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혼’, 공포와 공감의 공존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혼’, 공포와 공감의 공존

D.H.Jung 2009. 8. 13. 10:45
728x90

공포물이 사회물이 될 때

공포물. 무조건 놀라게 하고 잔인하면 된다? 만일 이렇게 생각한다면 그것은 착각이다. 이야기의 맥락이 없는 단순한 자극으로서의 공포란 물리적인 반응으로서의 소름을 돋게 할 지는 모르지만, 마음을 건드리지는 못한다. 진짜 무서운 것은 단순 자극이 아니라, 이야기가 우리 마음 속에 있는 금기와 죄의식을 건드릴 때 저절로 피어나오는 두려움이다. 공포가 어떤 공감까지 불러일으킬 때, 우리는 그 이야기가 주는 무서움을 오래도록 느끼게 된다. 그런 면에서 MBC 수목드라마 ‘혼’은 공포와 공감을 둘 다 가져가는 공포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드라마는 두 가지 장르가 혼재한다. 그 하나는 혼령이 등장하는 전형적인 공포물이고 다른 하나는 사이코패스가 등장하는 범죄물이다. 중요한 것은 이 서로 다른 장르가 어떻게 한 가지로 엮어지는가 하는 점이다. ‘혼’은 법을 이용해 오히려 범죄자들을 보호하는 빗나간 법 정의의 문제를 건드리면서, 그 해결되지 않는 사회 정의를 혼령이 처결하는 이야기를 갖고 있다. 물론 이런 이야기는 새로운 것은 아니다. ‘전설의 고향’ 같은 민간 설화에서 우리는 억울한 혼령들의 복수극을 늘 목도해왔으니 말이다.

하지만 이런 이야기의 원형을 현대적인 공포물로 다시 만드는 것은 완전히 새로운 작업이다. 따라서 혼령과 사이코패스가 연결된 공포범죄물이란 사실상 실험적이라고까지 할 수 있다. 흥미로운 것은 이 혼령의 이야기와 사이코패스의 이야기 중간에 혼령이 빙의되는 윤하나(임주은)라는 인물이 서 있다는 점이다. 그녀는 계속해서 억울한 죽음을 목격하는 인물이고 심지어는 동생 두나(지연)마저 눈앞에서 죽는 장면을 보게 되는 인물이다. 그 충격으로 그녀의 눈에는 혼령들이 나타나고 심지어 혼령들이 그녀의 몸을 통해 복수를 하게 된다.

그런데 바로 이 지점은 이 드라마에 대한 두 가지 해석을 가능하게 만들어준다. 윤하나의 시선, 즉 혼령들을 보고 그 혼령들이 자신의 몸속으로 들어와 누군가를 죽이게 하는 그 과정으로 본다면 드라마는 혼령이 등장하는 공포물이 되지만, 윤하나의 바깥에서 객관적으로 그녀의 행동을 보면 이것은 그녀가 또 하나의 사이코 패스가 되어가는 공포범죄물로 볼 수도 있다는 점이다. 이렇게 되면 여기서 또 하나의 질문이 던져진다. 사회정의가 지켜지지 않는 법이 존재하는 한, 사이코패스는 복수를 안고 피어나는 악의 꽃처럼 반복되어 악순환된다는 점이다. 두나는 사이코패스에 의해 억울한 죽음을 맞았지만, 그 복수를 하는 언니 하나는 그 과정에서 사이코패스처럼 되어간다.

만일 ‘혼’이 그저 기괴한 혼령과 접신하는 한 여자의 이야기를 다루었거나, 아니면 사이코 패스를 잡으려는 범죄 심리학자와, 법을 이용해 사이코패스의 죄를 덮어주는 변호사와의 대결구도로 갔다면 이처럼 박진감 넘치는 장면에 생각하면 생각할수록 소름이 돋는 공포는 얻지 못했을 것이다. ‘혼’은 이 두 지점을 엮어서 공포에 사회적 공감을 덧붙였다. 이것이 가능한 것은 먼저 잘 짜여진 대본의 힘이 바탕이 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공포물의 특성상 이 드라마가 갖는 연출의 힘 또한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초반부 사거리에서부터 아파트 옥상까지 쫓고 쫓기는 장면은 이 드라마에 확실한 추동력을 만들어준 것이 사실이다. 공포물이 갖는 디테일적인 영상들 역시 왠만한 공포영화보다 뛰어난 것은 모두가 다 이 연출이 힘을 발한 탓이다.

다만 이 잘 만들어진 드라마가 공포물이라는 점이, 대중적으로 어떻게 어필할 것인지 점치기 어렵게 만드는 요소다. 본래 공포물은 대중성과는 그다지 가깝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공포의 측면만이 아닌 이 드라마가 가진 사회적인 함의나 주제의식을 들여다본다면 어쩌면 이 드라마는 공포물로서 성공할 수 있는 드라마가 될 지도 모른다. 공포와 공감이 공존한다는 점은 ‘혼’이 가진 가장 큰 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