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디문화는 어떻게 대중들과 만났나
누구나 싸구려 커피를 마셔본 사람들은 알 것이다. 그 달달한 맛이 제 아무리 맛좋다는 카푸치노나 에스프레소보다도 더 중독성이 강하다는 것을. 하지만 이런 강한 중독성이 단지 싸구려 커피가 가진 설탕물에 가까운 달달함 때문만일까. 아니다. 싸구려 커피는 어느덧 하나의 문화 감성이 되어 있다. 거기에는 서민들의 피곤함을 풀어주는 대중들의 노곤한 감성이 들어있고, 단 몇 백 원만으로도 누릴 수 있는 그들만의 여유가 들어있다. 장기하가 부르는 ‘싸구려 커피’에는 우리가 흔히 대중문화라고 불러왔던 것들을 무색하게 만드는 좀 더 본질, 진정성에 가까운 대중의 감성이 녹아 들어있다.
‘싸구려 커피’같은 비주류로 취급되던 인디 감성의 문화가, 주류를 치고 들어오는 현상은 단지 불황을 맞은 탓만은 아니다. 즉 경제적인 논리로 보자면 인디 문화가 가진 저투자 고효율은 불황이 요구하는 것임에는 틀림없지만, 그것은 단지 대중문화를 숫자적인 관점, 즉 양적 잣대로만 바라보는 잘못된 시각이다. ‘싸구려 커피’의 주류 진입 성공의 이유는 오히려 질적인 부분들에서 찾아볼 수 있다.
주류가 가진 상업적인 접근은 자본으로부터 생겨나고 자본이란 투여되는 순간부터 이윤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상품’의 대중성을 확보하기 위해 리스크를 줄이는 방법을 쓰게된다. 개성은 이 잣대로 보면 때로는 리스크가 된다. 바로 이 부분은 왜 주류문화가 대부분 비슷비슷한 마치 대량생산된 통조림 같은 맛을 내는 이유가 된다.
하지만 자본에서 독립되어 개성을 리스크가 아닌 무기로 장착한 ‘싸구려 커피’는 ‘미지근해 적잖이 속이 쓰려오는’ 맛이지만 좀더 진심에 가까운 맛을 낸다. ‘싸구려 커피’의 성공을 불황 탓으로 말한다면, 그것은 불황이 오히려 진정성을 더 요구하는 시대적 정황을 갖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지금 우리는 ‘싸구려 커피’같은 인디 문화들이 주류로 치고 들어오는 풍경을 적지 않게 목도하고 있다. ‘워낭소리’의 기적(이건 기적이라고 밖에 할 수 없는 현상이다)이 그저 하나의 예외적 사례로 남지 않는 것은 그 뒤를 충분히 이을만한 양익준 감독의 ‘똥파리’같은 작품들이 나오기 때문이다.
영화를 만들기 위해 전셋집까지 뺀 ‘똥파리’의 양익준 감독은 영화를 제작하기 전 투자 제의를 받은 적이 있었지만 거절했다고 한다. 이유는 자본이 들어오면 그간 함께 일해오던 ‘좋은 사람들’과 함께 일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라는 것. 만일 그 때 투자를 받았다면 똥파리에는 어쩌면 우리에게 익숙한 얼굴들이 등장하고, 영화 연출도 어쩌면 익숙한 틀 속에서 벗어나지 못했을 지도 모른다. 한 마디로 지금 같은 ‘똥파리’만의 아우라를 갖지 못했을 거란 얘기다.
독립영화의 시험대로 불리고 있는 이 영화가 실제로 관객몰이를 해나가고 있다는 것은 인디문화에 대한 달라진 시선을 말해주는 대목이다. 이제 인디 문화가 더 이상 싸구려라는 오명으로 불려지는 시대는 지났다. 주류와 비주류를 나누는 잣대가 자본의 양에 의한 것이라면, 그것은 질적인 판단을 유보한다. 싸구려라는 말은 적은 돈(오히려 이 성격이 다른 돈이 질을 만들기도 한다)이 들어갔다는 의미로서는 맞는 말이지만, 그렇다고 질이 떨어진다는 의미는 아니다. 그리고 이제 대중들은 ‘워낭소리’나 ‘똥파리’, 그리고 장기하와 얼굴들 같은 밴드를 통해 그것을 인지하기 시작했다.
'옛글들 > 네모난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철수와 김창완, 그 청년정신의 소유자들 (0) | 2009.05.12 |
---|---|
'휴먼다큐 사랑', 풀빵 엄마가 보여준 가족의 힘 (5) | 2009.05.09 |
‘유희열의 스케치북’, 웃음을 갖고 돌아오다 (1) | 2009.04.25 |
스페셜한 주말 밤, 명품다큐의 새로운 매력 (1) | 2009.04.20 |
집 나가면 개고생? 이 광고가 불편한 이유 (0) | 2009.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