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MBC 스페셜', 그 다큐가 특별한 이유 본문

옛글들/네모난 세상

'MBC 스페셜', 그 다큐가 특별한 이유

D.H.Jung 2009. 7. 3. 21:50
728x90

감동으로 메시지를 전하는 ‘MBC 스페셜’의 다큐멘터리

‘MBC 스페셜’의 ‘목숨 걸고 편식하다' 편은 꽤 도발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그것은 우리가 흔히 습관적으로 말하는 “건강을 위해 골고루 먹으라”는 그 상식을 뒤집고 있기 때문이다. 고혈압 환자에게 혈압약을 끊게 하는 대신 식이요법을 시키고, 대장암으로 시한부인생 판정을 받았지만 식습관을 고쳐 삶을 되찾고, 신장이식 수술을 받아서 반드시 먹어줘야 하는 면역억제제를 끊고 대신 금욕적인 삶과 먹거리로 살아가는 이야기는 그 강도로만 보면 어느 르뽀보다도 고발 프로그램보다도 강할 수밖에 없다. 이것은 ‘과영양에 대한 경고’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편식하라’는 말은 과영양 시대의 역설을 담고 있다.

하지만 ‘MBC 스페셜’은 이 소재를 르뽀나 고발 프로그램으로 다루지 않는다. 그저 그렇게 살아가는 사람에 집중하는 것으로 모든 메시지에 대한 강변을 대신한다. 대신 이야기는 마치 ‘인간극장’이나 ‘휴먼 다큐 사랑’처럼 일상 속의 특별함 정도를 말해주는 것 같은 편안함과 친근함을 갖게 된다. 이처럼 강변하지 않으면서도 스스로 나타내 보여주는 것은 어쩌면 다큐의 진짜 미덕인지도 모른다. ‘MBC 스페셜’의 다큐가 특별하게 느껴지는 것은 그 중심에 늘 사람을 놓기 때문이며, 또 메시지를 스스로 강변하기보다는 다큐 속의 인물들이 그것을 자연스럽게 드러내게 만드는 것 때문이다.

‘MBC 스페셜’의 연중 기획이랄 수 있는 ‘휴먼 다큐 사랑’은 바로 이런 점이 폭발력을 가지게 만드는 다큐멘터리라고 할 수 있다. 죽음을 짊어지고 살아가는 사람들을 다루면서도 적절한 감정적 거리를 유지한다는 것은 실로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하지만 이 프로그램에는 인물에 대한 집중과 거리두기가 꽤 잘 균형을 잡고 있다. 실제 메시지는 따라서 늘 뒤편에 서 있게 마련이지만(예를 들면 워킹맘을 다루면서도 그걸 전면에 세우지는 않았던 ‘풀빵엄마’처럼) 알게 모르게 스며드는 그 메시지야말로 진정한 공감에 이르게 하는 묘책이 되기도 한다.

‘MBC 스페셜’이 다루어왔던 일련의 셀러브리티(celebrity) 다큐 또한 연예인이나 스포츠맨 같은 유명인사들의 화려한 겉모습이 아니라, 한 인간으로서의 진솔함을 포착함으로써 호평을 받아왔다. 김명민 편이 그렇고 박지성 편이 그러했다. ‘최민수, 죄민수 그리고 소문’편에서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억울한 근거 없는 소문으로 피해자가 가해자가 되어버린 최민수의 인간적인 면모를 포착하면서도, 동시에 소문에 대한 사회심리학적인 객관적 접근을 시도하기도 했다.

또 한편으로 ‘MBC 스페셜’은 특별한 보통사람들에 대한 애정을 늘 보여왔다. ‘곰배령사람들’에서는 도시에서 살다가 곰배령에 들어와 살게 된 사람들의 특별한 삶을 포착함으로써 거꾸로 자연이 우리에게 주는 혜택 같은 것을 되돌아볼 수 있게 해주었다. ‘마지막 해녀’는 이제는 점점 사라져가는 해녀들의 삶과 애환을 들여다봄으로써 자연과 인간의 공존이라는 두 측면의 메시지를 모두 담아냈다.

인물에 집중함으로써 그 인물이 처한 환경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는 그 기법은 종종 환경 다큐멘터리로서 힘을 발휘하기도 했다. 인물 대신 북극곰을 카메라의 중심에 놓고 관찰하는 것만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한 환경문제를 드러낸 ‘북극의 눈물’이 그 대표작이 될 것이다. ‘북극의 눈물’은 이로써 시리도록 아름다운 북극의 자연을 보여주면서도 감동적으로 환경의 문제를 환기시키는 새로운 환경 다큐멘터리의 한 지점을 그려냈다.

‘MBC 스페셜’은 7월3일 밤 ‘노견만세’라는 제목으로 죽기 전까지 누워 지낼 수밖에 없는 은퇴견들과 그들과 삶의 한 부분을 함께 해온 사람들 간의 눈물겨운 마지막을 보여준다고 한다. 이것은 역시 지금까지 인간-자연(동물)에 집중해온 ‘MBC 스페셜’의 연장선으로 이해할 수 있다. 어찌 보면 ‘휴먼다큐 사랑’의 동물 버전처럼 여겨지는 이 이야기에 대한 기대감이 큰 것은 지금까지 ‘MBC 스페셜’이 걸어온 그 길이, 강변하지 않으면서도 늘 우리에게 어떤 감동으로서 메시지를 전해준 기억이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