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국적 없는 영화, 성공 어렵다 본문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국적 없는 영화, 성공 어렵다

D.H.Jung 2006. 11. 8. 20:01
728x90

원작을 부숴야 리메이크가 산다

최근 들어 대중문화에 국적이 사라지고 있다. 국내 영화계에서 제작되고 있는 컨텐츠들은 국경을 넘어서는 원작들로 가득하다. 먼저 ‘올드 보이’는 일본만화가 원작이지만 칸느 영화제에서 박찬욱 감독에게 심사위원 대상을 안겨주었고 이 영화는 지금 헐리우드 메이저 제작사인 유니버설 픽쳐스가 리메이크 중이다. 우리네 ‘시월애’는 ‘레이크 하우스’란 이름으로 리메이크 되어 역수입되었고, 일본 YTV에서 방영된 드라마 <Pure Soul>은 우리나라에서 ‘내 머릿속의 지우개’로 리메이크 되어 다시 일본으로 역수출되었다.

또한 같은 원작으로 일본과 우리나라에서 나란히 영화화된 ‘플라이 대디’를 기점으로 일본 TBS에서 방영된 드라마 ‘사랑 따윈 필요 없어 여름’이 국내에서 영화화됐고, 앞으로도 일본의 드라마들이 줄줄이 국내에서 영화로 제작될 예정이다. 그러한 원작들이 바다 건너 이역 땅에서 다시 영화화되는 것은 그것이 그곳에서 성공한 작품들이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성패의 이면에는 분명한 공식 같은 것이 존재한다. 아무리 국적 없는 대중문화 환경이라고 해도 리메이크된 영화는 국적이 있어야 산다는 것이다.

국적이 어딘지 알 수 없는 영화들
이준기, 이문식 주연의 ‘플라이 대디’는 재일교포 소설가인 가네시로 가즈키의 ‘플라이 대디 플라이’를 원작으로 하는 영화이다. 이 소설은 일본에서도 영화화되었는데, 우리나라에서 영화는 참패했다. 물론 당시 개봉했던 봉준호 감독의 ‘괴물’이 상당한 원인으로 작용한 것이 사실이지만, 그 참패의 원인을 모두 ‘괴물’로 돌리는 것은 온당치 못하다. 당시 개봉된 ‘각설탕’, ‘다세포소녀’, ‘스승의 은혜’ 등이 선전을 한 것에 비하면 ‘플라이 대디’는 이준기라는 굵직한 카드를 갖고도 그다지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 진짜 이유는 ‘작품의 현지화’에 실패했다는 것이다. 이 작품이 일본에서 화제를 불러일으킨 것은 주인공 박순신이라는 캐릭터가 가진 사회적인 위치와 스즈키라는 전형적인 일본 가장의 위치가 만난다는 그 설정에 있다. 이들은 전혀 다른 상황에 있는 것처럼 보이나 마이너리티라는 재일교포의 정체성은 일본 소시민의 정체성과 일맥상통한다. 그러니 그들의 복수가 유쾌하지 않을 까닭이 없다. 이 굵직한 이야기 속에 만화적인 전개를 용인하는 일본적 정서도 한 몫을 담담하고 있다.

하지만 이 영화가 리메이크되어 국내에 걸리자 관객들은 공감을 얻지 못했다. 우리네 정서는 일본과는 달라 이 무거운 주제를 만화적인 전개로 다루는 것을 용납하지 않았다. 게다가 일본 상황과는 전혀 다른 우리네 상황을 영화 속에 녹이는 데도 실패했다. 원작을 그대로 따라가다 보니 정서가 공유되지 않는 것이다. 차라리 우리 상황에 맞는 마이너리티를 찾아서 원작의 틀만 유지한 채 전혀 새로운 영화로 만들었다면 성공 가능성이 높았을 지도 모른다.

성공한 컨텐츠들의 이유
반면 스치야 가론의 일본 만화 원작을 들여다 전혀 새로운 이야기로 꾸며낸 ‘올드 보이’는 그 양상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전혀 새로운 이야기’란 내용보다는 형식을 말하는 것이다. 박찬욱 감독이 가진 영화 스타일로 인해 박찬욱표 ‘올드 보이’가 만들어졌고, 그것은 국지적인 적응의 성공을 넘어 보편적인 정서로의 적응에도 성공했다고 보여진다. 칸느에서 울려온 축포는 바로 그런 의미를 갖고 있다.

원작을 5천만 원에 사들여 영화로 만든 뒤 일본에서만 약 250억 원의 흥행수익을 올린 ‘내 머릿속의 지우개’는 우리 식으로 만드는 것이 얼마나 더 경쟁력이 있는가를 보여준다. 그것이 ‘멜로’라는 한류의 중심 축에 선 소재를 갖고 있다는 장점을 차치하고라도, 한국화된 멜로가 벌어들인 흥행수익이 주는 의미는 위기론이 대두되고 있는 한류가 앞으로 고수해야할 방향을 제시한다.

국적을 고수해야 산다
한류가 더 이상 먹히지 못하고 일류가 몰려온다는 ‘한류 위기론’이 대두되고 있다. 그것은 최근 일련의 국내의 영화들이 일본에서 잇따라 실패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일본 영화계가 자체 제작을 늘리고 있다는 점도 작용하고 있지만, 무엇보다도 우리 식의 정서를 제대로 영화 속에 풀어내지 못한 원인이 크다. 지금 우리나라에는 수많은 일본 원작들이 들어와 영화 혹은 드라마로 제작되고 있다. 그 전초병 역할을 하는 것은 일본 만화와 소설이다. 이렇게 일본 컨텐츠들이 국내에 범람하는 것을 가지고 영화계는 무언가 착각을 하고 있는 모양이다. 일본식 정서가 우리네 정서와 맞을 거라는 착각 말이다. 이것이 착각이라는 것은 최근 개봉을 앞두고 있는 문근영·김주혁 주연의 ‘사랑 따윈 필요 없어’를 보면 극명하게 드러난다.

‘사랑 따윈 필요 없어’의 가장 중심 축은 김주혁이 맡은 호스트라는 직업이다. 그런데 이 속에는 일본식 정서가 아니면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이 있다. 일본 도쿄의 가부키쵸를 이해해야 하고, 호스트를 직업으로 인정하는 일본의 문화를 이해해야 그 드라마에 대한 공감이 가능하다. 그런데 이것을 고스란히 호스트라는 이름으로 국내로 들여오자 영화적 공감이 사라져 버린다. 게다가 일본식 정서에나 적합할 것 같은 극도로 절제되어 현실감이 없는 대사나, 오빠 동생이라는 코드 등은 묘한 불쾌감마저 들게 만든다. 이 영화에는 우리나라 길거리에서 흔히 만나는 익숙한 얼굴들이 전혀 등장하지 않는다. 주인공은 물론이고, 조역도 마찬가지며(진구는 남미 어디선가 본 듯한 건달 이미지를 풍긴다), 하다 못해 지나가는 엑스트라까지 그렇다.

이렇게 철저히 우리네 정서가 빠져있는 작품이 얼마나 많은 공감을 얻어낼 수 있을까. 이런 작품을 보느니 차라리 원작을 보는 편이 더 낫지 않을까. 그것은 원작을 보는 관객의 마음 속에는 이미 일본이라는 상황을 전제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공감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일본 드라마나 만화, 소설을 원작으로 우리의 작품을 만들었다면 그것은 당연히 우리 식의 해석이 들어가야 한다. 그것이 없을 때, 리메이크는 베끼기가 되거나 늘 삼류의 위기에 봉착하게 된다. 국적 없는 대중문화의 교류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결국 국적을 고수해야 한다. 원작은 늘 부서져야 하고 거기서 새로운 것이 살아나야 리메이크의 성공을 예감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