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점
-
이영애·고소영보다 고아성·최강희가 주목받는다는 건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7. 4. 7. 10:01
드라마 여주인공을 보는 관점, 무엇이 달라졌나 시절 이영애는 단연 당대 최고의 여배우의 위치를 구가했다. 동남아는 물론이고 중동까지 엄청난 영향력을 펼친 으로 인해 확고한 스타덤을 구축한 이영애는 박찬욱 감독의 를 통해 연기력으로도 우뚝 섰으며 ‘산소 같은 여자’라는 문구로 기억될 정도로 광고 모델로서도 최고의 위치를 구가했다. 하지만 SBS 로 돌아온 이영애는 여러모로 옛 영광의 흔적들을 발견하기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드라마가 가진 완성도 미숙과 사임당이라는 역사적 인물이 현재적 관점에서 그만큼 매력적일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점 등은 이를 연기하는 이영애에게는 더 큰 부담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영애는 안정적인 연기를 보이고는 있지만 그만한 과거의 명성에 비추어 두각을 나타낼 만큼의 존재감을 드러내..
-
우리가 역사강사 설민석에게 기대하고 있는 것옛글들/명랑TV 2017. 3. 19. 08:12
'민족대표 33인 폄훼 논란' 설민석을 위한 변명지금 방송가와 출판가에서 가장 뜨거운 인물을 꼽으라면 단연 설민석이 아닐까. MBC 에 출연해 특유의 언변으로 역사강의를 하면서 대중들의 눈도장을 확실히 찍은 그는 이미 역사강사로서 잘 나가던 그 입지에 날개를 달았다. 그가 쓴 책은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강연시장에서 그의 몸값은 천정부지로 치솟았다. 너무 유명해진 탓일까. 최근 그는 그가 했던 강의의 내용들 중 과한 표현, 사실과는 다른 정보 등으로 논란의 중심에 섰다.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민족대표 33인을 폄하했다는 것. 그는 강의에서 “민족대표 33인이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장소인 태화관은 지금으로 치면 룸살롱 같은 곳이었다”며 “그들이 거기 모여서 낮술을 먹기 시작했다”고 했고, 그들이 그 곳에 모인 이..
-
'육룡'의 시대, 한 마리 용으로 역사가 그려질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5. 10. 16. 07:58
의 시대, 진정한 역사 교육이란 SBS 사극 에는 이성계, 이방원, 정도전이라는 실존 역사적 인물 이외에도 이방지, 무휼, 분이라는 가상의 인물들이 등장한다. 과거 같았으면 실제 역사의 왜곡이 아니냐는 질타를 받았을 수도 있는 인물설정이다. 하지만 지금의 대중들은 실제 역사와 가상을 구별할 줄 안다. 사극은 진짜 역사라기보다는 역사적 사실에 상상력을 덧대 하나의 허구로 꾸며진 드라마라는 걸 알고 있기 때문이다. 대중들이 이렇게 역사적 사실에 허구의 틈입을 허용한 건 단지 재미 때문만은 아니다. 그것보다는 오히려 거기에 깔려 있는 의도의 진정성 때문이다. 역사라는 건 완벽한 팩트일 수 없다. 그것은 기록하는 자의 시선이 들어가기 마련이다. ‘조선왕조실록’은 왕들의 역사다. 그들의 관점이 담겨진 편향된 역사..
-
모든 캐릭터가 살아있다.. '화정'의 새로움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5. 4. 22. 09:49
의 새로움, MBC 사극 되살릴까 어느 입장 하나 공감가지 않는 게 없다. MBC 월화 사극 이 그리는 캐릭터들의 특징이다. 먼저 이 사극의 중심에 서 있는 광해군(차승원)을 떠올려보라. 역사가 기록한 폭군의 시각을 벗어나 이 사극은 왜 광해군이 그렇게 냉혹한 결정들(친족들을 제거한 일)을 내릴 수밖에 없었는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적자가 아니라는 이유로 임진왜란 당시 선조(박영규)에 의해 꼭두각시처럼 세워졌으나 끝내 인정을 받지 못한 왕. 그로 인해 그를 따르는 대신들도 없는 상황에 지지 없는 왕좌 위에서 어린 영창대군을 앞세워 시시각각 용상을 넘보는 이들을 보며 서운함과 두려움을 동시에 느끼는 왕. 영창대군과 정명공주가 잠시 궁을 빠져나간 일로 그들을 제거하려 했다는 누명까지 쓰는 왕. 광해군이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