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MBC스페셜', 아줌마 팬심에 담긴 사회 본문

옛글들/네모난 세상

'MBC스페셜', 아줌마 팬심에 담긴 사회

D.H.Jung 2009. 7. 18. 12:50
728x90

아줌마 팬을 따라가니 사회가 보이네

그녀들은 왜 자신보다 한참 어린 아이돌에 열광할까. 'MBC스페셜'이 던지는 질문은 최근 들어 새로운 팬덤의 하나를 형성하고 있는 일명 이모 팬들에 대한 궁금증에서 시작한다. 오십을 바라보는 나이에 비나 이민호, 김현중 같은 어린 친구들에 열광하고, 그들이 나오는 프로그램을 거의 외듯이 보며, 팬 사인회나 콘서트장에 어김없이 찾아가는 것을 주변에서는 주책으로 바라볼 수도 있는 일. 하지만 'MBC스페셜'이 포착하려 한 것은 단지 그 기이한 아줌마들에 대한 호기심어린 시선만이 아니다.

끝없이 이어지는 이모 팬들의 인터뷰를 따라가면서 이들이 그렇게 스타에 열광하는 이유를 들여다 보다 보면 차츰 이 사회의 모습이 다시 그려지고, 그 사회 속에서 스타라는 존재가 갖는 의미도 다시 포착된다. 무엇보다도 이 사회 속에서 아줌마로 살아간다는 것이 갖는 무게감이 다큐멘터리를 자못 진지하게 만든다. 이것은 'MBC스페셜'이 가지고 있는 전형적인 다큐의 방식이다. 사회의 현상을 다루되, 그 속에 있는 인간에 집중하는 방식.

이모 팬들은 저마다 "왜 이렇게 좋은 걸 이제야 알게 됐나"하는 반응을 보였다. 이 반응 속에 숨겨진 것은 그동안 삶이 그다지 좋지 않았다는 것이고, 그러면서도 그저 그 삶을 버텨내기만 해왔지 뭔가 돌파구를 찾으려 하지 않았다는 후회다. 점점 자기 자신에 집중하기보다는 누구의 엄마이자 누구의 며느리이자 누구의 아내로 자리하다 보니 차츰 자신에 소홀해진 것에 대한 한탄이다. 그러니 이모 팬들이 가진 젊은 그들에 대한 열광은 그 잃어버린 자신을 찾는 일과 무관하지 않게 된다.

엄마도 아니고 며느리도 아니고 아내도 아닌 한 여성으로서 자신을 위치지울 수 있다는 것은 스타라는 존재가 가진 힘이다. 그것이 근본적인 해결책은 제시될 수 없어도 어떤 위안을 주고 변화의 계기가 된다는 것만은 분명하다. 이미 지나간 청춘에 대한 아련한 그리움은 팬으로서 스타에 열광하는 그 순간 현재적인 것으로 환원된다. 프로그램에 소개된 이모 팬들이 저마다 팬클럽 활동을 하면서 보다 밝아진 자신의 삶을 발견하게 되는 것은 그 때문이다.

에드가 모랭은 스타라는 존재를 분석하면서 '스타신화는 신앙과 오락 사이에 양자가 혼합되어 있는 지대에 위치'한다고 했다. 과학이 신을 몰아낸 현대사회에서 그 신의 위치를 대리해주는 건 다름 아닌 스타라는 것이다. 과거 종교의 시대에는 힘겨운 현실에 위안을 주고 희망을 던져주는 기능을 한 것이 종교였지만, 이제 그 시대는 저물었다. 이모 팬들이 보여주는 일련의 모습들, 위안을 얻고, 희망을 갖고, 변화를 겪고, 심지어 누군가를 위한 봉사의 손길까지 내미는 그 모습들이 어떤 면에서는 종교를 대체하는 양상을 보이는 것은 그 때문일 것이다.

'MBC스페셜"이 보여준 이모 팬이라는 현상은 그 이면에 남겨진 우리 사회의 아줌마들을 되돌아보게 해준다. 사회의 버팀목이랄 수 있는 그녀들의 침묵을 다시 듣게 해준다. 이것은 힘겨운 삶 속에서 어떤 위안과 희망을 얻는 그네들의 활동을 그저 주책으로 치부하지 못하게 만드는 이유가 된다. 물론 신적인 존재로서의 스타 이면에 또 하나의 얼굴로 상품으로서의 스타가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작은 위안이 갖는 생각보다 큰 변화를 생각해본다면 이모 팬이 갖는 긍정적인 의미는 결코 간과할 수는 없을 것이다. 'MBC스페셜'은 자칫 이론적으로 접근했을 때 놓치기 쉬운 이런 감성적인 의미들을 인간에 집중함으로써 잘 포착해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