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거품 빠진 다큐의 맛, '30분 다큐' 본문

옛글들/네모난 세상

거품 빠진 다큐의 맛, '30분 다큐'

D.H.Jung 2009. 6. 2. 01:58
728x90

'30분 다큐', 일일 다큐 시대를 열다

다큐멘터리를 음식으로 치면 어떤 것에 가까울까. 무언가 판타지를 제공하는 눈이 즐거운 화려한 색감의 음식이나, 톡 쏘는 향신료가 코끝을 찡하게 만드는 자극적인 음식보다는 어딘지 밋밋해도 재료 맛에 정직한 음식이 아닐까. 그런 면에서 보면 '30분 다큐'는 그 맛에 가장 근접한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처럼 보인다. 거기에는 지나친 자극도 없고 지나친 눈요깃거리도 없다. 하지만 이 지나치게 담담하게 우리 생활 주변을 낮은 눈높이로 바라보는 '30분 다큐'를 쳐다보고 있으면 바로 거기 있는 나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이 프로그램의 첫 회를 장식한 아이템은 '배PD가 108배를 하게 된 까닭은?'이라는 제목을 달고 있다. 이 코너는 제목처럼 배용화 PD가 좁은 공간에서 할 수 있는 운동을 찾다가 108배가 좋다는 얘기를 듣게 되고 그것을 검증하기 위해 여러 사람들을 만나고 그 효과를 알아가는 과정을 담았다.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PD가 직접 프로그램의 관찰자이자 주인공 역할을 한다는 점은 그만큼 보는 이들의 감정이입을 쉽게 만든다. PD의 관심사와 궁금증이 고스란히 시청자의 그것으로 상치되는 것이다.

하지만 일반인이라면 누구나 108배의 운동효과가 궁금하다고 해서 전문 무술인이나 한의사를 찾아가 소견을 묻고, 심지어 108배가 숙취해소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실험을 하지는 않는다. 즉 처음 시작은 일반인과 같은 눈높이에서 관심사항을 만들었지만 차츰 그 관심은 PD로서의 좀 더 전문적인 부분으로까지 확장되어 간다. 이 서민적인 눈높이에서 전문가의 눈높이까지 이행하는 친절한 전개는 '30분 다큐'가 가진 미덕이다. 이 코너 이외에도 '30분 다큐'에는 방송에 나간 맛집을 찾아가는 PD, 고래를 보기 위해 바다로 떠나는 PD, 시내버스로만 전국을 여행해보는 PD 같은 안내자가 종종 등장한다.

이런 형식은 어찌 보면 느슨한 느낌마저 준다. 심지어 어떤 부분에서는 일반인들이 찍는 UCC를 연상케 하기도 한다. 흔히들 다큐멘터리라고 하면 어딘지 엄밀함이나 진지함을 먼저 떠올리는데 이것은 우리의 뇌리에 각인된 다큐멘터리라는 것이 주로 대작들이기 때문이다. '북극의 눈물'이나 '누들로드', 혹은 '한반도의 공룡' 같은 것들. 아니면 자연 다큐멘터리로 내셔널 지오그래픽으로 연상되는 그림들. 그것도 아니면 역사 다큐 같은 철저한 고증을 전제로 하는 엄격한 잣대들. 우리에게 그간 다큐멘터리라는 장르는 이상할 정도로 어깨에 힘이 들어가 있었다.

하지만 그것들만을 다큐멘터리의 본령이라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아주 사소한 것이라도 지금 시대를 포착해주는 한 단면을 거기서 발견해낼 수 있다면 그것은 기록으로서의 훌륭한 다큐멘터리라고 할 수 있다. 그 단면이 학문적인 영역이 아닌 생활의 영역 속에서라면 그 기록은 박제된 것이 아닌 살아있는 생생함까지 가지게 된다. 그런 면에서 '30분 다큐'가 가진 일상의 기록으로서의 다큐가 가진 가능성은 그저 만만히 볼 성격이 아니라고 말할 수 있다.

'30분 다큐'는 그 시간적 제약이 오히려 다큐의 특성을 만들어주는 프로그램이다. 1시간이라면 어딘지 부담이 되는 그 다큐의 시간은 30분으로 줄어들면서(실제 영상의 시간은 25분 정도가 된다) 어깨에 힘을 빼게 된다. 일상의 아이디어가 그대로 한 편의 다큐가 될 수 있는 이 축소된 시간은 따라서 바로 그 일상을 잘 포착할 수 있는 형식이 된다. 게다가 이 여유(?)는 엉뚱한 시선의 가능성을 극대화한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이 검찰에 소환될 때 모든 카메라의 시선은 대통령의 일거수일투족에 가 있었지만, '30분 다큐'는 엉뚱하게도 그 대통령을 좇는 카메라들의 취재경쟁에 가 있었다.

'30분 다큐'는 그 짧은 시간제약을 통해 일상에 천착하게 함으로써 일일 다큐멘터리 시대를 열었다. 물론 '인간극장' 같은 일일 다큐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30분 다큐'가 갖는 시사성 있는 소재의 다양성이 갖게 되는 기록으로서의 가치와, 그 시간적 제약이 오히려 번뜩이게 만드는 상상력은 이것이야 말로 진정한 일일 다큐멘터리로서의 묘미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30분 다큐'라는 거품을 뺀 다큐의 맛이 거창하지 않아도 입에 물리지 않는 것은 그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