이 되는 음악들을 새롭게 발견하게 만든다.

늦은 시간대로 옮겨 간 음악 프로그램들은 그 시간이 갖는 독특한 힘과, 오히려 편성의 중심에서 벗어나 있다는 그 자유로움이 만나 우리의 자정의 풍경을 바꾸고 있다. 피곤하고 지친 영혼이 홀로 자신의 소리에 귀기울이게 되는 이 시간, 우리의 귀는 이제 때론 감미롭고, 때론 마음을 뻥 뚫어줄 정도로 시원하며, 때론 잊고 있던 느낌을 깨어내는 듯한 그 음악 소리를 새롭게 발견하고 있다. 이 시간의 무대 위에는 주류와 비주류, 혹은 장르로 구분되던 수직적인 음악들의 위계는 사라지고, 장르와 대중성과 실험성이 모두 어우러지는 수평적인 음악의 향연이 펼쳐진다. 귀로 보는 음악 시대가 열렸고, 그것은 우리의 자정풍경을 바꾸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