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네모난 세상

200회 맞는 'W', 지구촌의 진실과 희망을 담다

728x90

세상을 보는 눈의 확장, 'W'

TV라는 매체는 그 본질이 '멀리 있는 것을 지금 여기에서 본다'는 이른바 '원격현전'이다. 텔레비전(Television)이란 용어 자체가 멀리(tele) 있는 것을 본다(vision)는 뜻. 그런데 과연 우리는 TV를 통해 멀리 보고 있을까. 또 멀리 보고 있다고 해도 그 멀리 있는 것을 제대로 자세하게 보고 있을까. TV가 오락적인 기능에 매몰되고 있는 동안, 정보적인 기능은 그 본질에 맞게 제대로 작동되고 있었을까. 'W'는 어쩌면 TV를 트는 순간 당연하게 생각해야할 이 질문들에 답변하는 몇 안 되는 프로그램 중의 하나일 것이다. 세상을 보는 눈의 확장, 바로 'W'가 꿈꾸는 프로그램이다.

맥루한이 매체가 우리네 감각을 확장시킴으로써 '지구촌'을 도래하게 할 것이라고 한 것처럼, 'W'는 우리의 눈으로는 다가가기 힘든 지구 구석구석의 숨겨진 이야기들을 포착해내 우리네 감각기관으로 전달한다. 카메라는 그 감각을 확장시키는 기구다. 그것은 마다가스카르로 케냐로 필리핀으로 미얀마와 우간다로 동에 번쩍 서에 번쩍 달려가 그 곳의 이야기들을 담아낸다. 이것은 카메라의 세례다. 아무도 관심두지 않는 지구촌 어느 구석의 소외된 이야기는 카메라의 세례를 통해 우리의 눈으로 전달되고, 바로 그것으로 인해 그 곳은 관심 받고 변화하게 된다.

'엘살바도르 맹그로브 숲의 아이들' 편은 그 곳의 학교에 가지 못하고 대신 노동에 시달리는 아이들을 보여줌으로써 변화의 단초를 마련했다. 이 편이 방영된 후, 시청자들은 스스로 후원카페를 마련하고 정기적으로 후원금을 보내 이 곳의 아이들을 학교에 보내주었다. 처음 한 명으로 시작한 '학교 보내기 프로젝트'는 이제 16명에 달한다고 한다. 지구 저 편에 일어나는 일을 지금 여기서 보고 느끼고 행동하여, 그 곳에 변화를 준다는 것. 이것이 바로 지구촌이라는 의미에 딱 맞는 매체의 역할이 아닐까.

무엇보다 이 프로그램이 가치있는 것은 좀더 총체적으로 지구를 관망할 수 있는 눈을 갖게 해준다는 것이다. 온실가스와 대기오염으로 점점 바다 속으로 잠겨가는 키리바시 공화국 사람들을 다룬 '잊혀져가는 사람들의 당부'편은 단적인 예다. 그들의 잘못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살 터전을 잃어버린 그들이지만, 뉴질랜드 같은 인근 나라가 보여주는 냉대는 우리에게 많은 것을 생각하게 만든다. 국가의 차원이 아닌 지구적 차원으로 보는 시선이 얼마나 진실에 가까운 것이고 중요한 것인지를 말해주는 대목이다.

지구촌 구석에 소외된 이들을 조명해주는 것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W'는 그 곳에 희망의 손길을 전해주는 행동을 보여주고 있다. 실제로 난민들을 돕고 사랑을 전하는 행동은 제작진들의 진정성에서 비롯된 바가 크다. 어떤 PD는 촬영 끝에 자신보다 더 필요할 것 같다며 그들에게 카메라를 건네주고 오기도 하고, 어떤 PD는 남은 출장비를 몽땅 털어주고 올 정도로 이들의 일은 이제 일의 차원을 넘어서고 있다. 그들이 잡아오는 영상이 우리에게 정보 이상의 감동을 주는 것은 그 때문이다.

본격 국제 시사프로그램. 이것이 'W'가 추구하는 것이다. 하지만 그렇게 거창하게 표현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국제 시사가 우리와 멀리 떨어진 어떤 것이 아니라, 바로 우리와 직결된 삶의 문제라는 것을 이 프로그램은 손수 보여줘 왔기 때문이다. 지구 전체를 하나의 이웃으로 묶는 인식의 전환. 이것이 'W'가 해온, 또 앞으로 해나갈 가장 큰 사명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 200회 특집으로 'W'에서는 2주에 걸쳐 '1부-지상 최후의 풍경'과 '2부-희망은 어디에나 있어야 한다'를 방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