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우리가 역사강사 설민석에게 기대하고 있는 것 본문

옛글들/명랑TV

우리가 역사강사 설민석에게 기대하고 있는 것

D.H.Jung 2017. 3. 19. 08:12
728x90

'민족대표 33인 폄훼 논란' 설민석을 위한 변명

지금 방송가와 출판가에서 가장 뜨거운 인물을 꼽으라면 단연 설민석이 아닐까. MBC <무한도전>에 출연해 특유의 언변으로 역사강의를 하면서 대중들의 눈도장을 확실히 찍은 그는 이미 역사강사로서 잘 나가던 그 입지에 날개를 달았다. 그가 쓴 책은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강연시장에서 그의 몸값은 천정부지로 치솟았다. 

'어쩌다 어른(사진출처:tvN)'

너무 유명해진 탓일까. 최근 그는 그가 했던 강의의 내용들 중 과한 표현, 사실과는 다른 정보 등으로 논란의 중심에 섰다.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민족대표 33인을 폄하했다는 것. 그는 강의에서 “민족대표 33인이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장소인 태화관은 지금으로 치면 룸살롱 같은 곳이었다”며 “그들이 거기 모여서 낮술을 먹기 시작했다”고 했고, 그들이 그 곳에 모인 이유가 “마담인 주옥경과 손병희가 내연 관계였기 때문”이라고 설명하면서 “우리나라에 얼마 되지도 않는 택시를 싹 불러서 그걸 타고 경찰에 자진 출두한 게 민족대표들이었다”라고 비판했다. 또한 민족대표 33인 ‘대다수’가 3.1운동 이후 변절했다고 주장했다. 

그러자 당시 민족대표의 유족들은 설민석의 이런 이야기가 사실과 다르다며 반발했고 명예훼손으로 소송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일부 역사학자들도 나서서 그가 강의 중 했던 발언들, 이를테면 태화관이 룸살롱이었다거나, 민족대표 일부가 변절한 것을 두고 ‘대부분’ 변절했다고 진술한 대목은 사실과 다르다고 주장했다. 

논란이 불거지자 설민석은 SNS를 통해 자신이 이들을 폄훼할 의도는 없었다며 ‘룸살롱’이나 ‘마담’, ‘술판’ 같은 지나친 표현에 대한 꾸지람은 달게 받겠다고 사과했다. 하지만 그러면서도 그는 여전히 민족대표 33인에 대한 비판적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는 걸 분명히 했다. 즉 태화관이 룸살롱은 아니었고 모두가 변절했다는 것 역시 정확한 사실은 아니지만, 당시의 민족대표 33인이 과연 제대로 대표로서의 적절한 행동과 역할을 했는가에 대해서는 비판적이라는 것이다. 

물론 역사에 있어서 사실 그 자체의 왜곡은 분명 잘못된 일이지만, 그 사실을 바라보는 시각은 자유로울 수 있다. 그래서 역사란 어느 시기에 어떤 시각으로 바라보느냐에 따라 완전히 다른 해석이 가능해지는 ‘관점의 학문’이다. 즉 과거의 사실도 중요하지만 그것을 현재 어떻게 바라보느냐 역시 중요하다는 것. 그러니 설민석이 사실 왜곡이나 지나친 표현에 대한 부분들은 비판받아 마땅하지만 그렇다고 그가 갖고 있는 비판적 시각은 충분히 제기될 수 있는 일이다. 

사실 방송이나 강연은 학문이 아니기 때문에 엄밀하게 따지고 들어가면 사실이 왜곡되는 경우가 종종 생겨날 수 있다. 물론 그것이 당연히 허용된다는 걸 말하는 건 아니지만, 시청자들도 또 청중들도 어느 정도는 감안하고 그걸 바라본다는 점이다. 이건 설민석이라는 역사강사이자 방송인을 바라보는 대중들의 시각이다. 그에게서 역사학자의 엄밀한 학자로서의 자세를 애초에 대중들은 요구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그가 효용성을 가졌던 건 지금의 역사교육과 무관하지 않다. 역사 국정교과서 논란이 그렇게 오래도록 이어져왔던 걸 생각해보라. 지금의 역사교육은 지금의 눈높이에 맞춰져 충분히 흥미롭게 이뤄지기는커녕 교과서조차 편향적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어찌된 일인지 역사 자체에 대한 무관심을 방조하거나, 여러 관점을 생각해보는 역사교육이 아니라 한 가지 관점이 전부인 것처럼 오도하는 것이 지금의 역사교육이라는 것이다. 그가 대중들의 관심을 받았던 건 이러한 방치된 역사에 대해 최소한도 다시금 관심을 환기시켰다는 점 때문이 아닐까. 

우리가 역사강사 설민석에게 기대하는 것은 역사학자들 수준의 엄밀함 같은 것은 아닐 것이다. 그것보다는 지나치게 무관심이 방조되어 있는 역사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것이다. 그래서 지금 벌어지고 있는 논란은 어찌 보면 건강한 것일 수 있다. 설민석이 끄집어낸 관심으로 역사학자들의 팩트체크가 이어지는 그 과정은 설민석의 역할과 역사학자들의 역할이 동시에 있어주는 그 지점이 지금의 역사교육의 문제를 넘어설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처럼 보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