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싸가지 귀족녀들이 뜨는 이유

728x90

‘누나’, ‘환상의 커플’, ‘눈의 여왕’의 여성들

요즘 드라마를 보면 여성 캐릭터들의 변신이 눈에 띈다. 그 중 주목을 받는 캐릭터는 이른바 ‘싸가지 귀족녀’들이다. 도대체 돈 걱정이라고는 해본 적도 없는 이들은 온갖 명품들을 마치 아바타 놀이하듯 줄줄이 입고 나와, 돈 자랑을 해댄다. 게다가 그녀들은 주변인물들을 하인 다루듯 하며 뭐든 문제가 생기면 돈으로 해결하려는 싸가지를 보인다. 재미있는 건 이 현실에서는 도무지 이해할 수 없고, 분노마저 일으킬 캐릭터들이 TV속으로 들어오면 사랑을 받는다는 것이다.

나도 그들을 꿈꾼다
MBC 주말연속극 ‘누나’의 승주(송윤아 분)는 아버지가 돌아가시기 전까지는 전형적인 귀족의 삶을 살았다. 온갖 명품들로 치장된 옷을 입고 리조트 사업을 하는 아버지와 함께 공식행사에 돌아가신 어머니 역할을 해내는 그녀에게 두려움이란 없었다. 심지어 그녀는 작은 아버지, 작은 엄마를 마치 하녀처럼 대하면서도 당당했다.

한편‘환상의 커플’의 안나조(한예슬 분)는 기억상실을 당하기 전까지 뭐든 자기가 원하는 대로 살아왔다. 오죽 했으면 그녀의 입에 붙은 말이 “꼬라지하고는”과 “맘에 안 들어”일까. 그녀의 한 마디에 그녀 눈에 보이는 모든 것들은 그녀를 위해 바뀌었다.

어마어마한 부를 가진 집안에서 태어난,‘눈의 여왕’의 김보라(성유리 분) 역시 도도함을 지나쳐 싸가지 없기는 마찬가지다. 그녀 역시 하인처럼 고순자(장정희 분)와 그녀의 딸 박득남(정지안 분)을 대한다. 자기 몰래 득남이 자기 명품 스카프를 했다고 그 자리에서 가위로 잘라버린다. 하지만 이런 그녀들의 싸가지 없는 행동들에 대해 어느 누구도 뭐라 하지 않는다. 왜? 부자니까.

사실 누군가 욕을 한다 해도 명품을 입고 싶고 좋은 차를 타고 싶고 좋은 집에서 아무런 걱정 없이 살고 싶은 건 누구에게나 있는 욕망이 아닌가. 이 싸가지는 없지만 뭐 하나 부족한 게 없어 보이는 캐릭터에 잠시 감정이입을 하면서 그 욕망을 대리충족하는 것이 무에 이상하다고 할 것인가.

신데렐라 벗어나기
중요한 것은 과거 트렌디 드라마에서 단골악역으로 등장했던 이 캐릭터들이 이제 주인공이라는 것이다. 트렌디 드라마에서 신데렐라 콤플렉스를 자극하는 평범한 여성들이 왕자 같은 남자들을 만났다면 이제는 상황이 역전되었다. 이것은 이제 시청자들이 ‘신데렐라 콤플렉스’가 너무나 순진한 발상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부자인 사람들은 더 부자가 되고, 가난한 사람들은 더 가난해지는 사회 속에서, 부가 그렇게 하루아침에 갑자기 나타난 왕자님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고 말하는 건 어불성설이다. 그것은 오히려 세습되는 것이며, 변할 수 없는 운명의 벽처럼 쉽게 편입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다. 이런 인식 속에서 TV 드라마는 어떤 방식으로 여성들의 욕구를 풀어주고 또한 공감을 얻어낼 수 있을까. 그것은 평범한 캐릭터의 신데렐라 되기가 아니라 거꾸로 부자들의 보통사람 되기가 될 것이다.

부자들의 보통사람 되기
삶에 아무런 불편을 느끼지 못하던 그녀들은 어떤 계기를 만나게 된다. ‘누나’의 승주는 졸지에 가난이라는 낯선 세계를 경험하게 되고, 거기서 그녀를 지켜주는 평범한 남자 건우(김성수 분)를 만난다. ‘환상의 커플’의 안나 조는 기억상실을 통해 장철수(오지호 분)를 만나게 되고 그에게서 전에는 느껴보지 못한 인간적인 정을 느끼게 된다. ‘눈의 여왕’에서 김보라는 어린 시절 만났던 한태웅(현빈 분)을 만나면서 얼음의 궁전 속에서 지내며 얼음처럼 차가워졌던 마음을 녹이게 된다.

이 그녀들의 하향곡선은 시청자들의 TV 속 환상과 TV 밖 현실 간의 미묘한 타협으로 인하여 공감의 틀로 만들어진다. 드라마를 통해 현실에는 도저히 꿈꿀 수 없는 귀족적 삶을 꿈꾸면서도 또한 TV를 끄고 현실로 돌아왔을 때의 안도감을 줄 수 있는 ‘그들도 우리와 같은 보통 사람’이란 인식을 끌어내는 것이다. 이들 드라마에서 보여지는 것은 화려한 세계일지 모르나 이들 드라마가 하려는 얘기는 그러한 부가 인간의 행복에는 그다지 관계가 없다는 사실이다.

부자 길들이기 혹은 현실
부자들이 이렇게 부의 세계에서 현실로 내려올 때, 발생하는 것은 그네들보다 우리가 현실에 대해 더 잘 알고 있다는 착각이다. 그들이 먹어보지 않았던 자장면과 막걸리에 대해서, 그들이 살아보지 않았던 단칸방에 대해서, 그들이 경험해보지 않은 저잣거리의 재미에 대해서 우리가 더 잘 알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래서 드라마는 이들 문제 있는 캐릭터들에게 바로 이 작은 현실의 행복감을 보여주고 변화를 촉구한다.

하지만 우리가 더 잘 알고 있다고 말하는 현실은 가난에 다름 아니다. 현실은 더 팍팍하고 각박하다. 드라마는 정반대의 주장을 하고 있지만 사실 이 사회는 부에 더 많은 가치를 부여한다. 싸가지 귀족녀들의 보통사람 되기가 갖고 있는 재미는 저 신데렐라 콤플렉스의 정 반대편에 서 있는 또 다른 환타지일 가능성이 높다. 그것은 우리가 저네들보다 더 잘 알고 있어, 우위에 있다고 생각하는 현실이란 우리 스스로의 위안일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래도 어쩌겠는가. 일시적 환상이라도 해도 그 위안이 그토록 간절한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