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천사의 유혹', 비밀 없는 캐릭터 없어?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천사의 유혹', 비밀 없는 캐릭터 없어?

D.H.Jung 2009. 12. 9. 08:17
728x90

자아분열적인 이중 캐릭터들의 격전장, '천사의 유혹'

'출생의 비밀'은 식상할 정도로 많이 등장하는 드라마의 성공코드. 그 핵심은 숨겨진 비밀을 알고 있는 시청자들이 그 비밀이 드러나는 그 순간에 대한 파장과 긴장을 기대하는 지점에서 드라마의 힘이 생긴다는데 있다. 하나의 비밀만으로도 드라마는 극적인 힘을 갖게 마련이지만, '천사의 유혹'은 거의 모든 주요 캐릭터들이 비밀로 점철되어 있다.

부모의 죽음에 대한 복수를 하기 위해 신현우(한상진)와 결혼하고, 그를 죽음에 이르게 만드는 주아란(이소연)은 어린 시절의 비밀을 가진 인물이면서 끊임없이 비밀을 만들어내는 캐릭터다. 그녀는 신우섭(한진희)의 집을 파탄에 이르게 하기 위해 끊임없이 거짓말을 해댄다. 그 과정에서 비밀은 점점 눈덩이처럼 불어나게 된다.

주아란과 함께 복수에 동참하고 있는 남주승(김태현) 역시 자신이 조경희(차화연)의 아들이라는 비밀을 숨기며 살아온다. 그는 자신이 버려졌다는 사실 때문에 조경희에게 복수를 하고 있는 중이다. 조경희는 남주승의 부모로서 왜 그녀가 그를 버리게 되었는지 하는 내용이 비밀에 부쳐져 있다. 또한 주아란의 동생을 왜 그녀가 거두어 보살피게 되었는지, 주아란의 부모의 죽음을 왜 그토록 숨기려 하는지 역시 베일 속에 가려져 있다.

주아란에게 죽음의 위기에 처하게 됐다가 가까스로 살아난 안재성(배수빈)은 자신이 신현우라는 사실을 비밀 속에 두고 복수를 시작한다. 그는 주아란이 자신에게 접근하고 파멸에 이르게 한 방식(즉 결혼하고 파괴한) 그대로 그녀에게 하나하나 돌려준다. 그는 주아란의 연인의 얼굴을 하고 그녀의 모든 것을 부숴버리고 있는 중이다.

신현우를 키다리 아저씨로 생각하며 자라온 윤재희(홍수현)는, 죽음을 넘어서 안재성으로 돌아온 그의 숨겨진 연인이 된다. 그런데 이 윤재희는 바로 주아란이 어린 시절 잃어버린 동생, 주경란이다. 역시 클리쉐에 해당하는 것이지만, 이 드라마는 바로 이 주아란과 신현우 사이에 서 있는 윤재희라는 인물을 통해 부메랑처럼 자신에게 되돌아오게 되는 복수의 끝을 메시지로 던지고 있다.

이처럼 비밀로 점철되어 있는 이 드라마의 캐릭터들은 거의 모든 주요인물들이 분열적인 삶을 살고 있다. 주아란은 겉으로는 신현우의 아내이자, 남주승의 연인이자, 신우섭의 며느리지만, 실제로는 신현우를 죽음으로 내모는 악녀이자, 남주승을 이용하는 정부이자, 신우섭을 파멸에 이르게 만드는 인물이다. 신현우는 안재성이라는 인물로 자아분열되어 있고, 남주승 역시 조경희의 아들이면서 그녀를 파멸로 이끄는 인물로 분열되어 있다.

가장 극적인 인물은 윤재희다. 그녀는 자신이 본래 주경란이라는 사실을 모르는데, 사랑하는 신현우는 알고 보면 자신의 부모의 죽음을 가져온 집안의 아들이고, 신현우와 함께 파괴시키려 하는 주아란은 알고 보면 자신의 언니다. 그러니 결국 이 인물은 이 자아분열의 끝에서 스스로 파괴될 가능성이 높은 인물이다.

이 드라마가 허술한 디테일에도 불구하고 극적인 힘을 발휘하게 되는 것은 이 숨겨진 비밀들이 거의 모든 캐릭터에 들어 있는데다가 그 비밀의 파장이 치명적일 정도로 자극적이기 때문이다. 결국 이 드라마는 아내가 남편을 파괴하고 남편이 다시 돌아와 아내를 파괴하는 이야기고(주아란과 신현우), 며느리로 들어와 그 집안을 끝장내는 이야기이며(주아란과 신우섭), 아들이 부모를 궁지에 모는 이야기고(남주승과 조경희), 동생이 언니를 파괴하는 이야기(주아란과 윤재희)다.

'천사의 유혹'의 자아분열적인 캐릭터들이 그 복잡하게 얽힌 비밀들을 풀어내는 주아란과 안재성의 결혼식 시퀀스가 마치 연극을 보듯 끊임없이 설명적인 이유는 여기에 있다. 마치 무대에 오르듯 순차적으로 한 명씩 단상에 올라 인물들은 자신들의 비밀을 드러낸다. 비밀이 드러나는 그 순간은 결국 모든 것이 파탄에 이르는 과정이다. 비밀 때문에 가족과 연인이 서로를 파괴하는 이야기는 지극히 고전적인 스토리이지만 그 극적 강도가 가장 강하다는 면에서 여전히 힘을 발휘한다.

하지만 그 비밀의 가면을 벗겨내고 나면 이 드라마의 실체는 실로 앙상하고 지나치게 인위적이다. 관계들이 너무나 작가의 손에 의해 억지로 엮어진 느낌을 받게 되고, 그를 통해 보여주려는 메시지라는 것도 자연스럽게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작위적이다 못해 설명적이다. 이 드라마의 캐릭터들이 자신의 내적 감정을 디테일한 표정이나 행동으로 보여주는 대신, 독백으로 처리하는 장면들은 모두 작가에 빙의된 캐릭터들의 단면을 말해주는 대목이다.

이것은 이 작품이 이 치명적인 소재들(가족 파괴의 이야기들)을 얼마나 표피적으로 다루고 있는가를 말해준다. 자아분열적인 비밀을 가진 캐릭터란 단 한 명 속에서도 어마어마한 인간적 고뇌를 수반하기 마련이지만, 이 드라마 속의 캐릭터들에게서는 그런 고민의 흔적이 잘 보이지 않는다. 이 드라마에 대해 '도대체 비밀 없는 캐릭터는 없는가', 하는 질문을 던지게 되는 것은 이러한 고민 없는 캐릭터들에게서 인간을 느끼기가 어렵기 때문이다.