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네모난 세상

신파와 코미디는 어떻게 만났을까

728x90

드라마, 영화에 부는 눈물과 웃음의 이중주

시골에서 상경해 가정부로 얹혀사는 자매. 동생의 학용품을 구하기 위해 샌드위치 많이 먹기 대회에 나가고, 은인인 외국인 아저씨에게 생일선물을 마련하기 위해 버린 커튼으로 손가락에 피가 나는 줄도 모르고 옷을 만드는 언니. 먹고 싶은 것 앞에서 유혹을 참지 못하는 동생을 구박하는 집주인 딸. '지붕 뚫고 하이킥'은 시트콤이지만 그 안에 전형적인 신파 코드가 들어가 있다.

그런데 이상한 일이다. 찬찬히 생각해보면 가슴 한 구석이 짠한 자매의 삶이지만, 그것이 시트콤이라는 장르 속으로 들어와 어떤 과장된 스토리를 입게 되자 주책없게도 웃음이 터져 나온다. 동생 신애의 학용품을 살 돈을 벌기 위해 비장한 각오로 뭐든 하려는 언니 세경의 마음은 안쓰럽지만, 그런 그녀가 샌드위치 많이 먹기 대회에 나간다는 과장된 설정은 웃지않고는 못 배기게 만드는 구석이 있다. 눈물과 웃음의 공존. 이른바 '지붕 뚫고 하이킥'이 신파 시트콤으로 불리는 이유다.

이런 경향은 '지붕 뚫고 하이킥'에서만 보이는 것이 아니다. 주말 드라마의 최강자로 자리한 '솔약국집 아들들'은 곳곳에 신파적인 설정들이 들어가 있지만, 그것과는 별개로 훈훈한 웃음이 공존한다. 가족드라마의 가장 전형적인 스토리인 혼사장애를 남성 버전으로 재해석한 이 드라마는 사형제를 내세움으로써 이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한 형제가 눈물을 짜게 만드는 신파적 상황 속에 들어가 있을 때, 다른 한 형제는 코미디에 가까운 경쾌함을 보여준다.

그러고 보면 올 여름 극장가를 강타한 우리 영화 두 작품이 모두 신파와 웃음을 공존시키는 방식으로 관객몰이에 성공했다. '해운대'는 재난영화가 갖는 신파적 스토리에 코미디에 가까운 드라마를 덧붙였다. 그러자 그 결과는 두 배로 증폭된 눈물과 웃음으로 돌아왔다. 이미 재난영화임을 알고 객석에 앉은 관객들은 등장인물에 대해 긴장감을 갖게 마련이었다. 영화는 쓰나미가 몰려오기 전까지 이 긴장을 뒤트는 인물들의 코믹함으로 웃음을 두 배로 만들었다. 그리고 그 두 배의 웃음으로 친근해진 인물들이 만드는 후반부의 눈물 역시 두 배가 되었다.

'국가대표'는 지질하다 못해 신파적인 삶을 살아가는 평균 이하의 인물들이 스키 점프라는 극한의 위치에서 오히려 뛰어 내림으로써 그 벼랑 끝의 절망을 희망의 비상으로 전화시키는 방식으로 눈물과 웃음을 엮어냈다. 지나치게 전형적일 정도로 보이는 인물들의 삶은 심지어 보는 이의 마음을 답답하게 만들 정도지만, 그런 인물들이 새처럼 날아가는 장면에서는 그 답답한 만큼의 응축된 힘을 갖게 만들었다. 웃음과 눈물이 섞이면 이처럼 양자가 모두 증폭되는 이유는 무얼까.

신파와 코미디가 이렇게 만날 수 있는 것은 그것이 모두 고통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신파야 그렇다 치고 코미디가 어떻게 고통을 기반으로 하느냐고 의아해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코미디는 기본적으로 인물의 고통을 과장시키거나 희화화할 때 발생한다. 슬랙스틱 코미디처럼 본인은 넘어지고 망가지는 지점에서 상대방은 웃음을 터뜨린다는 사실은 코미디가 가진 가장 기본적인 원칙이다. 즉 고통을 의도적으로 고통으로 그려내면 신파가 되지만, 그 고통을 고통 없이 희화화시키면 코미디가 되는 것이다.

눈물과 웃음의 이중주를 그려내는 이들 작품들은 바로 이 경계선을 오감으로써 신파와 코미디를 동시에 그려낸다. 그리고 이것은 기본적으로 모두 고통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 땅의 현실의 어려움을 드러낸다. 수천 만 명씩 그 극장 문턱을 넘어서며 웃고 울었을 관객들과 TV 앞에서 깔깔 웃다가 눈물 한 방울씩 찍어내는 시청자분들. 이 시대 우리는 어쩌면 무언가를 붙들고 한없이 울고 싶거나, 잠시라도 모든 걸 잊고 맘껏 웃고 싶은 지도 모르겠다. 이 뒤범벅된 감정을 이리저리 무한정 건드리는 이들 콘텐츠들에 쉽게 매혹되는 것을 보면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