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네모난 세상

TV, 88만원 세대와 만나다

728x90

드라마, 예능, 음반에 드리워진 88만원 세대의 그림자

그들은 오로지 대학만이 모든 것을 이뤄줄 것이란 이야기를 들어가며 학창 시절을 보냈고, 그렇게 어렵게 들어간 대학에서도 낭만이란 말은 뒤로 접어둔 채, 일찌감치 취업준비로만 전전해왔다. 그리고 사회에 버려지자마자 바늘구멍 뚫기만큼 힘들다는 취업전선에서 다시 경쟁해야 했고, 그렇게 가까스로 기회를 잡은 그들도 그러나 인턴이라는 이름으로 몇 개월 간의 치열한 노동의 경쟁 속으로 다시 뛰어들어야 했다. 정당한 기회조차 박탈당한 채 비정규직 노동자로 전전긍긍해야 하는 그들. 한때 사회현상처럼 대중문화에서 조명되었던 백수세대는 이제 ‘88만원 세대’라는 이름으로 다시 무대 위에 오르고 있다.

‘내조의 여왕’, 온달수의 인턴시대
‘내조의 여왕’의 온달수는 나이도 있고 결혼도 했으며 아이까지 있지만 그가 처한 상황은 88만원 세대의 그것을 그대로 닮았다. 굴지의 대기업인 퀸즈푸드에 입사하려는 온달수는 면접에서부터 인사부장을 친척으로 두고 있는 상대와의 경쟁에서 혈연으로 밀린다. 우여곡절 끝에 입사가 허락되지만 반쪽 짜리. 인턴 3개월을 거쳐야 하는 입장이다. 조직은 실력과는 상관없이 연줄과 권력(돈)의 힘으로 굴러가고 그 앞에 선 온달수가 가진 것은 열정과 내조를 위해 친구 앞에서도 무릎을 꿇는 아내뿐이다.

이 온달수가 처한 상황은 아내와 관련된 부분만 떼 놓고 보면 사회 초년생으로 첫발을 내딛는 88만원 세대들이 겪는 것과 꼭 같다. 이미 굳건하게 저들만의 리그가 결정되어 있는 사회 시스템 앞에서 누구나 무릎을 꿇고 처세를 해야 하지만, 온달수처럼 가진 것 없는 사람은 그마저도 허락되지 않는다. 어찌 보면 이 드라마는 88만원 세대가 처한 현실을 드라마의 주 시청층인 주부들 눈높이로 맞춰놓은 것만 같다. 이 드라마가 노골적으로 여성층을 겨냥하고 있으면서도 또한 남성들의 지지를 얻고 있는 것은 바로 이런 점 때문일 것이다. ‘내조의 여왕’, 그 여왕이 내조하는 것은 다름 아닌 88만원 세대가 처한 현실이다.

‘분장실의 강 선생님’, 행복한 줄 알아 이것들아!
‘개그콘서트’의 새 아이콘으로 떠오른 ‘분장실의 강 선생님’. 이 코너는 개그맨 사회를 분장실로 축소해 그 모습을 통해 우리네 조직문화를 풍자한다. 여기서 강 선생님은 최고참인 강유미지만 이 코너의 실질적인 주인공은 중간고참인 안영미다. 안영미는 강유미 앞에서는 굽실대면서, 신참들인 정경미, 김경아 위에는 군림하는 이중적인 모습으로 웃음을 준다. 안영미는 말도 안 되는 논리로 신참들을 괴롭히면서도 습관적으로 “행복한 줄 알아 이것들아!”하고 외친다.

여기서 ‘행복한 줄 알아야 하는 이것들’에 해당되는 정경미와 김경아는 바로 88만원 세대의 분신이다. 그들은 감기에 걸려도 허락 받고 걸려야 하는 처지. 하지만 맥락을 좀더 넓혀보면 88만원 세대는 그들에게만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 그녀들은 모두 여성으로서는 수치스러울 수 있는 분장을 하고 있고, 그것은 웃겨야 살 수 있다는 처절한 현실을 반영한다. 안영미가 신참들을 괴롭히고 고참에 아부하면서도 그것이 밉상이 아닌 것은 그녀가 가장 독한 골룸 분장을 한 장본인이기 때문이다. 이 코너는 88만원 세대의 개그맨 버전이다. 대학로 소극장에서 임금조차 없이 꿈 하나만으로 버텨오던 그들이지만, 막상 무대가 생겨도(코너를 잡아도) 늘 불안할 수밖에 없는 현실을 그들은 온 몸의 분장으로 보여준다.

‘싸구려 커피’마시며, ‘별 일 없이 산다’ 왜?
작년 말부터 올해까지 가요계에 벌어진 큰 사건 중 하나는 장기하라는 감성의 발견이다. ‘장기하와 얼굴들’이 ‘싸구려 커피’를 들고 나오는 순간, ‘88만원 세대’의 정서는 음악이 되어 대중들의 축 처진 어깨를 두드렸다. 그 노래에는 장기불황에 직면해 ‘한 몇 년간 세숫대야에 고여 있는 물 마냥 그냥 썩어 가지고 이거는 뭐 감각이 없는’ 청춘들의 정서가 녹아있다. 거기에는 좌절과 포기를 넘어서 마치 자기 일이 아닌 것 마냥 그 자체를 희화화시킬 정도로 둔감해진 고통이 숨겨져 있다.

그렇지만 이것이 패배의식을 얘기하는 건 아니다. ‘장기하와 얼굴들’의 정규1집의 타이틀이기도 한 ‘별 일 없이 산다’에서는 바로 이 일이 없어 별 일 없이 사는 그들이, 거꾸로 그래서 ‘별 일(고민) 없이 산다’는 역설을 끌어낸다. 이것은 승자독식 구조의 견고한 시스템 속에서 자신들의 승리를 자축하며 득의의 미소를 짓고 있을 그 누구에게 ‘깜짝 놀랄 만한 얘기’면서 ‘십중팔구 불쾌해질 얘기’로 변모한다. 그런데 이 장기하 감성이라고 해도 좋을 정서는 청춘들뿐만 아니라 중ㆍ장년층에게도 그대로 어필된다. 그네들 역시 시스템 속에 앉아있지만 마치 저 안영미가 생존을 위해 몸부림치는 그 처절한 조직의 삶에 마찬가지로 지쳐있기 때문이다.

장르를 불문하고 지금 대중문화 속에는 88만원 세대들의 그림자가 어른거린다. 이것은 현재 우리네 청년들이 처한 슬프고도 암담하며 답답한 현실을 담고 있다. 하지만 대중문화가 포착하는 88만원 세대의 정서는 청년들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드라마를 통해서라도 한 때의 망각을 꿈꾸는 주부의 감성 속에도 묻어나고, 개그맨의 처절한 현실을 보며 통쾌한 웃음으로 잠시 자신의 현실을 잊으려는 사람들에게도 피어나며, 노래 한 자락에 위안을 삼아보려는 중ㆍ장년들의 정서 속에서도 피어난다. 이것은 어쩌면 ‘88만원 세대’를 낳은 시스템의 문제가 우리네 사회 전체가 처한 현실의 문제라는 점을 말해주고 있는 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