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미수다’, ‘루저’라는 단어가 촉발한 것 본문

옛글들/명랑TV

‘미수다’, ‘루저’라는 단어가 촉발한 것

D.H.Jung 2009. 11. 15. 10:16
728x90

‘미녀들의 수다’가 건드린 ‘루저’라는 뇌관

‘미녀들의 수다’가 또 사고를 쳤다. 모 대학 여대생이 “키가 작은 남자는 루저”라는 발언을 한 것이다. 별거 아니라고 생각될 지도 모르는 이 발언은 그러나 엄청난 파장을 몰고 왔다. 비난의 목소리가 일파만파 커졌고, 결국에는 제작진까지 교체했지만 그 여진은 끝날 줄을 모른다. 인터넷은 온통 루저 패러디로 가득하고, 그 발언을 한 여대생은 사회생활을 하기 어려울 정도로 궁지에 몰렸다.

항간에는 터질 것이 터졌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그것은 ‘미녀들의 수다’가 교양과 천박 사이에서 늘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해왔기 때문이다. 그 뉘앙스는 제목에서부터 풍긴다. ‘수다’라 함은 이 프로그램이 토크쇼를 지향한다는 이야기가 되는데, 애초에 기획된 대로 외국의 여성들을 토크 대상으로 세웠다는 점은 참신하다. 우리가 보지 못하는 우리 사회의 모습을 그네들의 눈을 통해 본다는 점이 이 프로그램을 ‘교양 있는’ 어떤 것으로 생각하게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런 취지와 기획의도가 무색하게 왜 하필 ‘미녀’를 거기 세워두었냐는 점은 논쟁거리다. 이 프로그램을 보다보면 마치 여성을 상품처럼 전시해놓은 듯한 뉘앙스를 읽게 된다. 기획의도에 맞게 진지한 토크를 했다면 그런 뉘앙스는 읽혀지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이 토크쇼는 때론 천박하기 이를 데 없는 질문을 던진다. 이번 사건에서도 그 본질은 여기서 생긴 것이라 볼 수 있다. “키가 작은 남자는 루저”라는 답변이 나오게 된 것은 “키가 작은 남자와 사귈 수 있냐?”는 천박한 질문에서 비롯된 것이다.

‘미녀들의 수다’가 토크쇼를 표방하면서 결국 껍질을 한 꺼풀 벗겨내면 노골적인 성 상품화가 그 속에 존재한다는 것을 아는 이들은 이 프로그램이 가진 위장술이 오히려 반감의 요인이 된다. 바로 이런 반감 위에 하필 ‘루저’라는 이 시대의 뇌관을 건드리는 단어를 쓴 것이 문제를 더욱 크게 만들었다. ‘청백전(청년 백수 전성시대)’이나 ‘이태백(이십대 태반이 백수)’, ‘삼일절(31세면 취업길이 막혀 절망하는 시대)’ 같은 신조어들이 청년 실업의 절망을 표현하고 있는 요즘, 백수니 루저니 하는 단어는 그 어느 때보다도 민감해졌다.

그 ‘루저’라는 단어를 그것도 대학생이라는 사람이 개념 없이 사용했다는 점은 공분을 일으키기에 충분했다. 식자라는 사람이 거기에 걸맞지 않은 발언을 한 것이 더 큰 파장을 몰고 온 것이다. 그러니 이렇게 보면 ‘미녀들의 수다’에서 한 여대생이 ‘루저’라고 한 마디 한 것이 결코 작은 사건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첫 번째는 이 프로그램이 갖게 된 도덕적 불감증이 원인이고, 두 번째는 그러한 불감증에서 비롯된 생각 없는 발언과 생각 없는 편집으로 방영된 프로그램에 그토록 취약함을 보인 이 사회가 원인이다.

게다가 이 ‘루저’라는 단어 속에는 사회적 문제에 대한 무책임한 뉘앙스가 들어가 있다. 즉 사회가 구조적으로 어떤 문제를 양산하고 있을 때, 그 문제를 지적하고 나서는 것이 정당함에도 불구하고, 이른바 위너들(혹은 그런 구조적 문제로 이득을 보는 이들)은 그것이 그저 ‘루저’의 논리라고 일축한다는 점이다. 구조적 문제를 개인적인 차원으로 치부하고, 오히려 비하하고 비난한다는 점에서 ‘루저’라는 단어의 뉘앙스는 지독하다. 그리고 이런 단어가 버젓이 공중파에서 농담처럼 흘러나오는 이 사회는 또 얼마나 지독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