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환상의 커플’, 만화적 감수성으로 트렌디를 깨다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환상의 커플’, 만화적 감수성으로 트렌디를 깨다

D.H.Jung 2006. 11. 21. 12:56
728x90

만화적 감수성과 드라마의 만남

‘풀 하우스’, ‘궁’의 경우에서 보았듯이 만화와 드라마와의 공생 관계는 이제 새삼스러운 이야기가 아니다. 이것은 영화에서도 마찬가지다. ‘올드 보이’, ‘타짜’, ‘아파트’, ‘다세포소녀’, ‘데스 노트’ 등의 성공은 만화가 가진 상상력의 힘과 탄탄한 드라마성, 그리고 캐릭터에다가 그 자체로서 영상화가 가능한 비주얼의 힘이 더해져 이루어진 것이다. 물론 원작 만화의 매니아들이라면 이러한 작품들이 원작만 못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만화를 보지 못한 대부분의 시청자, 혹은 관객들은 영화, 드라마를 통해 그 존재를 알게 되고 만화를 찾아보기까지 한다. 그런데 이런 작품들의 성공이 단순히 만화가 가진 그런 장점들 때문만일까. 더 중요한 것은 이제 우리에게 만화적 감수성이 하나의 장르적 틀로서 자리잡았다는 이야기가 아닐까. 원작 만화를 드라마화 한 게 아니지만, 만화만큼 재미있는 ‘환상의 커플’의 성공이 그 단초를 제공해준다.

더 이상 부정적 의미가 아닌, ‘만화 같은 이야기’
과거 드라마 작가들이나 영화 감독, 시나리오 작가들에게는 조금 난감한 말이 있다. 그것은 ‘만화 같은 이야기’라는 말이다. 드라마나 영화에 대한 과도한 엄숙주의와 진지함이 배제하려 했던 이 말은 이제는 제작자나 기획자들에게는 적극적으로 발굴해야할 그 어떤 의미가 되었다.

과거 그들은 만화보다는 소설에서 그 모티브를 찾아왔던 것이 사실이며 이것은 현재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달라진 것은 만화와 소설의 달라진 위상이다. 독자를 찾지 못하던 문단 중심의 소설들은 최근 독자를 찾아 나서면서 만화적인 가벼운 감성들이 무거운 주제로 엮어지는 실험적인 시도를 벌이고 있다. 하지만 만화의 상황은 정반대다. 가벼운 만화의 특성은 이제 진지함을 찾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써 만화의 진화와 소설의 독자 찾기는 어떤 접점을 만들어내고 있다. 따라서 이제는 ‘만화 같다’는 말은 부정적 의미가 아닌 긍정적 의미로 작용한다. 이제 그것은 얼토당토않은 이야기라든가, 완성도가 떨어진다든가 하는 의미가 아니다. 그것은 상상력과 캐릭터가 독특하며, 이야기 진행이 유쾌하면서도 나름대로의 진지성이 있는 긍정적인 의미를 내포한다.

만화 같은 드라마, ‘환상의 커플’
그런 면에서 ‘환상의 커플’은 정말 ‘만화 같은 드라마’라고 할 수 있다. 우리가 이 드라마에 열광하는 이유 중 하나는 그것이 만화 같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수용한 결과이다. 싸가지 귀족녀, 안나 조의 일거수 일투족과 그녀의 “맘에 안 들어”라는 말 한 마디에 확확 바뀌는 화면 구성은 의도된 만화적 설정들이다.

기억상실로 인해 나상실(이름 역시 만화적이다)이 되고 장철수의 집에서 살아간다는 설정 자체도 현실적인 선택이 아니다. 살짝 정신이 나간 강자나 빌리 박의 옆에서 나름 모사를 꾸미는 공실장 역시 현실에서 약간은 허공으로 들린 인물들이다. 이들의 연기는 과장되어 있고 대사는 말풍선만 달면 그대로 만화가 될 정도이다.

이 드라마가 선택한 코믹이란 장르는 이러한 만화적 설정들을 더 잘 공감하게 만드는 장치다. 우리는 그 대책 없는 유쾌함 속에 개연성이라든지, 진정성 같은 복잡한 생각들을 접어놓고 드라마에 빠지게 된다. 마치 잠깐 만화를 볼 때 그 만화적 재미에 푹 빠져드는 것처럼.

진지한 트렌디 드라마가 더 만화 같다
‘환상의 커플’은 그러므로 각각의 에피소드가 갖는 허구적인 놀이를 하면서 그 놀이 이면의 어떤 이야기를 포착하는 드라마다. 겉으로 드러난 이야기는 만화 같지만 그 만화적 전개 속에는 진짜 하려는 이야기가 숨어 있다는 말이다. 이 최악의 커플이 ‘환상의 커플’이라는 반어법으로 읽히는 것은 겉으로 드러난 다툼과 부딪침이 아닌 그 이면에서 생기는 사랑의 감정 때문이다.

시청자들은 아마도 기존 트렌디 드라마들이 하는 진지한 척 하는 태도가 지겨워진 것 같다. 드라마 속의 사랑이라고 하면 무언가 운명적이고 비극적이며 진지한 것이라는 태도가 갖는 상투성이 전혀 현실적으로 느껴지지 않는 것이다. 때론 그런 트렌디 드라마가 더 만화 같다(과거의 부정적 의미로서의)고 생각되는 건, 그만큼 그들이 수많은 드라마를 보면서 더 이상 드라마를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게 되었다는데 있다. 드라마는 이제 하나의 게임이며 현실에서 잠깐 벗어나고픈 편안한 환상이기도 하다.

‘환상의 커플’은 이러한 만화적 편안함과 유쾌함을 안겨주었다. 시종일관 웃음을 유발하는 캐릭터들과 그들의 상황들, 그런 장면들을 역시 만화적 배치로 맛을 살린 연출은 누구나 한번 보면 빠져들지 않을 수 없는 재미를 유발한다. 한예슬을 스타덤에 올린 것은 기대 이상 보여준 그녀의 호연 때문이지만, 또한 이 드라마만이 갖는 만화적 캐릭터가 그녀에게 잘 어울렸던 탓도 있다. 이 드라마로써 우리의 주말 밤은 상큼 발랄 유쾌해졌다. 굳이 만화방에 가지 않고도 채널 하나만 돌리면 그 안에 만화보다 더 재미있는 드라마가 있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