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효진 썸네일형 리스트형 '동백꽃', 까불이 정체보다 손담비 생존 여부 더 궁금하다는 건 ‘동백꽃’ 어쩌다 발견한 손담비, 인생캐릭터 만났네 이런 걸 인생캐릭터(인생캐)라고 부르는 것일 게다. KBS 수목드라마 에서 활짝 피어난 건 동백(공효진)의 인생만이 아니다. 이 드라마로 의외의 존재감을 드러내는 손담비도 활짝 피었다. 향미라는 캐릭터가 이제 손담비라는 인물에 척척 달라붙는다. 특유의 느릿하고 차분하지만 어딘지 차갑게 느껴지는 어조와 무표정한 얼굴. 하지만 그런 외적으로 드러나는 모습과는 사뭇 다른 내면의 따뜻함과 아픔. 그런 복합적인 면모가 향미에게서는 느껴진다. MBC 수목드라마 에 빗대 표현한다면 ‘어쩌다 발견한 손담비’라고 할까. 처음 향미라는 인물은 에서 동백 옆에 있는 엑스트라에 가까운 조역처럼 여겨졌다. 거기에는 이 드라마가 메시지로 담고 있는 일종의 ‘편견’이나 ‘선입견’.. 더보기 '동백꽃' 작가는 왜 공효진·강하늘 멜로에 까불이를 넣었을까 ‘동백꽃’이 까불이라는 사회적 공포를 활용하는 방식 KBS 수목드라마 은 옹산에 들어와 까멜리아라는 술집을 하며 아들을 부양하는 미혼모 동백(공효진)과 불의를 보면 참지 못해 여러 차례 범인을 검거하며 경찰이 된 황용식(강하늘)의 멜로가 주요 스토리다. 도서관에서 본 후 첫 눈에 반해 동백을 따라다니며 구애하는 황용식을 애써 밀어내다 대책 없는 그 돈키호테식 직진에 결국 동백은 마음을 열고 이제 달달한 관계가 시작되려던 참이다. 그런데 드라마 첫 장면에 들어가 어딘지 불안감을 만들었던 ‘까불이’라는 연쇄살인마의 그림자가 달달한 멜로에 조금씩 드리워지고 있다. 까멜리아의 벽에 낙서로 쓰인 ‘까불지 마라’는 글귀가 어떤 불안감을 주더니 이제 벽면에 커다란 글씨로 ‘까불지 말라고 했지. 그 때부터 지금까지 내.. 더보기 "내가 뭐라고"..'동백꽃' 공효진·고두심·이정은이 겹쳐 보이는 건 ‘동백꽃’, 공효진·고두심·이정은에게 꽃길을 내어주고 싶다 어떤 사람의 현재 행동은 그간 그 사람이 살아왔던 삶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기 마련이다. KBS 수목드라마 의 동백(공효진)은 옹산이라는 곳에 들어와 술집 까멜리아를 열었을 때부터 벌써 마을사람들의 눈치를 보고 있었다. 어딘가 잔뜩 주눅 들어 있고 자존감이 바닥이라 갑자기 나타나 자신이 예쁘다고 최고라고 돌직구를 날리는 황용식(강하늘)에게 “내가 뭐라고”라는 말을 습관처럼 내놓는다. 거기에는 동백이 그간 고아로서 또 미혼모로서 살아오며 겪은 결코 쉽지 않은 세월들이 묻어난다. 모두가 엄마 손을 잡고 하교할 때 혼자 덩그러니 운동장에 남아 있는 그 경험이나, 미혼모에 술집을 한다는 사실만으로도 자신을 야릇하게 쳐다보는 사내들과 자신을 여시처럼 백안시하.. 더보기 '동백꽃', 공유 좋아한다는 공효진 향한 강하늘의 똥개 전략이란 대작들 속에서 소소한 ‘동백꽃’의 놀랄만한 매력의 비밀 “그냥 첫 눈에 반해버렸구요? 저는 뭐 작전이니 밀당이니 어우 난 이런 거 모르겄구 그냥 유부녀만 아니시면은 올인을 하자 작심을 혔습니다.” KBS 수목드라마 에서 황용식(강하늘)의 이 대사는 그가 어떤 사람인가를 잘 드러낸다. 조금 모자라 보이기도 하고 그러면서도 의외로 그 구수한 시골스러움과 순박함이 매력으로 보이기도 하는 인물. 그는 동백(공효진)에게 첫눈에 반했다는 걸 대놓고 털어놓는다. 이를 애써 거부하며 신중하지 못하다는 동백의 말에도 그의 직진은 꺾일 줄 모른다. “저는요 신중보다는 전념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을 혀요. 긴가 민가 간만 보다가는 옹산 다이아 동백씨 놓쳐요. 기다 싶으면은 가야죠.” 동백은 용식의 말이 ‘돌직구’ 정도가 아닌.. 더보기 기분 좋게 먹먹한 '동백꽃', 간만에 볼만한 드라마가 나타났다 ‘동백꽃 필 무렵’, 중간들에게 던지는 강하늘의 돈키호테식 위로 “엄마는 오락기가 원래 없는 게 좋을 것 같아? 쓰다 뺐기는 게 좋을 것 같아? 나는 쓰다 뺐기면 미치고 팔짝 뛸 거 같아. 잠도 안 올 거 같아. 근데 원래 없다고 치면 마음이... 중간이야. 충재네집은 이혼해갖고 걔네 아빠 서울 갔대. 나는 충재보다 내가 나은 것 같기도 해.” KBS 수목드라마 에서 동백(공효진)의 아들 필구(김강훈)는 엄마에게 그렇게 말한다. 아빠 없이 큰 아들에게 아빠가 궁금하지 않냐고 묻는 동백에게 하는 필구의 말이 꽤 설득력이 있다. 그 말에 위로를 얻는 동백은 말한다. “그래 우리 중간이야 그치? 중간.” 은 그 중간의 위치에 있는, 아니 어쩌면 중간이라고 애써 우기는 사람들에게 건네는 위로 같은 드라마다. 미..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